통신사 이동간 저와 같은 문제를 겪으실까 이렇게 글로 공유해봅니다.
저는 기존 kt를 3년 가까이 사용하다 지난 9월 u+로 넘어간 상태입니다.
유선 선로구성을 설명 해 드리자면
기존 kt의 경우에는 바로 wan 으로 들어와 굳이 광컨버터가 필요 없기에
wan - 신발장 - 5포트 스위치 허브 (wan , 거실, 방1, 방2, 옥탑)
거실 - 공유기 - iptv 등
그리고 거실에서 신발장 사이의 선로를 이용하여서 poe 어뎁터로 스위치 허브의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 사용 중이었습니다.
참고로 신발장에 있는 선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발장에는 전기배선이 없습니다. *
0. WAN - 신발장
1. 신발장 - 거실(1)
2. 신발장 - 거실(2)
3. 신발장 - 안방
4. 신발장 - 방1
5. 신발장 - 방2
6. 신발장 - 옥탑
하지만 u+로 넘어오며 광렌의 형태로 바뀌었고, 건물 1층의 작은 광컨버터가 생겼습니다.
이에 대한 전원공급으로 poe인젝터가 추가로 들어왔습니다.
광렌 - 광컨버터(WAN) - 신발장 - 거실_(1) (poe인젝터) //광컨버터 전원 공급의 문제 해결
거실(1) - 공유기 - ( 거실(2) + 신발장_옥탑 )
의 형태로 바뀌었습니다.
옥탑방만 열려있는 이유는, 제가 꼭 살려달라고 당부한 포트였기 떄문입니다.
필력이 부족해 정리하면
기존 kt를 사용할때의 스위치 허브를 통한 방 2개 + 옥탑 + 거실을
u+로 옮겨가게 되면서 옥탑만 사용가능하게 된것입니다.
나머지 방은 거실에서부터 쭉 랜선을 끌고 들어가야만 유선인터넷이 사용가능한 상태인것이죠.
이렇게 구성하면 지저분하고, 보기에도 좋지 않죠. 이전집에서는 각방에 랜 단자가 없어 20m랜선을 천장을 통해 3개씩 깔아둔 기억이 있습니다. 구멍도 많이 뚥고 보기 흉했죠.
설치당시 저는 군 복무중이었고, 이 사실을 12월 말이 되어서야 알았습니다.
가족이 해외에서 살다 들어오는데, 방을 만들면서 인터넷을 확인하다 보니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u+에 문의로 기존 kt에서 옮기면서 포트들이 다 죽었고, 설치당시에 약속한 "기존과 같은 환경"과는 다르게 방 한개를 제외(옥탑)하고는 아무것도 사용할 수 없다.
라는 말과함께 기사 출장을 요청했습니다.
기존 kt처럼 스위치 허브를 이용하던 알아서 하시던 큰 생각은 없었습니다만.
기사님에게 u+에서는 kt처럼 poe 어뎁터를 사용하여서 스위치 허브를 설치하지 않는다.
u+본사에서 설치기사에게 주는 Poe 어뎁터와 같은 장비가 없다.
이 환경에서는 다른 방에서 전기를 끌고 오거나, 위에 있는 두꺼비집에서 전기공사를 하여 아래 아울렛 박스에 전기를 공급해야 한다.
그렇게하면 스위치허브를 사용할 수 있다.
라는 답변을 주시고 돌아가셨습니다.
이후 저는 상담센터에 문의하여서.
u+ 본사에서 poe환경을 제공하지 않아서, 아울렛에 전기가 없는 상황에서는 poe를 시용한 설치가 불가능한 것인지, 그렇다고 해서 4개 회선중 1개의 회선만 살려두는것이 맞는것인지 따지며 메뉴얼이나, 기술부서쪽에 확인을 부탁하였고
해당 상담사는 기존 방문했던 출장기사와 통화 후, 출장기사가 했던 말을 똑같이 말해주며 영양가 없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제가 궁금했던건 u+에서 poe를 메뉴얼상 제공하는지였는데요.
사실 전공자나 조금의 지식이 있으신 분들은 기존의 kt처럼 선로를 구성하여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만
제가 본사에 문의전화를 한 이유는
분명 인터넷 업체에서 할 수 있는 수준의 범위이고, 타사에서는 해결이 가능했던 문제인데, 왜 해당 회사만 불가능 하다는것인지.
왜 돈을 주고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이런 고민을 하고, 자신의 돈을 들여 선로를 구성해야 하는것인지.
라는 의문점과 짜증이 컸습니다.
그래도 방에서 인터넷은 써야하니 벌써 스위치허브랑 랜툴 세트, poe 어뎁터도 다 사두었습니다..
하필 스위치허브 전원이 3.5dc라서 3.5 to 5.5 를 사용해야 poe 어뎁터를 사용 할 수 있겠네요.
너무 귀찮은 작업입니다... 군에서도 매일 이런것하다가 집에서도 하려니 손이 가지를 않습니다.
스팀덱도 깨먹어서 수리해야하는데 말이죠..
원칙적으로 isp 는 랜선을 연결해 주건 해서 개통만 해 주면 되는 겁니다.
내선까지 공사를 한다면 한도 끝도 없거든요.
가령 "각방에 랜선 개통해 줘야 하는거 아니냐?" 라는 요구까지 나올수도 있죠.
현재로서는 iptime 등에서 판매하는 poe 아답터를 사용해서 전원을 공급해 주는 방법 밖에는 없어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