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리뷰 / 사용기 : 직접 작성한 사용기를 올릴 수 있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 중복해서 올렸거나 다른 사이트의 필드테스트, 업체 이벤트 관련 사용기는 홍보 / 필테 게시판에 올려 주세요.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삭제 및 글쓰기를 막습니다. 메인 리뷰는 업체에서 제품을 대여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DSC06707.JPG

 

이번 리뷰는 참 위험했습니다. 모니터를 한 대 더 살 뻔했거든요. 32인치 이상 크기에 4K 해상도를 지닌 디스플레이 2대를 이미 쓰고 있으면서도 모니터를 새로 살까 고민할 정도라면 '화면이 정말 크고 해상도는 당연히 4K 이상이며 주사율은 높은 게이밍 디스플레이겠지? 거기에 더해서 OLED처럼 응답속도 빠르고 밝기 높고 색영역 괜찮은 고급스러운 패널을 썼을거야? '라고 추측하는 것이 매우 논리적인 사고 방식이겠으나, 그 중에 맞는 게 아무것도 없네요. 그럼 발상의 방향을 완전히 반대로 전환해서, 이게 엄청나게 예뻐서 하나 사고 싶은 생각이 들었느냐면 그것도 아니고요. 이 모니터를 사면 한정판 용용이 동상을 선착순으로 증정하기 때문에 일단 사서 MSI에 대한 팬심을 증명하고 생각은 그 나중에 해야 하는 상황이었냐면 그 역시도 아닙니다.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모니터의 스펙은 평범하기 그지 없습니다. 화면 크기는 지극히 평범한 24인치, 해상도도 그에 못지않게 평범 그 자체인 1920x1080의 풀 HD입니다. 주사율은 사무용 모니터 중에서는 비교적 높은 100Hz지만, MSI가 내놓는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 중에는 600Hz 짜리도 있으니 이게 충동구매의 원인은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모니터는 쌉니다. 출시 초기에는 9만 원이 채 되지 않았거든요. 9만 원 대라는 가격을 보고 난 뒤에 '평범하기 그지 없는' 스펙을 다시 보면 이제 평가가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MSI는 이걸 팔아서 과연 얼마나 남을까?'라고 생각했는데 차마 물어보진 못했고요. 그 다음에는 '지금 당장 필요하진 않지만,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하나 쯤 사 둬야 하지 않을까?'를 두고 고민 중입니다. 

 

DSC06694.JPG

 

제품명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패널 종류 IPS
표면 코팅 처리 안티 글레어(저반사 코팅)
화면 크기 24인치(60.452cm), 16:9 비율
가시 화면 영역 527.04x296.46mm
권장 해상도 1920x1080(FHD) 
픽셀 피치 0.2745mm
최대 표시 색상 1670만 컬러  
명암비

1000:1 

곡률 평면
색재현율 sRGB 104%(CIE 1976)
밝기

250cd/m2 

응답 속도 1ms 
시야각 상하/좌우 178도
리프레시율

100Hz

부가 기능

어댑티브 싱크

HDR

프레임리스 디자인

OSD 기능

플리커 프리, 블루라이트 감소

5방향 OSD 조작 버튼 

MSI 파워 링크

Eye-Q 체크 

스탠드 기능

-3.5~21.5도 각도 조절(틸트)  

입/출력 단자

DP 1.2a x1(1920x1080 100Hz) 

HDMI 1.4b x2(1920x1080 100Hz)

3.5mm 오디오 출력 

전원 공급 소비 전력 14W, 외장 어댑터, 12V 2A, 100-240V
크기

스탠드 포함 542x391x174mm

무게

3.5kg

베사 마운트 없음 
참고 일반: https://prod.danawa.com/info/?pcode=75657884
무결점: https://prod.danawa.com/info/?pcode=75657887

가격

95,000원 

(2025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친환경 포장에 조립하기 쉬운 디자인

 

DSC06695.JPG

 

MSI는 모니터 포장에서 친환경 기조를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어디처럼 전원 어댑터나 케이블을 빼고서 낭비를 줄였다고 자뻑을 저지르는 건 아니고요. 전원 어댑터도 HDMI 케이블도 설명서도 다 줍니다. 대신 재활용이 어려운 스티로폼이 아닌 종이 재질의 포장재를 사용하고, 그런 포장재로도 충분히 감당이 가능할 정도로 모니터의 무게를 줄였습니다. HDMI 케이블을 정리한 철사도 종이로 감싼 걸 보니 작은 부분까지도 신경을 썼구나 싶더라고요. 그리고 조립이 쉽습니다. 모니터가 가벼워지니 묵직한 스탠드를 쓸 필요가 없고, 스탠드와 모니터를 고정하는데 많은 공을 들일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스탠드 기둥과 받침대 모두 정해진 방향과 위치에 맞춰서 꽂아주기만 하면 조립이 끝나고요. 분리할 때는 고정 부위의 버튼을 누르면서 당기면 뽑힙니다.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는 깔끔하면서도 어디에나 잘 어울리는 프레임리스 디자인을 채택했습니다. 화면 상단과 양 옆은 눈에 거슬리는 베젤을 최소화했고, 화면 아래에도 MSI 로고만 남겨 뒀습니다. 스탠드 기능은 가장 기본적인 -5~20도의 틸트 조작만 가능하나, 가격이 저렴하고 화면이 크지 않은 제품이기에 이것만으로도 사용에는 불편함이 없습니다. 저렴한 가격의 사무용 모니터임에도 불구하고 5방향 OSD 조작 버튼을 쓴다는 점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덕분에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합니다. 입력 단자는 HDMI와 DP가 하나씩 있습니다. 모두 1920x1080 100Hz 입력을 지원하고요. 3.5mm 잭을 통해 스피커에 연결 가능합니다. 전원 공급은 외장 어댑터를 쓰지만 크기가 작아 공간을 차지하진 않습니다. 

 

DSC06670.JPG

 

DSC06671.JPG

 

제품 박스.

 

DSC06673.JPG

 

친환경 포장

 

DSC06674.JPG

 

전원 어댑터, 스탠드 기둥/받침대, HDMI 케이블, 사용자 설명서.

 

DSC06675.JPG

 

외장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지만 크기가 작아서 공간 활용에는 문제 없습니다. 

 

DSC06677.JPG

 

12V 2A에 프리볼트 전원 어댑터.

 

DSC06678.JPG

 

모니터 본체. 납작하고 또 가볍습니다.

 

 

DSC06680.JPG

 

뒷면 아래에 기둥을 맞춰 끼워줍니다.

 

DSC06681.JPG

 

기둥을 분리할 때는 위의 버튼을 누르면서 잡아 당기면 됩니다.

 

DSC06685.JPG

 

받침대도 기둥에 맞춰 끼워주면 조립이 끝납니다. 

 

DSC06686.JPG

 

기둥 뒤와 받침대의 플라스틱 클립을 활용해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DSC06699.JPG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입니다.

 

DSC06693.JPG

 

정면에서.

 

DSC06696.JPG

 

24인치 크기의 화면.

 

DSC06697.JPG

 

상단과 좌/우 양쪽은 베젤을 최대한 줄인 프레임리스 디자인을 사용합니다.

 

DSC06704.JPG

 

하단 중앙의 MSI 로고.

 

DSC06701.JPG

 

-3.5~21.5도 범위의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스탠드.

 

 

DSC06688.JPG

 

모니터 뒷면.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들기 위해서 베사 마운트 홀은 없앴습니다. 기본 스탠드로도 지탱은 충분하고, 미니 PC를 거치해야 한다면 모니터 아래 공간을 활용하면 됩니다. 

 

DSC06689.JPG

 

상단 MSI 로고.

 

DSC06690.JPG

 

5방향 OSD 조작 겸 전원 버튼, 전원 단자, 3.5mm 오디오 출력, DP 포트, HDMI 포트, 제품 정보.

 

DSC06691.JPG

 

 

반대편에는 프로 시리즈 로고와 켄싱턴 락이 있습니다. 

 

 

사무용으로 차고 넘치는 1920x1080 @ 100Hz

 

DSC06708.JPG

 

가장 위에서 24인치 크기에 1920x1080이 특별한 스펙은 아니라고 했지만, 그건 평범하다는 소리지 단점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전 세계 모니터 중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스펙이 바로 이 24인치 풀 HD일테고, 아쉽다는 말은 게이밍 모니터에서나 나오지 사무용 모니터로 쓰기에는 차고도 넘치는 스펙입니다. 24인치의 부담되지 않는 크기는 어떤 공간에도 올려둘 수 있으며, 1920x1080의 해상도는 일반적인 작업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여기에서 주사율은 욕심을 좀 부려서 100Hz로 높였습니다. 사무용 모니터가 게임처럼 현란하게 움직이는 화면을 보여줄 일은 별로 없겠지만, 어쨌던 주사율이 높을수록 더욱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준다는 건 사실이니까요. 1920x1080 해상도에 100Hz라면 내장 그래픽으로도 감당이 되는 스펙이기도 하고요. 100Hz를 더 얹어 줬다는 핑계로 가격을 올린 것도 아니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나쁠 게 전혀 없는 조건 되겠습니다. 

 

다른 스펙들도 크게 튀는 부분 없이 대체로 무난합니다. 1000:1의 명암비나 250cd/m2의 밝기는 일반적인 보급형 모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입니다. IPS 패널답게 상하좌우 178도의 넓은 시야각으로 화면을 표시하고, 1ms의 응답 속도로 잔상을 줄였습니다. 색 영역은 sRGB 기준 104%를 준수하며, 스파이더를 사용한 테스트에서도 그에 근접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감마는 표준인 2.2를 지켰고 색상 정확도는 평균값은 델타-E 1.09의 우수한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특정 색상만 다소 높게 나왔으나 가격을 고려하면 잘 잡은 편이라고 생각됩니다. 여기에 플리커 프리 기술을 도입해 화면 밝기를 낮춰도 화면이 깜박거리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화면 표면은 안티 글레어 저반사 코팅 처리를 해서 눈에 거슬리는 반짝거림을 억제했습니다. 

 

Cap 2025-02-25 17-31-10-190.png

 

1920x12080 100Hz의 화면 표시.

 

 

100Hz UFO 테스트, 플리커 프리(밝기를 조절해도 화면이 깜박이지 않음), 티어링, VRR, 프레임 스킵, MPRT 기능(화면에 프레임을 삽입해 부드럽게 표시), HDR 모드 테스트 영상.

 

DSC06714.JPG

 

1920x1080 해상도 표시

 

P3090926.JPG

 

RGB LED 픽셀 구성

 

DSC06715.JPG

 

가독성 테스트

 

DSC06783.JPG

 

상하 시야각

 

DSC06785.JPG

 

좌우 시야각

 

DSC06716.JPG

 

명암 표현

 

DSC06717.JPG

 

색상 표현

 

DSC06719.JPG

 

사진 표시

 

DSC06718.JPG

 

영상 재생

 

input.gif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간이 인풋랙 테스트. 두 화면에 표시되는 숫자의 차이가 적을수록 인풋랙도 낮습니다.

 

fe1a8700928036dcfa4af2e3c2f0a55a.jpg

 

화면 밝기에 따른 전력 사용량 변화

 
Cap 2025-02-25 17-41-33-234.jp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색 영역은 sRGB 93%

 

Cap 2025-02-25 17-41-44-076.png

 

감마는 표준값인 2.2 그대로

 

Cap 2025-02-25 17-41-49-523.png

 

밝기와 대비도는 공식 스펙에 근접한 234와 930:1을 기록했습니다.

 

Cap 2025-02-25 17-42-01-390.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12-923.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19-779.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23-766.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27-969.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31-973.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37-952.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45-902.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25 17-42-51-792.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E 1.09이며, 대부분의 색상에서 준수한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눈 건강 챙겨주는 모니터랍니다

 

DSC06711.JPG

 

사무용 모니터 시장을 공략하는 MSI 제품들은 Eye-Q 체크라는 눈 건강 관리 기능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OSD에서 해당 기능을 선택하면 실행되고, 아무거나 누르면 원래 화면대로 나옵니다. Eye-Q 체크에서 제공하는 눈 건강 관리 기능으로는 올바른 자세를 위해 모니터와 사용자의 눈 높이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세 교정, 황반 변성이라는 이름만 봐도 무서운 질환이 있는지를 미리 확인해보는 암슬러 격자 테스트, 난시가 오는지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테스트가 있습니다. 물론 이런 기능보다 더 중요한 것은 평소에 눈을 자주 쉬고,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며, 이런 기능들은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지 모니터 안에 의사가 한 명 사는 건 아님을 잊어선 안 됩니다. 

 

요새 MSI 모니터는 저렴한 모델에도 OSD를 차별 않고 신형 디자인과 게이밍 모니터에서나 볼법한 기능을 넣어 줍니다. 화면 표시 모드는 사용 용도에 맞춰 최적화된 프리셋을 제공합니다. 알람 시계, 주사율 표시, 조준선 표시 등은 게이밍 모니터에서 잘 어울리는 기능이 맞지만, 그래도 있으면 좋잖아요? 이미지 향상과 선명도 보정으로 더 나은 화질을 볼 수 있으며, HDCR 명암비 확장과 MPRT 프레임 삽입으로 더욱 부드러운 화면 표시, 화면 전체의 파란끼를 낮춰주는 블루라이트 감소 등의 보정 기능을 따로 선택 가능합니다. 모니터 뒷면의 5방향 OSD 조작 버튼을 사용해 직관적으로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방향키에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할당해두면 일일이 메뉴에 들어갈 필요 없이 원하는 기능을 빠르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hdr1.gif

 

hdr2.gif

 

HDR 표시 모드를 지원합니다.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HDR을 켜면 화면 우측 상단에 HDR 로고가 잠깐 떴다가 사라집니다. 화면의 밝기/색상 표현도 바뀌고요.

 

DSC06770.JPG

 

첫 번째 메뉴는 프로입니다. 모니터 사용에 도움을 주는 여러 기능들이 있습니다.

 

1mode.gif

 

화면 표시 모드

 

2mprt.gif

 

MPRT 기능

 

3etc.JPG

 

주사율, 알람 시계, 조준선 설정

 

DSC06772.JPG

 

중앙 조준선은 빨간색과 하얀색, 6가지 모양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DSC06773.JPG

 

알람 시계와 주사율은 표시되는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좌측 상단.

 

4eye.gif

 

Eye-Q 체크 기능들입니다. 자세 교정, 암슬러 격자, 난시 확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DSC06771.JPG

 

화면 표시 비율을 변경하고 어댑티브 싱크 기능을 켤 수도 있습니다.

 

5size.JPG

 

4:3 비율로 변경

 

DSC06774.JPG

 

두번째 메뉴인 이미지에선 화면 출력의 기본적인 설정을 조정합니다. 

 

6bright.gif

 

밝기 조절

 

7gamma.gif

 

명암 조절

 

8sunmyng.gif

 

선명도 설정

 

9enhance.gif

 

이미지 향상 보정 기능 설정

 

10etc.gif

 

블루라이트 감소, HDCR 기능 설정

 

11blue.gif

 

색온도 변경

 

DSC06775.JPG

 

세 번째 메뉴는 입력 소스를 설정합니다. 자동 스캔 기능을 켜 두면 입력 신호가 감지된 포트로 자동 변경해 줍니다.

 

 

DSC06776.JPG

 

탐색 키에 자주 쓰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DSC06781.JPG

 

탐색 키에 할당된 빠른 실행 기능

 

DSC06777.JPG

 

마지막 메뉴에선 OSD 표시 언어, 투명도, 시간을 설정하거나 전원 버튼의 기능을 설정합니다. 또 HDMI CEC 연동 기능을 켜서 신호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모니터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도록 할 수 있고요. 설정을 초기화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DSC06768.JPG

 

화면 정보 표시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DSC06698.JPG

 

모든 사람이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가 필요하지도 않고, 살 필요도 없습니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평범한 24인치 크기의 풀 HD 해상도 모니터로도 충분하며, 거기에서 많은 기능을 바라지도 않습니다.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는 가장 대중적인 조건의 스펙을 제공하며, 부가 기능에 불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 대신 가격을 10만 원 이하로 억제했습니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스펙만 있으면 되고 다른 것은 필요하지 않다면, 이 모니터는 부담없는 가격과 무난한 기본기로 보답해 줄 것입니다.  



  • profile
    title: AMD白夜2ndT      원래 암드빠의 길은 외롭고 힘든거에요! 0ㅅ0)-3 / Twitter @2ndTurning 2025.02.27 16:04
    이 디자인과 이 스펙에 이 가격이면 안 살 수가 없겠군요...!
  • profile
    title: 병약한토키 2025.02.28 07:36
    딴건 모르겠고
    박스 패키징은 경의롭더라고요
    삼엘마냥 스티로품 떡칠 하는것보단
    종이패키징 좋은데 말이죠. 이쪽이 버리기도 쉽습니다.

    스티로품은 지자체 마다 폐기방법 다 다르거든요,
  • profile
    title: AMD白夜2ndT      원래 암드빠의 길은 외롭고 힘든거에요! 0ㅅ0)-3 / Twitter @2ndTurning 2025.02.28 13:52
    동감입니다. 스티로폼이나 종이팩이나 방?호력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 같구요.
  • ?
    XEn0 2025.02.28 12:59
    요즘 모니터 나무가 풍작이네요
  • profile
    Mario2K 2025.02.28 13:32
    앙, 시력보호의 기능이 무얼까, 궁금한 1인 입니다..24"에 FHD의 크기일까요..+ 어두운 밝기?
  • profile
    낄낄 2025.02.28 14:08
    본문에서 eye-q라고 검색하시면 눈 건강 관리 기능들이 나옵니다.
  • profile
    Mario2K 2025.02.28 15:35
    앗, 안경 맞출때 하는 검사를 할수 있군요..
  • ?
    NWJ_ 2025.02.28 17:05
    2025년 22월!
  • profile
    quadro_dcc 2025.02.28 17:14
    해상도... 해상도만 조금 더...
  • profile
    디렉터즈컷 2025.03.02 12:33
    뭐야 지금 다나와 최저가 8만9천원 무료배송 찍혀있어요 ㄷㄷ
  • profile
    Jay65535 2025.03.03 13:46
    실물 봤는데 스펙대비 가격이 대단하긴 합니다
  • profile
    title: 삼성야메떼 2025.03.05 03:01
    스펙도 준수한데
    가격이 미쳤네요.
    사무용이나 보조모니터로 제격인듯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이 어항 케이스는 ARGB 팬이 다섯개. 앱코 UH40 킬러웨일 ARGB

    침대 광고 아닙니다. 케이스 리뷰입니다. 별이 다섯개 아닙니다. 팬이 다섯개입니다. 그냥 팬이 아닙니다. ARGB LED 팬입니다. 앱코의 웨일 시리즈 파노라믹 디자인 어항형 케이스에 UH40 킬러웨일 ARGB가 추가됐습니다. 파노라믹 디자인...
    Date2025.03.0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7 Views1221 file
    Read More
  2. 70Ti급 성능을 70 가격에. AMD 라데온 RX 9070 시리즈

    AMD가 RDNA4 아키텍처를 처음으로 적용한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참 오래 기다렸습니다. CES 2025에서 경쟁 상대가 메인스트림 급인 지포스 RTX 5070이 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4090 이상의 성능을 ...
    Date2025.03.0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5 Views3490 file
    Read More
  3. 든든한 쿨러와 DLSS4 지원. MSI 지포스 RTX 5070 게이밍 트리오 OC D7 12GB 트라이프로져4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서 가장 화려하게 데뷔한 제품을 고르라면, 일말의 주저함도 없이 지포스 RTX 5070을 꼽겠습니다. 가장 비싸고 가장 강력한 지포스 RTX 5090이 아니라 왜 5070이냐고요? 올해 초 CES에서 젠슨황이 지포스 RTX 5...
    Date2025.03.0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5 Views1354 file
    Read More
  4. 거대한 로갈리 - ASUS ROG Flow Z13

    안녕하세요. 그렇게 오래 쓰진 않았습니다만, 사용기를 남기고자 작성 해봅니다.   지난 몇 년간 정말 나오기를 기다렸고 궁금했던 기기가 드디어 출시 됐습니다. 물론 실제 기기가 뭘로 나오든 나오면 살 생각이었습니다만 첫 제품이 2-i...
    Date2025.03.02 사용기 Bytitle: 정상화Induky Reply29 Views2549 file
    Read More
  5. AMD, RDNA4 아키텍처의 라데온 RX 9000 시리즈 발표

    AMD는 RDNA4 아키텍처를 도입한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발표했습니다. 모델 컴퓨팅 유닛 GDDR6 메모리 게임 클럭 (GHz) 부스트 클럭 (GHz) 메모리 인터페이스 인피니티 캐시 TBP 권장 소비자 가격 (USD) AMD 라데온 RX 90...
    Date2025.02.28 탐방, 발표 By낄낄 Reply25 Views1847 file
    Read More
  6. 충동구매를 부르는 가격.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이번 리뷰는 참 위험했습니다. 모니터를 한 대 더 살 뻔했거든요. 32인치 이상 크기에 4K 해상도를 지닌 디스플레이 2대를 이미 쓰고 있으면서도 모니터를 새로 살까 고민할 정도라면 '화면이 정말 크고 해상도는 당연히 4K 이상이며...
    Date2025.02.27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2 Views1474 file
    Read More
  7. 디자인이 예술이네. 마이크로닉스 WIZMAX 아트리안

    국산 케이스 중에는 떨어지는 품질을 저렴한 가격으로 커버하는 제품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이게 특정 회사나 제품의 문제라고 말하진 않겠습니다. 굳이 싸구려 케이스를 해외에서 수입해 오지 않을테니 저렴하거나 가성비를 내세운 시장...
    Date2025.02.26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3 Views1331 file
    Read More
  8. 은근히 고사양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 AMD가 필요한 이유

    몬스터 헌터 시리즈는 헌팅 액션이라는 장르를 정립한 기념비적인 게임입니다. 캐릭터를 키워 나가는 RPG임에도 불구하고 레벨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인데 지루하진 않고요. 바가지를 잔뜩 씌우는 상점 주인이나 전설의 보물상...
    Date2025.02.26 메인 리뷰 By낄낄 Reply9 Views3887 file
    Read More
  9. 어디서든, 어떻게든 게임 플레이. MSI 클로 8 AI+ A2VM

    미국에서 열리는 CES의 참관을 준비하면서 가장 고민했던 것은 갈 때 13시간 50분, 올 때 18시간 5분에 달하는 비행 시간을 어떻게 채우냐는 것이었습니다. 장시간 비행을 앞두고 항상 핸드폰과 노트북에 영화도 넣고 소설도 넣고 만화도...
    Date2025.02.24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6 Views2948 file
    Read More
  10. 라이젠 AI 프로세서와 OLED의 만남.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

    AMD는 작년 하반기부터 새로 출시된 노트북용 프로세서의 이름에 AI를 붙이면서, 본격적인 AI 시대의 개막을 알렸습니다. 이름 뿐만이 아니라 최대 50TOPS의 AI 성능을 뽑아내는 NPU를 내장해 이름값을 하고, 고성능 젠5와 고효율 젠5c ...
    Date2025.02.21 메인 리뷰 By낄낄 Reply4 Views1435 file
    Read More
  11. 스팀 평가 매우 긍정적. 퍼스트 버서커: 카잔에 어울리는 AMD 시스템

    던전 앤 파이터를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지만, 그게 얼마나 잘 나가는 게임인지는 알고 있습니다. 2005년에 처음 출시된 게임이 서비스 종료나 다른 유통사로 유기되지 않고 아직까지도 멀쩡하게 서비스되는 수준을 넘어서, PC방 게임 인...
    Date2025.02.18 메인 리뷰 By낄낄 Reply8 Views1817 file
    Read More
  12. 다시 검정으로... ROG STRIX Z890-H GAMING WIFI S RO姬

    배경 설명: ASUS ROG는 중국 내수 한정으로 흰색 계열 제품(보드, 일체형 쿨러, 파워 등)에 '吹雪' 이름을 붙이고 캐릭터를 그려넣어서 팔았는데요, 이번엔 최초로 'RO姬' 이름을 달고 검정 계열 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吹雪 보드와...
    Date2025.02.16 사용기 ByXEn0 Reply16 Views743 file
    Read More
  13. 꽉 찬 육각형 게이밍 모니터.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

    이 글의 제목은 MSI가 온갖 참심하고 혁신적인 시도 끝에, 이번에는 직사각형 화면이 아닌 육각형 화면의 게이밍 모니터를 출시했다는 의미가 아니고요. 모든 부분에서 평타 이상은 쳐 주는 게이밍 모니터라는 의미 되겠습니다. 어느 한 ...
    Date2025.02.1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 Views1265 file
    Read More
  14. 250딸라인데 떨이로 39딸라? MS Audio Dock 초간단 개봉기

    맥미니 내장 스피커는 좋은 품질의 스피커가 아닙니다. 그래서 맥미니용으로 쓸 스피커를 하나 사야했습니다.   제 책상에는 이미 데스크탑용으로 크리에이티브 페블이 하나 있습니다. 그래서 좌우로 유닛이 두개인 스피커를 또 하나 사용...
    Date2025.02.14 사용기 By디이나 Reply4 Views1169 file
    Read More
  15. 없어서 못 파는 그 물건.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

    지포스 RTX 5090이 대단한 성능과 대단한 가격으로 출시됐습니다. 벤치마크에서 이미 확인한 대로 https://gigglehd.com/gg/17027962 성능은 의심할 것도 없이 현재 나온 게이밍 그래픽카드 중에서 가장 뛰어나고요. 불행하게도 가격 역...
    Date2025.02.10 메인 리뷰 By낄낄 Reply9 Views196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 Next
/ 118

최근 코멘트 30개
PAIMON
08:09
토키
08:08
멘탈소진
08:07
책읽는달팽
08:00
Kylver
07:59
카토메구미
07:57
마초코
07:51
까르르
07:46
책읽는달팽
07:46
포도맛계란
07:45
포도맛계란
07:45
디렉터즈컷
07:44
까마귀
07:43
책읽는달팽
07:42
토키
07:41
까르르
07:33
책읽는달팽
07:18
볶은완두콩
07:17
laphir
07:04
엔실우
07:04
책읽는달팽
06:40
PLAYER001
06:39
토키
06:35
360Ghz
06:24
엔실우
06:13
아라
06:09
360Ghz
06:06
렉사
05:58
아라
05:55
BEE3E3
05:33

앱코
MSI 코리아
더함
AMD
한미마이크로닉스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