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리뷰 / 사용기 : 직접 작성한 사용기를 올릴 수 있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 중복해서 올렸거나 다른 사이트의 필드테스트, 업체 이벤트 관련 사용기는 홍보 / 필테 게시판에 올려 주세요.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삭제 및 글쓰기를 막습니다. 메인 리뷰는 업체의 의뢰를 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DSC06435.JPG

 

이 글의 제목은 MSI가 온갖 참심하고 혁신적인 시도 끝에, 이번에는 직사각형 화면이 아닌 육각형 화면의 게이밍 모니터를 출시했다는 의미가 아니고요. 모든 부분에서 평타 이상은 쳐 주는 게이밍 모니터라는 의미 되겠습니다. 어느 한 부분이 특출나게 뛰어나서 그 부분의 지표만 튀어나올 정도는 아니지만, 또 평균을 깎아먹을 만큼의 단점이 있는 제품도 아니라는 것이죠. 주사율이 엄청나게 높다던가 화면이 눈부시게 밝다는 식으로 특정 스펙이 특별하게 뛰어난 제품은 딱 그 스펙이 필요한 사람만 만족시킬 수 있을 테고요. 평균 이상으로 스펙을 끌어올리면서 가격 역시 특출나게 비싸질테니 대중적인 픽은 되지 못하겠지요.  

 

그래서 제목에 맞춰서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의 장점을 딱 6개 꼽아보려 했는데 그것도 쉽지가 않습니다. 장점이 없어서 그런 게 아니라 6개를 넘어버려서요. 우선 화면이 32인치로 크고요. 해상도가 2560x1440으로 넓고요. 주사율이 180Hz로 부드럽고요. 1500R 커브드로 휘어져 있고요. 래피드 VA 패널을 사용해 응답 속도가 0.5ms로 빠르고요. 밝기가 400니트로 밝습니다. 여기까지 딱 6개인데 이걸로 끝내기엔 너무 섭섭하고요. 도구 없이 조립 가능한 툴리스 설계에 30만 원이 되지 않는 저렴한 가격은 꼭 넣어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주장해 봅니다. 이처럼 게이밍 모니터로서의 스펙이 모두 뛰어난데다 여러 부가기능도 넣었는데 가격은 저렴하니, 제목에서 쓴 '꽉 찬 육각형 게이밍 모니터'가 과장된 표현은 아닐 겁니다. 

 

DSC06427.JPG

 

제품명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
패널 종류 래피드 VA
표면 코팅 처리 안티 글레어(저반사 코팅)
화면 크기 32인치(80cm), 16:9 비율
가시 화면 영역 697.34x392.25mm
권장 해상도 2560x1440(WQHD)
픽셀 피치 0.2724mm
최대 표시 색상 10억 7천만 컬러(8비트+FRC)
명암비

3500:1 

곡률 1500R 커브드
색재현율 sRGB 101%, DCI-P3 78%
밝기

400nits

응답 속도 0.5ms GTG 
시야각 상하/좌우 178도
리프레시율

180Hz

부가 기능

어댑티브 싱크

베사 디스플레이HDR 400

프레임리스 디자인

툴리스 조립 

OSD 기능

플리커 프리, 블루라이트 감소

후면 5방향 조작 버튼 

게임 기능(AI 비전, 게임 모드, 조준선, 프레임 표시, 타이머, 고정 종횡비, 콘솔 모드)

스탠드 기능

-5~20도 각도 조절(틸트)  

입/출력 단자

DP 1.4 x1(2560x1440 180Hz)  

HDMI 2.0b x2(2560x1440 144Hz)  

3.5mm 오디오 출력 

전원 공급 소비 전력 32W, 전원 케이블 연결, 100~240V, 50~60Hz
크기

스탠드 제외: 709x419x107mm

스탠드 포함: 709x507x249mm  

무게

5.3kg

베사 마운트 100x100mm
참고 일반: https://prod.danawa.com/info/?pcode=70875518
무결점: https://prod.danawa.com/info/?pcode=70875491

가격

일반: 277,000원

무결점: 298,300원

(2025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친환경 포장에 조립까지 쉽고

 

DSC06432.JPG

 

두꺼운 종이로 만든 박스를 열면 종이 재질의 완충재에 둘러싸인 모니터가 나옵니다. 이사나 A/S를 대비해 박스를 보관하는 스타일이라면 상관 없겠지만, 지저분한 박스는 바로바로 버리는 타입이라면 이 친환경적인 포장을 칭찬할 만 합니다. MSI는 24인치 크기의 작은 평면 모니터부터 종이 재질의 완충제를 쓰기 시작해서 이제는 포장 설계와 제작에 자신감이 붙었는지 32인치의 큰 모니터와 커브드라는 까다로운 조건에서도 친환경 포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장뿐만 아니라 조립도 신경을 썼는데요. 드러이버나 다른 공구를 준비할 필요 없이, 부속을 정해진 위치에 맞춰서 끼우기만 하면 조립이 끝납니다. 분해할 일은 많지 않겠지만 이것 역시 쉽습니다. 체결 부위의 버튼을 누르고 당겨서 빼면 됩니다. 모니터의 경량화와 더불어 그간 쌓아온 노하우가 있어서, 굳이 나사를 사용해 고정하지 않아도 충분히 모니터를 지탱할 수 있으니 나사를 제거했으리라 보입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MSI의 평범한 커브드 모니터 그대로입니다. 1500R의 곡률로 휘어 있는 커브드 패널을 탑재했고, 패널 테두리의 베젤 폭은 1cm에 불과합니다. 그나마도 화면을 껐을 때는 눈에 잘 띄지도 않는 이너 베젤을 사용해, 프레임리스 디자인이라는 표현이 과장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전면에는 MSI 로고와 우측 하단의 전원 LED 외에는 아무런 것도 배치하지 않았습니다. 조작은 뒷면의 5방향 OSD 버튼으로 하니까 굳이 눈에 띄는 곳에 버튼을 배치해서 눈에 거슬리게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스탠드는 -5-20도의 기본적인 틸트 조작이 가능하며, 스탠드와 함께 뒷면 100x100mm 베사 마운트 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입력 단자는 2560x1440 180Hz까지 지원하는 DP 1.4 포트가 1개, 2560x1440 144Hz까지 입력받는 HDMI 2.0b 포트가 2개 있습니다. 내장 스피커는 없지만 3.5mm 출력 단자가 있어, 모니터에 스피커를 바로 연결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DSC06383.JPG

 

제품 박스.

 

DSC06385.JPG

 

스티로폼 대신 종이 재질의 포장재를 사용한 친환경 포장.

 

DSC06386.JPG

 

스탠드와 설명서, 전원과 DP 케이블을 제공합니다.

 

DSC06387.JPG

 

모니터 본체.

 

DSC06392.JPG

 

스탠드를 끼워줄 소켓입니다. 위쪽에는 스탠드 제거용 버튼이 있습니다.

 

 

DSC06396.JPG

 

스탠드 기둥을 모니터 뒷면 하단의 소켓에 끼워줍니다. 내구도를 확보하기 위해 모니터에 끼우는 부분은 철을 사용했습니다. 

 

DSC06397.JPG

 

기둥을 뺄 때는 위의 버튼을 누르면서 당기면 됩니다. 

 

DSC06398.JPG

 

받침대의 구멍을 맞춰서 기둥에 끼웁니다. 

 

DSC06399.JPG

 

스탠드 바닥 안쪽 구멍의 스위치를 누르면서 당기면 빠집니다. 받침대는 안정적으로 모니터를 지탱하기 위해 묵직한 강철판을 붙이고, 미끄럼 방지 패드를 모서리에 부착했습니다. 

 

DSC06400.JPG

 

기둥 뒤쪽에 케이블 정리용 클립을 꽂아주면 조립이 끝납니다. 

 

DSC06416.JPG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입니다. 

 

DSC06404.JPG

 

정면에서. 

 

 

DSC06403.JPG

 

 

 

 

뒤에서. 어느 쪽으로 봐도 1500R의 곡률로 화면이 휘어진 커브드 모니터임을 알 수 있습니다. 

 

DSC06408.JPG

 

32인치의 큰 화면.

 

DSC06409.JPG

 

베젤 두께.

 

DSC06405.JPG

 

중앙 하단의 MSI 로고.

 

DSC06406.JPG

 

우측 하단의 전원 LED.

 

DSC06414.JPG

 

커브드 모니터답게 패널이 꽤 두꺼운 편입니다.

 

 

DSC06410.JPG

 

DSC06412.JPG

 

-5~20도 범위의 각도 조절(틸트)이 가능합니다.

 

DSC06402.JPG

 

뒷면입니다.

 

DSC06395.JPG

 

100x100mm 규격의 베사 마운트 홀

 

DSC06393.JPG

 

5방향 OSD 버튼과 전원 LED.

 

DSC06394.JPG

 

켄싱턴 락

 

DSC06389.JPG

 

각종 포트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DSC06390.JPG

 

 

DP 1.4 x1(2560x1440 180Hz)  

HDMI 2.0b x2(2560x1440 144Hz)  

3.5mm 오디오 출력 

 

DSC06391.JPG

 

전원 포트와 제품 정보.

 

 

 

32인치 @ 2560x1440 @ 180Hz @ 0.5ms @ 400니트

 

DSC06426.JPG

 

32인치의 큰 화면에 2560x1440의 넓은 해상도를 조합했습니다. 이제 24인치는 그저 평범한 크기일 뿐이죠. 27인치라고 해봤자 24인치보다 3인치 더 클 뿐입니다. 보자마자 '크다'는 소리가 튀어나올 정도가 되려면 최소 32인치는 되야 합니다. 32인치의 큰 화면에서 해상도의 발전이 없다면 노안에 특화된 게이밍 모니터가 되겠지만, 대부분의 게이머들은 큰 크기에 맞춰서 넓어진 해상도로 화질이 업그레이드되길 바랄 겁니다. 4K 해상도라면 화질은 더욱 높아지겠지만 그래픽카드의 부담이 커지고 모니터의 가격 역시 오르게 됩니다. 2560x1440 해상도면 풀HD보다 높은 화질을 제공하면서도 4K만큼 비싸지 않기에, 저렴한 가격에서 높은 화질을 제공하는 가성비 높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 게이밍 모니터를 볼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스펙인 주사율은 180Hz를 맞췄습니다. 기본 주사율인 60Hz의 세 배에 달하는 주사율로 그만큼 더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줍니다. 

 

화면 크기와 해상도, 주사율은 게이밍 모니터의 기본적인 스펙이고요. 게이밍 모니터의 스펙을 좀 까다롭게 볼 줄 아는 사람이라면 그 다음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가장 먼저 등장하게 되는 것이 응답 속도입니다. 응답 속도가 빠를수록 잔상 없이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는데요. 이 모니터는 커브드니까 당연히 VA일테고, 그렇다면 응답 속도도 시원찮을 거라고 생각하신다면 요새 최신 하드웨어 지식으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겁니다. 이 모니터는 래피드 VA 패널을 사용해 응답 속도를 GTG 기준 0.5ms까지 낮췄습니다. 비싼 OLED만큼은 아니지만 1ms가 채 되지 않는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뛰어난 스펙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에 화면 밝기도 우수합니다. 평범한 보급형 모니터는 250이나 300니트 정도에 머물러 있으나,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는 제품명에 나온대로 400니트의 밝기와 더불어 HDR까지 지원해 밝은 화면을 보여줍니다. 

 

 

180Hz 게임 테스트, 180Hz UFO 테스트, 플리커 프리(밝기를 낮추고 촬영해도 깜빡거리지 않음), 티어링, VRR, 프레임 스킵, MPRT 기능 테스트 영상.

 

DSC06439.JPG

 

2560x1440의 넓은 해상도

 

P3090921.JPG

 

RGB LED 픽셀 구성

 

DSC06442.JPG

 

명암 표현

 

DSC06443.JPG

 

색상 표현

 

DSC06444.JPG

 

가독성 테스트

 

DSC06522.JPG

 

좌우 시야각 178도

 

DSC06524.JPG

 

상하 시야각 178도

 

DSC06440.JPG

 

사진 표시

 

DSC06441.JPG

 

영상 재생

 

 

 

hdr1.gif

 

 

hdr2.gif

 

HDR 기능

 

input.gif

 

노트북을 연결해 촬영한 간이 인풋랙 테스트

 

e73c4638be3a13e87e7bb261563859e1.jpg

 

화면 밝기 조절에 따른 전력 사용량 변화

 

Cap 2025-02-11 16-55-58-873.jp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색상 영역은 sRGB 99%, P3 81%.

 

Cap 2025-02-11 16-56-06-506.png

 

감마는 표준값과 비슷한 2.3을 기록

 

Cap 2025-02-11 16-56-14-368.png

 

밝기는 최고 621, 대비도는 100% 기준 3680:1이 찍혔습니다. 표기 스펙보다 꽤 높게 나왔네요.

 

Cap 2025-02-11 16-56-56-461.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1 16-57-05-069.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1 16-57-16-251.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1 16-57-24-844.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1 16-57-31-062.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 1.9로, 델타-E 2 미만의 준수한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니터 OSD 설정에도 AI가 들어감

 

DSC06433.JPG

 

OSD 디자인은 전형적인 MSI 게이밍 모니터 그대로지만, 그냥 OSD가 아니라 신형 디자인을 사용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MSI 고급형 모니터에서만 쓰던 것인데 이제는 적용 범위를 늘려나가고 있네요. 위쪽에는 현재 설정 해상도와 주사율, 설정 모드, HDR과 어댑티브 싱크 적용 여부를 알려주며 가장 오른쪽에는 현재 입력 단자를 표시합니다. 그 아래에는 모델명이 있고요. 설정 메뉴는 2단으로 분류되어 원하는 기능을 찾기 쉽습니다. 우측에는 5방향 OSD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합니다. 

 

지금까지 계속 써온 검증된 디자인이기도 하지요. 화면이 위아래로 찢어지지 않도록 출력 신호를 동기화해주는 어댑티브 싱크 기능을 지원합니다. OSD에서 어댑티브 싱크를 켜고,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활성화시키면 작동합니다. HDR은 모니터에서 손을 댈 필요 없이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켜면 바로 활성화됩니다. HDR을 켜면 우측 상단의 HDR 표시가 떴다가 사라지지만 그걸 보지 않아도 HDR이 활성화됐다는 사실을 알아채긴 어렵지 않습니다. 화면의 표현부터가 달라지니까요. 

 

게임과 작업에 맞춰 원하는 프리셋을 적용하는 게임 모드와 프로 모드,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조정해 화면 구분을 도와주는 나이트 비전 기능이 있고요. 뭘로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면 그냥 AI 비전을 켜서 모니터가 알아서 화면을 조정하도록 맡기면 됩니다. 또 화면 중앙에 조준선을 표시하고 모서리에 알람 시계와 주사율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고요. MPRT로 화면을 더욱 부드럽게, HDCR로 명암비를 최적화하고 이미지 향상과 선명도 조절 기능을 활용에서 더욱 뛰어난 그래픽을 즐길 수 있습니다. 

 

DSC06503.JPG

 

OSD의 첫 번째 메뉴인 게이밍은 말 그대로 게임 관련 기능들을 모아뒀습니다. 

 

1gamemode.gif

 

게임 모드

 

2nightvision.gif

 

나이트 비전

 

3aivision.gif

 

AI 비전 자동 최적화

 

4mprt.gif

 

MPRT 기능

 

DSC06508.JPG

 

알람 시계의 위치와 시간 설정

 

DSC06505.JPG

 

화면 중앙의 크로스헤어 표시

 

DSC06506.JPG

 

크로스헤어는 색상을 둘 중에 하나로 고르거나, 자동으로 바뀌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DSC06507.JPG

 

조준선의 위치도 정 중앙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 가능합니다.

 

5DSC06460.JPG

 

조준선, 주사율, 알람 시계 표시

 

 

DSC06504.JPG

 

어댑티브 싱크 기능 설정

 

DSC06509.JPG

 

프로 메뉴에서는 게임이 아닌 다른 용도의 최적화 기능을 설정합니다. 

 

6promode.gif

 

프로 모드 프리셋 설정

 

7etc.gif

 

블루라이트 감소, HDCR, MPRT 기능 설정

 

8enhance.gif

 

이미지 향상 보정 기능

 

DSC06510.JPG

 

이미지 메뉴에선 화면이 기본적인 표시를 설정합니다. 

 

9light.gif

 

밝기 설정

 

10gamma.gif

 

명암 조정

 

11sunmyumng.gif

 

선명도 조절

 

12white.gif

 

색온도 설정

 

DSC06511.JPG

 

13ratio.JPG

 

화면 비율 설정

 

DSC06512.JPG

 

세번째 메뉴에선 입력 소스를 선택합니다. 자동 스캔 기능을 켜두면 현재 신호가 들어오는 단자를 자동으로 선택합니다.

 

DSC06513.JPG

 

탐색 키는 OSD 버튼의 각 방향에 자주 쓰는 기능을 할당합니다.

 

DSC06517.JPG

 

기본 할당된 기능들 

 

DSC06514.JPG

 

마지막 메뉴에선 OSD 표시 언어/투명도/표시 시간, 전원 버튼, 화면 정보, 모니터 전원과 HDMI 신호를 연동하는 cEC 기능을 설정합니다. 

 

DSC06497.JPG

 

화면 정보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

 

DSC06415.JPG

 

게이밍 모니터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갖춰, 어떤 사용자도 무난하게 만족할 그런 제품입니다. 32인치의 큰 화면, 2560x1440의 넓은 해상도, 180Hz의 높은 주사율, 1500R의 곡률로 휘어진 화면과 함께 400cd의 높은 밝기와 GTG 기준 0.5ms로 줄인 빠른 응답 속도를 지녔습니다. 여기에 가격까지 저렴합니다. 기본적인 패널 스펙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를 도와줄 여러 기능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1인치당 만 원이 되지 않는 30만원 이하에 팔리고 있어 가격 부담도 적은 게이밍 모니터입니다.  



  • profile
    소울린 2025.02.16 18:29
    새삼 이제는 좋은 스펙 모니터들이 전부 상향 평준화 되어 가격이 무지 저렴해진것 같네요.

    20년도 전에 살때는 144 주사율에 qhd면 훨씬 비쌌죠
  • ?
    leesoo      raysoda.com/user/leesoo 2025.02.17 17:24
    OLED가 뽕맛은 있는데... 편하게 쓰려면 그래도 LCD인것 같네요. 잘봤습니다.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AMD, RDNA4 아키텍처의 라데온 RX 9000 시리즈 발표

    AMD는 RDNA4 아키텍처를 도입한 그래픽카드인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발표했습니다. 모델 컴퓨팅 유닛 GDDR6 메모리 게임 클럭 (GHz) 부스트 클럭 (GHz) 메모리 인터페이스 인피니티 캐시 TBP 권장 소비자 가격 (USD) AMD 라데온 RX 90...
    Date2025.02.28 탐방, 발표 By낄낄 Reply25 Views1677 file
    Read More
  2. 충동구매를 부르는 가격.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이번 리뷰는 참 위험했습니다. 모니터를 한 대 더 살 뻔했거든요. 32인치 이상 크기에 4K 해상도를 지닌 디스플레이 2대를 이미 쓰고 있으면서도 모니터를 새로 살까 고민할 정도라면 '화면이 정말 크고 해상도는 당연히 4K 이상이며...
    Date2025.02.27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2 Views1237 file
    Read More
  3. 디자인이 예술이네. 마이크로닉스 WIZMAX 아트리안

    국산 케이스 중에는 떨어지는 품질을 저렴한 가격으로 커버하는 제품들이 제법 있었습니다. 이게 특정 회사나 제품의 문제라고 말하진 않겠습니다. 굳이 싸구려 케이스를 해외에서 수입해 오지 않을테니 저렴하거나 가성비를 내세운 시장...
    Date2025.02.26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3 Views1201 file
    Read More
  4. 은근히 고사양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 AMD가 필요한 이유

    몬스터 헌터 시리즈는 헌팅 액션이라는 장르를 정립한 기념비적인 게임입니다. 캐릭터를 키워 나가는 RPG임에도 불구하고 레벨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인데 지루하진 않고요. 바가지를 잔뜩 씌우는 상점 주인이나 전설의 보물상...
    Date2025.02.26 메인 리뷰 By낄낄 Reply9 Views3451 file
    Read More
  5. 어디서든, 어떻게든 게임 플레이. MSI 클로 8 AI+ A2VM

    미국에서 열리는 CES의 참관을 준비하면서 가장 고민했던 것은 갈 때 13시간 50분, 올 때 18시간 5분에 달하는 비행 시간을 어떻게 채우냐는 것이었습니다. 장시간 비행을 앞두고 항상 핸드폰과 노트북에 영화도 넣고 소설도 넣고 만화도...
    Date2025.02.24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6 Views2200 file
    Read More
  6. 라이젠 AI 프로세서와 OLED의 만남.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

    AMD는 작년 하반기부터 새로 출시된 노트북용 프로세서의 이름에 AI를 붙이면서, 본격적인 AI 시대의 개막을 알렸습니다. 이름 뿐만이 아니라 최대 50TOPS의 AI 성능을 뽑아내는 NPU를 내장해 이름값을 하고, 고성능 젠5와 고효율 젠5c ...
    Date2025.02.21 메인 리뷰 By낄낄 Reply4 Views1323 file
    Read More
  7. 스팀 평가 매우 긍정적. 퍼스트 버서커: 카잔에 어울리는 AMD 시스템

    던전 앤 파이터를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지만, 그게 얼마나 잘 나가는 게임인지는 알고 있습니다. 2005년에 처음 출시된 게임이 서비스 종료나 다른 유통사로 유기되지 않고 아직까지도 멀쩡하게 서비스되는 수준을 넘어서, PC방 게임 인...
    Date2025.02.18 메인 리뷰 By낄낄 Reply8 Views1654 file
    Read More
  8. 다시 검정으로... ROG STRIX Z890-H GAMING WIFI S RO姬

    배경 설명: ASUS ROG는 중국 내수 한정으로 흰색 계열 제품(보드, 일체형 쿨러, 파워 등)에 '吹雪' 이름을 붙이고 캐릭터를 그려넣어서 팔았는데요, 이번엔 최초로 'RO姬' 이름을 달고 검정 계열 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吹雪 보드와...
    Date2025.02.16 사용기 ByXEn0 Reply16 Views605 file
    Read More
  9. 꽉 찬 육각형 게이밍 모니터.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

    이 글의 제목은 MSI가 온갖 참심하고 혁신적인 시도 끝에, 이번에는 직사각형 화면이 아닌 육각형 화면의 게이밍 모니터를 출시했다는 의미가 아니고요. 모든 부분에서 평타 이상은 쳐 주는 게이밍 모니터라는 의미 되겠습니다. 어느 한 ...
    Date2025.02.1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 Views1117 file
    Read More
  10. 250딸라인데 떨이로 39딸라? MS Audio Dock 초간단 개봉기

    맥미니 내장 스피커는 좋은 품질의 스피커가 아닙니다. 그래서 맥미니용으로 쓸 스피커를 하나 사야했습니다.   제 책상에는 이미 데스크탑용으로 크리에이티브 페블이 하나 있습니다. 그래서 좌우로 유닛이 두개인 스피커를 또 하나 사용...
    Date2025.02.14 사용기 By디이나 Reply4 Views1030 file
    Read More
  11. 없어서 못 파는 그 물건.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

    지포스 RTX 5090이 대단한 성능과 대단한 가격으로 출시됐습니다. 벤치마크에서 이미 확인한 대로 https://gigglehd.com/gg/17027962 성능은 의심할 것도 없이 현재 나온 게이밍 그래픽카드 중에서 가장 뛰어나고요. 불행하게도 가격 역...
    Date2025.02.10 메인 리뷰 By낄낄 Reply9 Views1536 file
    Read More
  12. 이엠텍, PALIT 브랜드 국내 정식 런칭 세미나 개최

    이엠텍은 2025년 2월 5일, 용산에서 PALIT(팔릿) 브랜드의 국내 정식 런칭을 설명하는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이엠텍의 서영식 부대표를 비롯해 팔릿의 버니스 린 부사장, 엔비디아 코리아 김성규 대표를 비롯한 업계 주요 인...
    Date2025.02.06 탐방, 발표 By낄낄 Reply16 Views1411 file
    Read More
  13. LED 빼고 나무 넣은 앱코 SUITMASTER MF360 리얼우드

    우주적인 규모에서 봤을때 금 같은 귀금속이나 디스프로슘 등의 희토류는 의외로 희귀한 존재가 아니며, 정말 귀한 것은 따로 있다고 합니다. 지구의 인류들은 그 귀한 자원을 잘게 부숴 걸러내 얇고 부드럽게 만든 다음, 밥 먹고 난 뒤...
    Date2025.02.04 메인 리뷰 By낄낄 Reply35 Views2210 file
    Read More
  14. 가짜와 A/S의 위험부담 대신 믿을 수 있는 AMD 정품 CPU

    얼마 전에 중국의 가짜 제품이 화제가 됐었습니다. 중국에서 가짜 제품을 만드는 거야 늘 있었던 일인데, 그게 무슨 뉴스거리가 되냐고 생각하실 분들도 계실 겁니다. 진짜 제품이 너무 저렴하고 흔해서 굳이 가짜를 만들 필요가 없는데도...
    Date2025.02.03 메인 리뷰 By낄낄 Reply44 Views3571 file
    Read More
  15. 큰 거 왔다. MSI 지포스 RTX 5090 슈프림 리퀴드 SOC D7 32GB

    지포스 RTX 5090이 나왔습니다. NVIDIA의 주업이 AI가 되버렸고, 경쟁 상대는 아직 지포스 RTX 4090을 따라잡지 못했으니 , 그냥 있는 거나 주욱 팔아도 게이밍 그래픽카드 시장에선 아무런 일도 없을 것 같은데요. 지포스 RTX 40 시리즈...
    Date2025.01.31 메인 리뷰 By낄낄 Reply18 Views282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7 Next
/ 117

한미마이크로닉스
앱코
더함
MSI 코리아
AMD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