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보다 뛰어난 성능의 프로메테우스 모델 적용…빠르고 정확한 검색, 채팅, 콘텐츠 생성 가능
- AI가 검색 결과 찾아 요약하고, 정확도 등 묻는 대화로 보다 완벽한 답에 쉽고 가깝게 접근
- 엣지에도 AI 적용돼 긴 문서 요약부터 콘텐츠 초안 작성까지 돕는 새로운 브라우저 경험 제공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 검색엔진 빙(Bing)에 오픈AI의 신규 대형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을 적용, 사용자가 웹에서 얻는 경험을 극대화했다. 웹브라우저 엣지(Edge)에도 AI 기능을 추가했다.
새로워진 빙은 검색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오픈AI의 새 대형언어모델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에서 실행되며, 이 모델은 챗GPT와 GPT-3.5 보다 더 정확하고 빠른 성능을 갖췄다. 이를 통해 빙은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검색 경험과 완벽한 답변은 물론 채팅, 콘텐츠 생성 기능 등을 제공한다.
- 더 나은 검색(Better search) 경험 – 빙은 스포츠 점수, 주가, 날씨 등 간단한 정보에 대해 더 연관성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신규 사이드바를 통해 보다 포괄적인 답을 얻을 수도 있다.
- 완성형 답변(Complete answers) 도출 – 빙은 웹 전반의 검색 결과를 검토해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찾아 주고, 이를 요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케이크를 구우면서 계란을 다른 재료로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찾기 위해 스크롤을 내릴 필요가 없다. 빙이 이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찾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 새로운 채팅 경험(A new chat experience) 제공 – 세부 여행 일정을 계획하거나 구매할 TV를 찾는 등 보다 복잡한 검색을 위해 빙은 새로운 대화형 채팅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자세한 내용, 정확도, 아이디어 등을 질문해 완벽한 답변이 나올 때까지 검색을 세분화할 수 있다. 관련 링크도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즉시 결정하고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다.
- 창의성 향상(A creative spark) – 빙은 콘텐츠 생성 기능도 제공한다. 이 기능은 이메일, 예약 링크를 포함한 여행 일정, 취업 면접 준비 문서, 퀴즈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모든 결과는 콘텐츠의 출처를 인용하므로 참조하는 웹 콘텐츠 링크도 확인할 수 있다.
- 엣지를 통한 새로운 웹브라우저 경험(New Microsoft Edge experience) 제공 – 엣지에도 채팅, 콘텐츠 작성 등 AI 기반의 신규 기능이 추가된다. 예컨대 엣지 사이드바의 채팅 기능을 활용해 장황한 재무 보고서를 요약하고, 이에 대한 주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경쟁사 재무 정보와의 비교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자동으로 표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 작성 기능을 활용하면 몇 개의 텍스트 프롬프터만으로도 링크드인(LinkedIn) 게시물과 같은 콘텐츠 초안을 작성하고, 게시물의 어조, 형식, 길이 등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