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리뷰 / 사용기 : 직접 작성한 사용기를 올릴 수 있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 중복해서 올렸거나 다른 사이트의 필드테스트, 업체 이벤트 관련 사용기는 홍보 / 필테 게시판에 올려 주세요.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삭제 및 글쓰기를 막습니다. 메인 리뷰는 업체에서 제품을 대여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DSC08088.JPG

 

현재 CPU 시장에서 AMD의 인기가 얼마나 높은지는 굳이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이 뜨거운(온도 말고 반응이) CPU에 비해 메인보드 쪽은 다소 미지근해 보이는데요. AMD는 칩셋 호환성이 좋아서 굳이 메인보드를 바꾸지 않아도 새 CPU를 쓸 수 있고요. X870 시리즈는 가격이 비싸고 B850은 기존 칩셋에 비해 달라진 점이 크지 않아서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다 핑계일 뿐입니다. 사람들이 새 메인보드를 사지 않는 건, 업그레이드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매력적인 제품이 없어서 그랬던 건 아닐까요? CPU나 칩셋 이전에 메인보드의 스펙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춘다면, 그것만으로도 구입을 자극할만한 이유는 충분히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지금 여기에 박격포라는 아주 큰 자극이 등장했습니다. 


MSI 박격포는 한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은 메인보드 시리즈입니다. 칩셋은 메인스트림인 B 시리즈지만 튼튼한 전원부, 묵직한 방열판, 넉넉한 스토리지, 풍부한 기능을 갖춰 하이엔드 시스템 부럽지 않은 메인스트림 메인보드로 자리 잡았고요. 스펙에 비해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가성비 또한 출중하다는 평가를 얻고 있습니다. 이번 MSI MAG B850M 박격포 WIFI는 그 박격포 시리즈의 전통을 이어 받아, 12+2+1 페이즈의 탄탄한 전원부에 튼튼한 방열한을 장착해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고요. 최신 칩셋인 B850을 도입해 PCIe 5.0 x4의 고속 M.2 SSD를 지원하며, 빨라진 속도 만큼 늘어난 열을 커버하기 위해 M.2 SSD의 위아래로 방열판을 달아 온도를 잡았습니다. 또 3개의 M.2 슬롯과 4개의 SATA 포트, 2개의 확장 슬롯으로 변함없이 우수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USB 타입 C 20Gbps와 WiFi 7 무선 랜 등의 고속 규격을 도입해 안밖으로 모두 빠른 속도를 누릴 수 있습니다. 

 

DSC08077.JPG

 

제품명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CPU

AMD 라이젠 9000/8000/7000 시리즈 데스크탑 프로세서

소켓 AM5
전원부 12+2+1 페이즈 60A SPS 디지털 전원부, 방열판 탑재
칩셋 AMD B850
메모리

DDR5 메모리 슬롯 4개, DDR5-8200 OC 최대 256GB 장착 가능

AMD EXPO, 듀얼 채널, 논 ECC/언버퍼드 메모리, 고효율 모드, CUDIMM 지원

확장 슬롯

PCI_E1: CPU에 연결, PCIe 5.0 x16(스틸 아머와 SMT 공정으로 보강 처리, EZ PCIe 릴리스)

PCI_E2: 칩셋에 연결, PCIe 4.0 x4(슬롯 크기 x4, 끝 부분 뚫려 있음)

스토리지

SATA 6Gbps 포트 4개

M.2 슬롯 3개, 전면 슬롯은 양면 방열판 제공, EZ 클립 고정

M.2_1(PCIe 5.0 x4, CPU에 연결, M.2 2280/2260)

M.2_2(PCIe 5.0 x4, CPU에 연결, M.2 2280/2260) 

M.2_3(PCIe 4.0 x2, 칩셋에 연결, M.2 2280)

내장 그래픽 출력

HDMI 2.1 x1(8K 60Hz)

오디오

리얼텍 ALC4080 코덱. 7.1채널 HD 오디오, S/PDIF 출력

네트워크

리얼텍 8126-VB 5Gbps 유선 랜

주요 특징

2온스 구리 사용, 8층 구성, 서버 등급 기판

전원부/칩셋/M.2 방열판 

MSI EZ 커넥트 지원

ATX 3.1 지원, 8핀 확장 카드 보조전원

EZ PCIe 릴리즈 슬롯 고정 장치

EZ M.2 실드 프로져 2 방열판

EZ M.2 클립 고정 장치

EZ Wi-Fi 안테나 고정

I/O 패널 기본 장착

무선랜, 블루투스

Wi-Fi 7. 2.4GHz, 5GHz, 6GHz(320MHz) 조합으로 최대 5.8Gbps 지원, 802.11 a/b/g/n/ac/ax/be

블루투스 5.4, MLO, 4KQAM 

디버그 LED

EZ 디버그 LED x4

EZ 메모리 감지 LED x1 

백패널 클리어 CMOS 버튼 x1
플래시 바이오스 버튼 x1
HDMI 2.1 x1
5Gbps 랜 x1
USB 10Gbps 타입 A x3
USB 20Gbps 타입 C x1
USB 10Gbps 타입 C x1
USB 5Gbps 타입 A x4
Wi-Fi 7 안테나 x2
3.5mm 마이크 x1
3.5mm 스피커 x1
S/PDIF x1
권장 운영체제 윈도우 11 64비트  
폼펙터 M-ATX. 243.84x243.84mm
박스 구성 EZ Wi-Fi 안테나
SATA 케이블 x1
EZ M.2 클립 x2
M.2 나사 x1
빠른 설치 가이드
유럽 지역 안내문
EZ M.2 클립 2 리무버
케이블 스티커
1to2 EZ 커넥터 케이블
EZ 프론트 패널 케이블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79397648 
가격 미정

 

 

메인보드 뒷면까지 활용해서 여유롭게

 

DSC08082.JPG

 

박격포의 인기가 높은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죠.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건 가로세로 243.84mm로 한정된 마이크로 ATX 폼펙터 안에 ATX 메인보드 부럽지 않은 확장성과 기능을 갖춰서라 생각합니다. 물론 폼펙터의 한계는 있습니다. 확장 슬롯을 배치할 공간이 제한적인데 그 사이에 M.2 슬롯까지 넣어야 하거든요. 그래서 타협이 필요합니다. MSI MAG B850M 박격포 WIFI는 2개의 확장 슬롯을 넣었습니다.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는 1번 슬롯은 PCIE 5.0 x16 인터페이스라 앞으로 나올 차세대 그래픽카드도 성능 손실 없이 완벽하게 지원하며, 스틸 아머로 슬롯을 보강해서 무거운 그래픽카드도 든든하게 지탱합니다. 그리고 메인보드 끝으로 고정 버튼을 빼낸 EZ PCIe 릴리스 구조를 도입해, 아무리 두꺼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해도 불편함 없이 그래픽카드를 고정하고 또 풀어줍니다. 두 번째 슬롯은 PCIe 4.0 x4입니다. 1번 슬롯 사이에 2개 슬롯에 해당하는 여유 공간이 있어, 두꺼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해도 간섭이 없고요. 끝 부분이 뚫려 있어 x16 길이의 카드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요새 메인보드에서 스토리지에 신경 좀 썼다는 말을 들으려면 PCIe 5.0을 지원하는 M.2 슬롯이 최소 하나는 있어야 하고요. PCIe 5.0 SSD의 발열이 높을 수밖에 없으니 방열판을 위아래로 깔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수도 많아야 하고요. 박격포는 M-ATX라는 폼펙터 안에서 최대한 많은 M.2 슬롯을 넣고, 또 그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메인보드 뒷면까지 활용하는 결단을 내렸습니다. 메인보드 앞쪽에는 2개의 M.2 슬롯이 있습니다. 모두 PCIe 5.0 x4 슬롯이라 속도가 빠르고요. M.2 SSD 위아래로 방열판을 달아 높은 속도를 유지합니다. 또 EZ M.2 방식으로 SSD를 고정하고, 방열판의 탈/부착에도 나사가 필요 없이니 조립도 쉽지요. 그리고 메인보드 뒷면에도 M.2 슬롯을 하나 넣었습니다. 3개나 되는 M.2 슬롯 중에 2개가 고성능 M.2를 지원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성능보다는 대용량 SSD 위주로 장착하면 성능과 용량에서 모두 부족하지 않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 아직까지 현역인 SATA 포트도 4개가 있어 2.5인치 SSD나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공간을 넉넉히 제공합니다. 

 

자세히 보기

DSC08063.JPG

 

제품 박스 전면

 

DSC08066.JPG

 

제품 박스 뒷면

 

DSC08067.JPG

 

박스 내부. 가장 위에는 WiFi 안테나가, 중간에는 메인보드가, 가장 아래에는 부속품이 있습니다.

 

DSC08068.JPG

 

빠른 설치 가이드와 케이블 관리용 스티커.

 

DSC08069.JPG

 

SATA 케이블, EZ 프론트 패널 케이블, 1to2 EZ 커넥터 케이블, EZ M.2 클립 x2, EZ M.2 클립 2 리무버, M.2 나사 x1
 

DSC08070.JPG

 

Wi-Fi 안테나

 

DSC08071.JPG

 

커넥터를 돌려서 고정할 필요 없이 꽂으면 장착이 끝나고 당기면 빠지는 간단한 구조를 채택했습니다. 

 

DSC08081.JPG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메인보드 

 

DSC08086.JPG

 

크기 243.84x243.84mm의 마이크로 ATX 폼펙터

 

DSC08092.JPG

 

메인보드 위쪽입니다. AM5 소켓 왼쪽과 위의 전원부에 두꺼운 알루미늄 방열판을 덮었으며, 오른쪽에는 4개의 메모리 슬롯이 있습니다. 

 

slot.gif

 

PCIe 5.0 x16 슬롯의 확장 카드를 간편하게 잡아주는 EZ PCIe 릴리즈 기능이 있습니다. 오른쪽 끝의 버튼을 누르면 슬롯이 카드를 잡아주고, 다시 누르면 잠금 장치가 풀립니다. 

 

DSC08138.JPG

 

PCIe 5.0 x16 슬롯은 스틸 아머로 보강 처리해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든든하게 지탱합니다. 

 

DSC08093.JPG

 

아래에는 PCIe 5.0 x16 슬롯과 PCIe 4.0 x4 슬롯, 2개의 M.2 슬롯이 있습니다. M.2와 칩셋 위에는 방열판이 있습니다.

 

DSC08101.JPG

 

M.2 슬롯 옆의 잠금 장치를 누르면 방열판이 제거됩니다.

 

DSC08102.JPG

 

2개의 M.2 슬롯은 PCIe 5.0 x4 인터페이스로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M.2 SSD 위아래로 방열판과 써멀 패드를 부착해 온도를 낮춰줍니다.

 

 

DSC08141.JPG

 

또 M.2 슬롯은 EZ M.2 클립을 사용해, 드라이버 없이 클립 손잡이를 돌려서 고정합니다. 

 

DSC08091.JPG

 

SATA 6Gbps 포트 4개

 

DSC08090.JPG

 

백패널 I/O 실드가 메인보드에 기본 장착됩니다. 

클리어 CMOS 버튼 x1

플래시 바이오스 버튼 x1
HDMI 2.1 x1
5Gbps 랜 x1
USB 10Gbps 타입 A x3
USB 20Gbps 타입 C x1
USB 10Gbps 타입 C x1
USB 5Gbps 타입 A x4
Wi-Fi 7 안테나 x2
3.5mm 마이크 x1
3.5mm 스피커 x1
S/PDIF x1

 

DSC08094.JPG

 

메인보드 뒷면입니다.

 

DSC08103.JPG

 

여기에도 M.2 슬롯이 하나 있습니다. 

 

DSC08104.JPG

 

M.2 2280 규격의 SSD를 장착할 수 있으며 PCIe 4.0 x2로 작동합니다.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기에는 충분한 스펙입니다. 

 

 

 

가장 무거운 M-ATX 메인보드 아닐까?

 

DSC08079.JPG

 

이 글을 쓰기 전에 B850 칩셋을 쓴 다른 메인보드는 뭐가 있나 찾아봤습니다. 확장 슬롯과 스토리지 구성에서 박격포와 동급의 스펙을 제공하는 메인보드는 제법 있더라고요. 그런데 튼실한 전원부 위에 묵직한 방열판을 두른 메인보드는 그 수가 많지 않았습니다. CPU 소켓 왼쪽과 위쪽으로 나뉜 전원부 중에, 왼쪽 전원부만 방열판을 달아두고 위쪽 전원부는 허전하게 비워둔 제품들이 대부분이더라고요. 물론 작동에는 문제가 없으니까 그렇게 만들었을 겁니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알루미늄 방열판 하나도 붙여두지 않은 메인보드의 전원부 온도가 낮을 리가 없겠고, 그런 메인보드의 전원부가 탄탄한 구성을 지닐 거라고 기대해서도 안 될 것입니다. 그런 제품이 나쁘다는 건 아니고요. 간단한 전원부만큼 가격을 저렴하게 낮추고, 라이젠 5 정도나 장착해서 아무런 튜닝 없이 그대로 쓰는 용도라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마이크로 ATX 폼펙터에서 하이엔드 CPU를 장착하고, 그 성능을 100% 활용할 수 있는 메인보드가 필요하다면 역시 박격포 수준의 제품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MSI MAG B850M 박격포 WIFI는 매우 무겁습니다. 메인보드가 노트북이나 그래픽카드처럼 무게를 따지는 물건은 아니라 다른 제품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다른 마이크로 ATX 폼펙터 메인보드와 비교하면 절대로 가벼운 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무거운 이유는 방열판을 아끼지 않고 장착해서 그렇습니다. 모든 전원부 위에 두툼한 알루미늄 방열판을 장착해서 온도를 낮춰주고요. 칩셋에도 가벼운 알루미늄 조각이 아닌 묵직한 알루미늄 덩어리를 올려서 온도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퍼지도록 했습니다. M.2 슬롯도 위아래로 알루미늄 방열판을 장착해서 고른 열 확산을 도와주고요. 상단 M.2 방열판은 고정 나사 없이 스프링 래치로 고정하는 방식이라 분해와 조립에 드라이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모든 방열판 아래에는 7W/mK의 열 전도율을 지닌 고성능 써멀 패드를 부착하고, 패드 전체가 부품에 닿도록 고른 장력을 유지합니다. 또 I/O 실드가 기본 장착되어 조립이 편합니다. 

 

자세히 보기

DSC08108.JPG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메인보드. 개나 고양이는 털빨이라 털을 깎아 놓으면 참 볼품 없어지는데, 이 메인보드는 방열판을 벗겨도 부품이 꽉 차 있네요.

 

DSC08148.JPG

 

좌측 전원부 방열판입니다. MSI 로고를 제외하면 특별한 장식은 없으며 묵직한 무게를 자랑합니다.

 

DSC08153.JPG

 

상단 전원부 방열판입니다. 보급형 메인보드들이 상단 전원부에는 방열판을 장착하지 않거나, 간단한 알루미늄 방열판을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박격포는 그런 메인보드와는 다르게 두꺼운 알루미늄 덩어리를 씁니다.

 

DSC08160.JPG

 

칩셋 방열판. 방열판의 두께도 두께지만, 써멀 패드를 보면 칩셋과 확실하게 접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부 고가형 메인보드 중에는 저 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문제인 제품들이 있었죠. 

 

DSC08158.JPG

 

M.2 슬롯 상단 방열판. 스프링 방식의 고정 장치가 있어, 나사 없이 간단하게 고정됩니다. 

 

DSC08146.JPG

 

M.2 슬롯 하단 방열판. 여기에도 써멀 패드를 부착해 열 전도를 돕습니다. 

 

DSC08145.JPG

 

EZ PCIe 릴리즈 PCIe 슬롯 고정 장치입니다. 버튼을 누르면 잠기고, 다시 누르면 풀립니다. 

 

DSC08155.JPG

 

후면 I/O 패널

 

 

Wi-Fi 7 있어요. 5Gbps 랜 있어요.

 

DSC08084.JPG

 

전원부는 총 15 페이즈입니다. 그 중 CPU 코어에 12페이즈의 60A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가 할당되어, 높은 전력도 안정적으로 공급합니다. 보조전원 포트는 하이엔드 메인보드의 상징과도 다름없는 8핀 2개를 사용합니다. 메모리 슬롯은 총 4개입니다. 8200MT/s 이상의 오버클럭을 지원하며 AMD의 오버클럭 프로파일인 EXPO는 물론이고 인텔 XMP 규격 메모리도 설정 값을 불러오는 A-XMP를 지원합니다. 메모리 모듈 1개당 64GB씩 최대 256GB의 시스템 메모리를 듀얼 채널로 구축할 수 있으며, 앞으로 채택 사례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고클럭 메모리의 새로운 규격인 CUDIMM 역시 지원합니다. 또 SMT 방식의 슬롯 부품을 사용해 높은 품질을 제공하며, 4개의 EZ 디버그 LED 외에도 EZ 메모리 감지 LED를 장착해 시스템 트러블슈팅이 간편합니다. 그리고 사소하지만 조립 편의성에 큰 영향을 주는 변화도 볼 수 있었는데요. 모든 핀헤더와 쿨링팬 헤더가 가로 방향으로 통일됐고요. MSI CPU 쿨러와 케이스 사이에 케이블 하나로 연결할 수 있게 도와주는 EZ 커넥터 헤더를 제공합니다. 

 

아직도 1Gbps 랜이면 인터넷 정말 빠르다는 소리가 나오고, WiFi 6E만 해도 제대로 지원하는 공유기가 비싸다는 소리가 나오지만, MSI는 네트워크 스펙의 눈높이를 계속해서 올려나가는데 열심입니다. 5Gbps 속도의 유선 랜과 Wi-Fi 7 무선 랜, 그리고 블루투스 5.4를 지원하거든요. 무선랜은 동봉된 안테나를 연결하면 쓸 수 있으며, 안테나를 돌려서 고정하는 게 아니라 꽂기만 하면 고정이 끝나는 EZ 안테나를 사용합니다. USB 확장성도 준수합니다. 20Gbps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USB-C 포트가 전면 1개, 뒷면 1개가 있고요. 10Gbps 속도의 타입 C 포트도 역시 전/후면에 1개씩 있습니다. 10Gbps의 타입 A 포트는 뒷면 3개가, 5Gbps 타입 A는 뒷면 4개와 전면 2개를 제공합니다. 이제는 케이스 포트에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주변기기 연결용으로 많이들 쓰는 USB 2.0 핀헤더도 4개가 있습니다. 내장 사운드는 리얼텍 ALC4080으로 7.1채널 USB 출력과 S/PIDF 연결이 가능합니다. 

 

자세히 보기

DSC08107.JPG

 

AM5 소켓을 둘러싼 12+2+1 페이즈 전원부.

 DSC08112.JPG

 

CPU 소켓 왼쪽의 8+1 페이즈 전원부

 

DSC08113.JPG

 

V코어 전원부는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의 MP87661 60A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를 사용합니다. 그 옆에는 기타 1페이즈 기타 전원부가 있습니다. 

 

DSC08114.JPG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의 MP2857 컨트롤러와 2개의 8핀 보조전원이 있습니다.

 

DSC08115.JPG

 

소켓 상단에는 4+2 페이즈 전원부가 있습니다. 왼쪽 4개가 V코어, 오른쪽 2개가 SoC입니다. 

 

DSC08116.JPG

 

SoC 전원부는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의 MP8761 60A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를 사용합니다. 오른쪽에는 메모리 전원부가 있습니다. 

 

DSC08117.JPG

 

4개의 메모리 슬롯입니다. DDR5 8200MT/s까지 오버클럭을 지원하며, 듀얼 채널 구성으로 최대 256GB 용량의 시스템 메모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AMD의 EXPO 오버클럭 프로파일과 CUDIMM 규격 메모리도 지원합니다. 

 

DSC08118.JPG

 

메모리 슬롯 옆에는 CPU 팬, 펌프 팬, 시스템 팬, ARGB LED 연결 핀헤더가 하나씩 있으며, 이를 컨트롤하는 칩도 붙어 있습니다. 또 EZ 디버그 LED가 있어 시스템 부팅 과정 중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DSC08119.JPG

 

24핀 ATX 전원 커넥터와 전면 USB-C 핀헤더입니다.

 

DSC08120.JPG

 

AMD B850 칩셋

 

DSC08121.JPG

 

전면 USB 핀헤더를 위한 ASM1543 스위치

 

DSC08122.JPG

 

메인보드 하단 핀헤더입니다. 시스템 팬 단자 2개, aRGB LED 단자, 전면 핀헤더, 전면 USB 3.0 타입 A 핀헤더가 있고요.

 

DSC08123.JPG

 

그 옆에는 전면 USB 2.0 핀헤더 2개, 그래픽카드의 안정적인 구동을 돕는 8핀 보조전원, MSI 쿨러나 케이스와 케이블 하나로 연결하는 EZ 커넥터, 시스템 팬 핀헤더가 있습니다. 

 

DSC08124.JPG

 

전면 오디오 패널, RGB, aRGB LED 커넥터도 있습니다.

 

DSC08126.JPG

 

PCIe 스위치 칩

 

DSC08128.JPG

 

리얼텍 ALC4080 오디오와 오디오 전용 캐패시터

 

DSC08129.JPG

 

제네시스 로직 GL3523 USB 3.1 Gen1 허브 컨트롤러

 

DSC08130.JPG

 

백패널 사운드 포트 옆에 붙은 코인 배터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이렇게 디자인했습니다. 

 

DSC08131.JPG

 

리치텍 RT3672EE 2페이즈 PWM 컨트롤러, TPM 모듈 장착용 헤더, USB 포트의 바이오스 플래시백 기능을 제공하는 Fintek의 F75540(504AN으로 표기), 24MHz 수정 진동자, 매크로닉스의 시리얼 NOR 플래시 메모리.

 

DSC08132.JPG

 

WiFi 모듈 장착용 M.2 슬롯, PI3EQX2 시리즈 리드라이버

 

DSC08133.JPG

 

리얼텍 RTL8126 5Gbps 랜, ASmedia ASM1543 10Gbps USB-C 스위치, PI3EQX2 시리즈 리드라이버, GS7133 리니어 레귤레이터.

 

DSC08136.JPG

 

리얼텍 RTD2151 HDMI 8K 60Hz 출력 칩

 

DSC08139.JPG

 

PCIe 4.0 x4 슬롯. 끝 부분이 뚫려 있어 x16 길이의 확장 카드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DSC08140.JPG

 

2개의 M.2 슬롯

 

DSC08142.JPG

 

M.2 슬롯 아래의 누보톤 NCT1668TD-R 슈퍼 I/O 컨트롤러, NCT1262Y 10채널 LED 인터페이스 칩, 윈본드 시리얼 플래시 메모리.

 

DSC08095.JPG

 

메인보드 뒷면의 AM5 소켓 백플레이트.

 

DSC08096.JPG

 

각종 인증 로고

 

DSC08097.JPG

 

조립 주의 안내문.

 

DSC08105.JPG

 

WiFi 7 무선 랜 모듈. 퀄컴 QCNCM865를 사용합니다. 

 

DSC08106.JPG

모듈 내부.

 

 

역대급으로 세련된 클릭 바이오스 X

 

DSC08078.JPG

 

MSI는 800 시리즈 칩셋 메인보드부터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를 대대적으로 개선한 클릭 바이오스 X를 사용합니다. 기본 화면인 EZ 모드에서는 시스템의 현재 설정과 작동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하며, 가장 많이 쓰는 기능들을 모아서 빠르게 설정 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EZ 컨피그와 그 위쪽 영역에는 시스템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PBO나 메모리 설정을 모았고요. 최상단 우측 아이콘에선 바이오스 전체의 편의 기능을, 아래의 드라이브 아이콘에서는 부팅 순서를 변경합니다. 어드밴스드 모드로 바꾸면 그 어떤 메인보드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는 상세한 설정을 제공합니다. 메인스트림 칩셋에서도 오버클럭 제한을 두지 않는 AMD의 후한 인심과 더불어, 튼튼한 전원부와 방열판을 갖춘 박격포의 제 실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곳이지요. 오버클럭이나 설정에 관련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여기에서는 X3D 프로세서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뽑아내거나, SK 하이닉스 메모리 칩을 쓴 램을 최적화하고, 고효율 모드나 레이턴시를 낮추는 기능들을 활용해 시스템의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번들 프로그램은 무겁고 거추장스럽다고 욕을 많이들 먹지만, 모듈식 구조를 도입한 MSI 센터는 그런 비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입니다. 꼭 필요한 모듈만 설치해서 시스템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니까요. 최근 트렌드에 맞춰서 AI를 활용해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는 AI 엔진, AI를 활용해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AI 랜 매니저가 있고요. 메인보드 자체에 RGB LED가 달려 있진 않지만 여기에 연결된 RGB LED를 통합 관리하는 미스틱 라이트, 시스템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모듈들이 있습니다. 또 USB 핀헤더를 통해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MSI의 고급형 주변기기의 모니터링과 설정도 MSI 센터에 모여 있습니다. 

 

클릭 바이오스 X

자세히 보기

수정됨_20250406193224.jpg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는 EZ 모드. 오른쪽에는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간단하게 보여줍니다. 

 

ezmode.gif

 

우측 상단 아이콘에서 여러 바이오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단 좌측에서 빠른 최적화를, EZ 컨피그와 EZ 온/오프에서 여러 기능을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50406193236.jpg

 

저장과 종료

 

수정됨_20250406193245.jpg

 

하드웨어 모니터링. 쿨링팬의 작동 범위도 여기에서 설정합니다.

 

수정됨_20250406193255.jpg

 

AMD CPU 성능 최적화의 핵심인 PBO.

 

수정됨_20250406193312.jpg

 

프로파일 저장/불러오기

 

수정됨_20250406193322.jpg

 

즐겨찾기

 

수정됨_20250406193332.jpg

 

바이오스 설정 변경 내역

 

수정됨_20250406193356.jpg

 

검색

 

수정됨_20250406193815.jpg

 

CPU 정보

 

수정됨_20250406193821.jpg

 

메모리 정보

 

수정됨_20250407054529.jpg

 

바이오스 업데이트인 M 플래시 

 

ad1.gif

 

시스템 상태와 DMI 정보

 

ad2.gif

 

PCIe, SATA, 사운드, 네트워크 등의 메인보드 기본 기능 설정. 

 

ad3.gif

 

ad4.gif

 

AMD 오버클럭 기능 

 

 

ad5.gif

 

MSI가 제공하는 오버클럭 기능

 

ad6.gif

 

오버클럭 기능의 메모리 관련 설정. EXPO 프로파일 설정, 고효율 모드, 레이턴시 킬러 등의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ad7.gif

 

기타 오버클럭 설정

 

ad8.gif

 

보안 설정

 

ad9.gif

 

부팅 기능 

 

수정됨_20250406195342.jpg

 

설정 저장과 종료

 

MSI 센터

자세히 보기

Cap 2025-04-07 09-50-16-921.png

 

MSI 센터는 필요한 기능만 골라서 설치하는 모듈식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Cap 2025-04-07 09-51-47-270.png

 

시스템 모니터링

 

Cap 2025-04-07 09-51-57-599.jpg

 

AI 성능 최적화인 AI 엔진

 

Cap 2025-04-07 09-52-05-104.png

 

화면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하는 트루 컬러

 

Cap 2025-04-07 09-52-07-866.png

 

트루 컬러의 조정 슬라이더

 

Cap 2025-04-07 09-52-17-075.png

 

AI 랜 매니저

 

Cap 2025-04-07 09-52-22-457.png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Cap 2025-04-07 09-52-28-262.png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Cap 2025-04-07 09-52-44-842.png

 

WiFi 신호를 분석합니다.

 

Cap 2025-04-07 09-52-54-255.png

 

메인보드에 연결한 RGB LED를 컨트롤하는 미스틱 라이트

 

Cap 2025-04-07 09-53-11-607.png

 

시스템 진단

 

Cap 2025-04-07 09-53-25-721.png

 

쿨링 위저드 팬 설정

 

Cap 2025-04-07 09-53-31-060.png

 

Cap 2025-04-07 09-53-35-899.png

 

MSI 센터는 USB 핀헤더를 통해 연결된 다른 MSI 제품들의 설정 기능도 제공합니다. 

 

 

플래그쉽 CPU를 소화하는 메인스트림 메인보드

 

DSC08080.JPG

 

B850이 하이엔드 칩셋은 아니고 박격포 역시 아주 고가의 메인보드는 아닙니다. 하지만 MSI MAG B850M 박격포 WIFI에 탑재된 튼튼한 구성의 전원부와 묵직한 방열판 덕분에 AM5 플랫폼 최고의 CPU를 100%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선 현재 나온 AM5 CPU 중 가장 전력을 많이 쓰고 시스템의 부담도 큰 라이젠 9 9950X를 장착해서 테스트했는데요. CPU의 성능을 거뜬히 발휘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풀로드 테스트에서도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전압을 볼 수 있었습니다. 풀로드 테스트에서 전원부 표면 온도는 50도, 방열판은 40도 중반으로 온도를 염려할 필요는 없어 보이고요. M.2 슬롯은 PCIe 5.0 x4을 지원하니까 고성능 SSD도 문제 없이 구동합니다. 그래서 박격포라면 하이엔드 시스템을 충분히 만들고도 남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8111.JPG

 

현재 나온 AM5 CPU 중 가장 전력 부담이 큰 라이젠 9 9950X로 간단히 성능 테스트를 했습니다. 

 

Cap 2025-04-07 07-38-04-242.png

 

CPU-Z에서 인식한 라이젠 9 9950X

 

Cap 2025-04-07 07-38-05-823.png

 

CPU-Z에서 인식한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메인보드. 

 

 

Cap 2025-04-07 07-38-07-530.png

 

 

DDR5-6000 CL28 32GB 메모리를 사용했습니다. 

 

Cap 2025-04-07 05-23-36-875.jpg

 

메모리와 캐시 대역폭/레이턴시

 

Cap 2025-04-07 08-17-51-077.png

 

CPU-Z 내장 벤치마크

 

Cap 2025-04-07 08-14-46-632.png

 

시네벤치 2024 벤치마크

 

Cap 2025-04-07 10-17-25-116.png

 

시네벤치 R23 벤치마크

 

Cap 2025-04-07 10-18-28-730.png

 

X.264 FHD 인코딩 벤치마크

 

Cap 2025-04-07 10-19-42-257.png

 

7Zip 벤치마크

 

Cap 2025-04-07 10-24-55-836.jpg

 

블렌더 벤치마크(CPU)

 

Cap 2025-04-07 10-26-25-620.jpg

 

코로나 벤치마크

 

Cap 2025-04-07 10-28-03-692.jpg

 

V레이 5

 

Cap 2025-04-07 10-29-37-825.jpg

 

V레이 6

 

Cap 2025-04-07 07-25-37-987.png

 

PCIe 4.0 x4 M.2 SSD의 성능

 

Cap 2025-04-07 07-32-51-479.png

 

후면 USB-C 20Gbps 포트에 연결한 외장 SSD의 성능

 

Cap 2025-04-07 06-16-33-700.png

 

20분 간 FPU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의 전압 변동

 

BMQX1949.JPG

 

20분 간 FPU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의 전원부, 방열판, 칩셋 온도

 

Cap 2025-04-07 04-15-16-165.png

 

4K 이상 고해상도 출력을 지원하는 HDMI 포트

 

Cap 2025-04-07 09-43-00-680.png

 

퀄컴 패스트커넥트 7800 듀얼 블루투스 5.3

 

Cap 2025-04-07 09-43-21-184.png

 

퀄컴 패스트커넥트 7800 Wi-Fi 7 무선랜

 

Cap 2025-04-07 09-43-37-421.png

 

5Gbps 이더넷

 

Cap 2025-04-07 09-44-02-858.png

 

다양한 USB 포트 제공

 

Cap 2025-04-07 09-44-05-916.png

 

TPM 2.0 지원

 

Cap 2025-04-07 09-44-31-677.png

 

 

 

MSI MS-7E61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DSC08074.JPG

 

한국 시장에서 특히 인기가 높은 박격포 시리즈 메인보드의 최신작이 B850 칩셋을 달고 돌아왔습니다. 전 세대에서 그랬던대로 튼튼한 전원부와 묵직한 방열판으로 하이엔드 CPU를 완벽하게 지원하며, Wi-Fi 7과 5Gbps 랜까지 갖춰 네트워크 성능 역시 출중합니다. USB 포트는 전/후면 모두 20Gbps의 고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여전히 많이 쓰는 타입 A 포트 역시 넉넉하게 갖췄습니다. 가장 돋보이는 스펙은 스토리지 확장성입니다. 2개의 PCIe 5.0 x4 규격 슬롯을 전면에 배치하고, EZ 클립으로 조립이 쉬우면 위아래로 방열판을 달아 낮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또 메인보드 뒷면 공간을 활용해 총 3개의 M.2 슬롯과 4개의 SATA 포트를 갖춰, 마이크로 ATX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도 성능과 수량 모두 부족함이 없는 스토리지 확장을 제공합니다. 



  • profile
    title: 저사양Quinoa      힘세고 강한 슈퍼곡물! 2025.04.08 12:34
    잘 봤습니다!
    국내 출시가격이 잘 나왔으면 좋겠네요
  • profile
    title: 병약한토키 2025.04.08 13:37
    카드가 36만...
  • profile
    title: 저사양Quinoa      힘세고 강한 슈퍼곡물! 2025.04.08 18:55
    아..아앗...
  • profile
    title: AMD白夜2ndT      원래 암드빠의 길은 외롭고 힘든거에요! 0ㅅ0)-3 / Twitter @2ndTurning 2025.04.08 18:58
    만듦새는 참 마음에 드는데 스펙이 너무 탄탄하다보니 가격마저 빡빡해진게 아쉽네요...
  • profile
    title: 야행성Kylver      ヾ(*´∀`*)ノ   컴퓨터가 몬가요? 하하하하 2025.04.09 01:16
    용을 여기저기 넣다보니 좀 질렸었는데 MAG라인업이 깔끔하고 모던해서 마음에 들더군요. 그래서 이번에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므시꺼 사긴했는데.
    이 제품도 깔끔하네요.
  • ?
    포인트 팡팡! 2025.04.09 01:16
    Kylver님 축하합니다.
    팡팡!에 당첨되어 5포인트를 보너스로 받으셨습니다.
  • profile
    umpclife 2025.04.09 10:33
    이제 므시 박격포시리즈는 원탑이 되어 가는거 같네요. 기가바이트빠인 제가 봐도...이제 므시는 넘사벽
  • profile
    title: 컴맹소주 2025.04.10 21:33
    다음 메인보드는 MSI 제품으로 유심히 바야겠네요.
  • ?
    아이들링 2025.04.11 00:31
    기판뒤 M.2슬롯은 살짝 의외군요...하긴 m기판에 다 우겨넣으려면
  • ?
    고방석 2025.04.11 15:59
    전원부가 아쉬운데 걱정되는 사람은 atx보드로 살거고 오디오랑 랜은 돈 값하는 거 같습니다
  • profile
    Touchless 2025.04.15 22:05
    풀옵션 B850 M-ATX 메인보드군요. 'ㅅ')b


  1. 강력한 2팬이면 충분하지. MSI 지포스 RTX 5060 Ti 게이밍 OC D7 16GB 트윈프로져

    지포스 RTX 50 시리즈가 이제 5060 Ti까지 왔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평가는 호평만 나오진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플래그쉽다운 성능 향상을 이룬(가격 인상도 함께) 5090과는 달리, 나머지 제품들은 전 세대에...
    Date2025.04.16 메인 리뷰 By낄낄 Reply3 Views592 file
    Read More
  2. 묵직-하다. MSI MPG X870E CARBON WIFI 사용기

    들어가면서 6182? 6183?  무슨 숫자냐 싶으신 분도 계시겠지만, MSI 메인보드는 MS- 로 시작하는 보드 넘버를 가지고 있지요. (다들 알고 계시는 내용인가...)   제가 처음 구입했던 MSI 메인보드가 대략 저쯤이었을겁니다. 인텔 440BX 가...
    Date2025.04.14 사용기 By쏭대디 Reply10 Views317 file
    Read More
  3. 역시 박격포야, 묵직하구만. MSI MAG B850M 박격포 WIFI

    현재 CPU 시장에서 AMD의 인기가 얼마나 높은지는 굳이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이 뜨거운(온도 말고 반응이) CPU에 비해 메인보드 쪽은 다소 미지근해 보이는데요. AMD는 칩셋 호환성이 좋아서 굳이 메인보드를 바꾸지 않아도 새 CP...
    Date2025.04.08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1 Views1362 file
    Read More
  4.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AX-P 新雕妹

    짧은 설명: 雕妹(Diaomei)는 2020년에 기가바이트 (중국 지사)에서 만든 캐릭터입니다. RTX 30 시리즈 출시와 함께 잠깐 나왔다가 들어갔었는데, 작년 5월에 新雕妹 이름을 달고 보드에 달려 나왔습니다.     보드 스펙은 B760M AORUS ELI...
    Date2025.04.02 사용기 ByXEn0 Reply16 Views729 file
    Read More
  5. B850, 흰색, 그리고 ASUS ROG STRIX B850-A GAMING WIFI를 왜 샀을까?

     2016년 AMD의 Ryzen 1000 시리즈와 DDR4 램을 사용한 AM4 300번대 메인보드가 등장한 뒤 300 시리즈 메인보드들의 부실함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반영하여 400 시리즈 메인보드가 나왔습니다. 이후 PCIe 4.0 지원과 나머지 문제점들을 해...
    Date2025.04.02 사용기 By냐아 Reply14 Views636 file
    Read More
  6. AJAZZ AKS075 - alice 레이아웃 기계식 키보드

    저도 LED 번쩍 번쩍하는 키보드에 오덕 키갈이를 해보고 싶어서 키캡 교체가 가능한 키보드를 여러개 기웃거려 봤습니다. 한 20여년이 넘게 내추럴 키보드만 사용해오다가 1자형의 키보드를 사용해보니 1주일만에 손목이 아파지더군요. 그...
    Date2025.04.01 사용기 Bylaphir Reply4 Views770 file
    Read More
  7. IBM 64MB USB2.0 Memory Key 리뷰

      IBM에서 출시한 USB2.0 Memory Key 64MB 제품입니다. 박스 윗면에는 제품 분류 코드와 생산일이 적혀있습니다.     뒷면에는 워런티 카드가 있습니다.     박스를 열어보면 빨콩이 달려있는 USB가 바로 반겨줍니다.     더 열어보면 드...
    Date2025.04.01 사용기 By유지니1203 Reply18 Views780 file
    Read More
  8. 5090 나와! 두 개 나와! MSI MEG AI1600T PCIe 5.0

    하드웨어 벤치마크를 처음 시작할 무렵, 아는 분에게서 당시로선 매우 좋은 파워를 한 대 받았습니다. 얼마 전에 창고를 정리하다가 그 파워를 발견했는데, 처음 썼을 때는 매우 좋았을지 몰라도 이제 와서는 아주 평범하기 그지없는 스...
    Date2025.03.31 메인 리뷰 By낄낄 Reply6 Views1258 file
    Read More
  9. 두터운 철판, 강력한 팬, 넓은 바디.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옛날 컴퓨터 부품을 그리워하는 건 대부분 추억팔이에 불과합니다. 지금 싱글코어에 SSD도 없고 그래픽카드는 허접♡하기 그지없는데다 시끄럽기까지 한 시스템을 다시 쓰라고 한다면 바로 못 쓰겠다며 손사레를 칠걸요? 하지만 추억팔이...
    Date2025.03.31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1 Views1089 file
    Read More
  10. 그래도 사과보다는 저렴하다... - Z북 울트라 14 G1a 짧게 사용한 후기

    안녕하세요.  기글에는 정말 오랜만에 글을 남겨봅니다.   자바로 헬로 월드를 작성하는 정도 이외에 컴퓨터로 뭔가 대단한걸 할 줄은 모르지만... 시스템 메모리 128GB의 유혹 등등을 이기지 못하고 스트릭스 헤일로가 들어간 노트북을 ...
    Date2025.03.30 사용기 ByIris Reply8 Views781 file
    Read More
  11. 독창적인 기능과 디자인. 마이크로닉스 2025 신제품 발표회

    한미마이크로닉스는 3월 27일에 2025년 신제품 발표회를 열어 올해 출시할 주요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케이스는 다른 회사와 차별화되는 마이크로닉스만의 디자인을 계속해서 추구하고 완성도를 높이는 한편, 3면 강화 유리 패널의 루...
    Date2025.03.29 탐방, 발표 By낄낄 Reply11 Views1545 file
    Read More
  12. No Image

    파워를 더 큰 놈으로 바꿨습니다. 마이크로닉스 ASTRO II PT 1000W 80PLUS PLATINUM ATX3.0

    기존에 "마이크로닉스 ASTRO II PT 850W 80PLUS PLATINUM ATX3.0"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RX 7800 XT쓰면서 RX 9070 XT 존버하다가 생각보다 가격이 좀 나가는데다가 실제 레스터 성능은 조금 아쉽더라구요. 그래서 RX 7900 XTX로 ...
    Date2025.03.27 사용기 By불량딱지 Reply4 Views425
    Read More
  13. 더 커졌는데 여전히 십만원. MSI MP252L850 IPS 100 시력보호

    MSI가 저에게 시련을 안겨 주었습니다.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모니터를 리뷰하면서 https://gigglehd.com/gg/17141245 '모니터가 10만 원 밖에 안 한다(사실)' '충동구매를 하고 할 뻔했다(반쯤은 사실)' 등의...
    Date2025.03.27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1 Views1064 file
    Read More
  14. 괴물 사냥은 라데온으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위한 그래픽카드

    컴퓨터는 여러 일을 할 수 있지만, PC 게이머에게 컴퓨터란 곧 게임기입니다. 자신이 하려는 게임만 잘 돌아간다면 다른 건 신경을 쓰지 않는 수준을 넘어서, 플레이하려는 게임이 최고의 성능을 최적의 효율로 내면서 (가능하다면) 최선...
    Date2025.03.2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0 Views1175 file
    Read More
  15. MSI하면 역시 게이밍. MSI 지포스 RTX 5070 Ti 게이밍 트리오 OC 플러스 D7 16GB 트라이프로져4

    라데온 RX 9070 시리즈가 그래픽카드 시장을 한바탕 뒤흔들었습니다. 출시 후 3주가 지난 지금은 어떨끼요.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포스 RTX 5070은 확실히 판매량에 영향을 받은 게 맞지만, 지포스 RTX 5070 Ti 이상은 크게 충격을 받...
    Date2025.03.2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 Views60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 Next
/ 118

최근 코멘트 30개
UnderCut
17:31
Plasma
17:31
K_mount
17:25
NureKarasu
17:23
FactCore
17:22
스와마망
17:20
고자되기
17:18
애플마티니
17:01
스이드림
16:58
애플마티니
16:58
스이드림
16:56
스이드림
16:55
애플마티니
16:53
야생감귤
16:52
애플마티니
16:51
애플마티니
16:50
애플마티니
16:45
milsa
16:29
염발
16:13
야생감귤
15:56
토키
15:55
토키
15:54
360Ghz
15:51
milsa
15:51
야생감귤
15:50
360Ghz
15:49
360Ghz
15:46
MUSCLE
15:43
야생감귤
15:43
낄낄
15:35

더함
한미마이크로닉스
AMD
MSI 코리아
앱코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