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항 케이스가 현재 가장 인기있고, 가장 무난한 선택이라는 걸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어항 케이스를 좋아하는 건 아니죠. 그리고 이제는 좀 식상한 디자인이기도 합니다. 어항 케이스가 탁 트인 시야를 통해 케이스 안에 탑재된 부품을 부각시키는 효과가 좋다는 건 분명하나, 어항 케이스는 이미 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와 너무 흔한 디자인이 되버렸으니까요. 그래서 어항 말고 다른 거, 참신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케이스가 어디 없냐고 찾으실 분들이 분명 있을 텐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마이크로닉스는 WIZMAX 문을 준비했습니다. 이 케이스의 디자인은 참신하다는 말로는 설명을 할 수가 없습니다. 분명 다른 케이스에서 볼 수 없는 디자인인 건 맞는데 새로운 건 아니고요. 오히려 전통을 따랐다고 할 수 있거든요.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 케이스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전면 패널입니다. 앞에 있으니 가장 잘 보인다는 말은 아니고요. 그 디자인이 독특해서 눈에 꽂힐 수밖에 없습니다. 먼지 필터가 부착된 전면 패널은 한국의 전통 창호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으로 채우고, 그 뒤에 3개의 120mm 화이트 LED 팬을 장착해서 전면 패널의 창을 통해 달을 보는 듯한 이미지를 만들어 냅니다. 케이스의 이름인 '문'도 창문과 달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노리고 지었다고 할 수 있겠지요. 이런 시도는 2년 전에 출시됐던 마이크로닉스의 GM-3 문 케이스에서 보여 주었던 것이기도 한데요. WIZMAX 문에서는 검은색 케이스와 화이트 LED로 디자인을 정돈하고, 트렌드에 맞춰 구조와 편의성을 개선해 전체적인 완성도를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제품명 |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 |
케이스 종류 | 미들 타워 |
재질 |
좌측 스윙도어 강화유리 |
프레임 | 메탈 |
전체 크기 | 390x221x461mm |
무게 | 4.97kg |
드라이브 베이 |
3.5인치 최대 2개, 2.5인치 최대 4개 |
확장 슬롯 | 7개 |
메인보드 폼펙터 | ATX/M-ATX/미니 ITX |
파워 폼펙터 | ATX |
파워 장착 공간 | 길이 170mm |
확장 카드 공간 | 길이 325mm |
CPU 쿨러 높이 | 높이 175mm |
기본 장착 쿨링팬 |
전면 120mm 화이트 LED x3 후면 120mm 화이트 LED x1 |
최대 쿨링팬 구성 |
전면 120mm x3/140mm x2 상단 120mm/140mm x2 파워 덕트 120mm x2 후면 120/140mm x1 |
수냉 라디에이터 | 전면 360mm 까지, 상단 240mm까지 |
추가 기능 |
전통 창호 프론트 패널 LED On/Off 스위치 전면/상단/하단 먼지 필터 |
상단 전면 포트/버튼/LED 구성 |
USB 3.2 Gen2 타입 C x1 USB 3.2 Gen1 x1 USB 2.0 x1 파워 버튼 x1 리셋 버튼 x1 LED 조절 버튼 x1 3.5mm 헤드셋 x1 3.5mm 마이크 x1 전원 LED 하드디스크 LED |
색상 | 블랙 |
참고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72224144 |
가격 | 46,000원(2024년 1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전통 디자인 원툴이 아니라 쿨링 성능까지 확보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을 박스에서 꺼내니 전면 패널로 저절로 눈이 갑니다. 전통의 미를 살린 창호 무늬로 전면 패널을 채웠는데요. 초가집에서 흔히 보이는 밋밋한 격자 무늬가 아니라 양반 댁에서나 볼 법한 고급스러운 문양이고요. 이걸 아무런 생각 없이 전면 패널에 배치한 게 아니라 패널 뒤, 120mm 쿨링팬 3개의 위치에 맞춰서 채워 넣었습니다. 그래서 120mm 팬의 LED가 창호 무늬에 어울려 빛을 내면서 전통 창호 너머로 달빛이 들어오는 것 같은 느낌을 냅니다. 제품명이 '문'인 것도 '창문'과 '달', 이렇게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담은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렇게 케이스 전면에 3개의 120mm 쿨링팬을 채우고 그 앞에 통풍구를 배치해 쿨링 성능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전면 패널 전체를 분리하는 게 아니라 가장 앞의 먼지 필터 부분만 간단하게 떼어내어 청소할 수 있어 유지 관리도 쉽습니다. 다른 케이스와는 확연히 다른 차별화된 디자인도 빼놓을 수 없지요.
좌측 패널은 스윙 도어 강화유리를 사용했습니다. 패널 뒷부분을 경첩으로 케이스에 고정해, 앞부분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 열리고요. 자석으로 패널을 케이스 본체에 깔끔하게 고정합니다. 패널을 열고 위로 빼면 바로 분리되기에 조립할 때 방해가 되지도 않습니다. 케이스 상단에는 2개의 120mm 팬에 해당되는 면적을 커버하는 자석 부착식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외부 먼지가 들어가는 걸 막아주고, 탈부착이 쉬워 청소하기도 편합니다. 케이스 하단의 파워 공간 아래에도 먼지 필터가 있어 먼지를 한번 더 걸러줍니다. 케이스 상단 전면에는 각종 버튼과 포트가 있습니다. USB 타입 A 포트는 기본이고, 빠른 속도의 USB 3.2 Gen2 타입 C 포트가 있어 고성능 제품을 연결할 수 있고요. 3.5mm 사운드 포트는 헤드셋과 마이크가 분리되어 연결하기가 편리합니다. 또 전원과 리셋 버튼 외에도 기본 탑재된 4개의 쿨링팬 LED를 켜거나 끄는 버튼이 있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제품 박스
스펙 표기
보호 비닐과 스티로폼을 사용한 포장
강화유리 안밖으로 보호 비닐을 한 층 붙였습니다.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 케이스. 크기 390x221x461mm의 미들타워에 ATX 폼펙터 메인보드와 파워를 지원합니다.
케이스 전면 패널. 전통 창호의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으로 전면 패널을 채웠습니다.
각각의 문양 뒤에는 정확하게 120mm 화이트 LED 쿨링팬이 위치합니다.
전면 패널은 간단하게 분리 가능합니다.
덕분에 전면 패널의 먼지 필터를 청소하기 쉽습니다.
패널 뒤의 120mm 구경 화이트 LED 팬.
측면 강화유리 패널.
강화유리 패널이 뒤쪽으로 열리는 스윙 도어 디자인
뒷 부분의 경첩
패널 앞부분의 손잡이.
패널을 열고 위로 들어 올리면 분리됩니다.
고정용 자석
손잡이 안쪽.
강화유리 패널의 두께는 3mm.
오른쪽은 특별한 구성이 없는 철제 패널입니다.
우측 패널 내부.
모서리 부분을 접어서 강도를 높였습니다.
철판의 두께는 0.5mm
케이스 상단.
왼쪽부터 전원 버튼, 하드디스크 LED, 전원 LED, 리셋 버튼, LED On/Off 버튼, 3.5mm 마이크 단자, 3.5mm 헤드폰 단자, USB 2.0, USB 3.2 Gen1, USB 3.2 Gen2 타입 C 포트입니다.
상단 포트/버튼 뒤에는 자석으로 고정된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그 아래에는 120/140mm 팬 2개나 240mm 라디에이터 1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 뒷면입니다.
120mm 화이트 LED 팬 1개가 기본 장착됩니다.
그 아래에는 7개의 확장 슬롯이 있습니다.
가장 아래에는 ATX 규격 파워를 장착합니다.
캐이스 바닥입니다.
하단 스토리지 베이의 고정 나사 2개입니다.
파워 아래의 먼지 필터만 떼어내서 청소할 수 있습니다.
부담되지 않는 크기의 미들타워 시스템
ATX 폼펙터의 메인보드와 파워, 7개의 확장 슬롯을 제공합니다. 케이스가 아주 큰 편은 아니지만 풀사이즈 ATX 폼펙터 메인보드를 넣기에 충분한 내부 공간을 확보했으며, 모듈러 방식이 아닌 ATX 파워도 장착하기에 큰 불편함은 없었습니다. 메인보드 트레이 주변에는 선정리 홀을 배치해 전원 포트나 핀헤더에 연결된 케이블을 깔끔하게 뒤에서 넘길 수 있으며, 케이스 우측면의 선정리 공간은 파워 케이블을 가지런히 정돈해 넣도록 도와줍니다. CPU 쿨러는 최고 175mm 높이까지 지원하기에 어지간한 타워형 공냉 쿨러는 지원한다고 할 수 있으며, 케이스 상단에 240mm, 전면 쿨링팬을 제거하면 최대 360mm 길이의 수냉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쿨링팬은 전면에 120mm 화이트 LED 팬 3개, 후면에 120mm 화이트 LED 팬 1개가 기본 탑재되고, 전면에 140mm 팬 2개나 상단에 120/140mm 팬 2개, 파워 덕트에 120mm 팬 2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를 비롯한 확장 카드는 최대 325mm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어떤 케이스는 400mm까지도 들어간다던데 이거 좀 좁지 않나 생각하실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는데, 현재 그래픽카드의 최고봉인 지포스 RTX 4090의 FE 버전 길이가 304mm입니다. 그러니까 확장 카드 호환성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확장 슬롯은 ATX에 맞춰 7개이며 1개의 재활용 가능 슬롯 부품을 따로 제공합니다. 스토리지는 최대 5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 공간에 1개의 2.5인치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하단 파워 공간 앞에는 3.5인치와 2.5인치 겸용 베이 2개가 있습니다. 하단 드라이브 베이는 사용할 일이 없을 경우 아예 분리해서 파워 선정리 공간을 확보하거나 전면 흡기 팬의 효율을 늘리는 방식으로도 응용 가능합니다.
케이스 내부입니다.
철판의 두께는 0.5mm.
케이스 상단에 120/140mm 팬 2개를 장착하거나 240mm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뒷면의 120mm 화이트 LED 팬과 확장 슬롯 7개.
하단 파워 커버에도 2개의 120mm 팬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 전면의 120mm 화이트 팬 3개.
반대편입니다.
상단 선정리 홀. 여기로 후면 쿨링팬과 CPU 보조전원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전면 선정리 공간.
하단 ATX 파워.
드라이브 베이.
4개의 120mm 화이트 LED 쿨링팬의 전원 케이블입니다. 가장 뒤의 하얀색 커넥터에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면 됩니다. 중간에는 케이스 LED 전원 버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면 포트/버튼 핀헤더, USB 2.0/3.0/타입 C 핀헤더, 오디오 핀헤더 케이블.
사용 설명서, 케이블 타이, 나사, 스피커, 확장 슬롯 커버.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의 2.5인치 베이입니다.
두꺼운 2.5인치 9.5mm 하드디스크도 충분히 들어갑니다.
하단 드라이브 베이는 2.5인치와 3.5인치 드라이브를 모두 장착할 수 있습니다.
2.5인치 드라이브를 위에 올리거나
2개의 베이 모두 3.5인치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조립이 끝난 시스템입니다.
케이스 상단에 240mm 라디에이터 수냉 쿨러나 듀얼 타워 공냉 쿨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선 마이크로닉스 ICEROCK MA-600T를 장착했습니다. https://gigglehd.com/gg/15837963
높이 175mm의 쿨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상단 선정리 홀을 통해 CPU 보조전원을 연결.
측면 선정리 홀을 통해 24핀 파워 케이블과 USB 핀헤더를 연결
아래쪽을 봅시다.
길이 325mm의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하단 커버의 선정리 홀을 통해 전면 핀헤더 케이블을 연결했습니다.
선정리 공간입니다.
CPU 쿨러 장착 홀과 상단 선정리 구멍.
2.5인치 드라이브 장착.
ATX 파워와 2개의 3.5인치 드라이브 장착.
파워 장착 공간.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
독창적인 전면 패널 디자인을 내세운 미들 타워 케이스입니다. 전통 창호의 모습을 따온 전면 패널은 다른 케이스에서 볼 수 없는 참신한 디자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3개의 전면 120mm 팬의 쿨링 효과와 화이트 LED의 튜닝 효과를 극대화했습니다. 측면에는 스윙 도어 방식의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해 케이스 내부를 잘 드러내면서 조립도 쉽습니다. 전면 패널과 상단/하단에 모두 먼지 필터를 넣어 외부 먼지 유입을 막아주고, 상단과 전면 필터는 자석 고정 방식이라 청소하기도 편리합니다. 부담스럽지 않은 크기에 무난한 호환성을 지닌 ATX 폼펙터 미들타워 케이스 중, 단연 독보적인 디자인을 지닌 제품입니다.
리플 다신 분 중 1분께 리뷰 작성에 사용한 마이크로닉스 WIMAX 문 케이스를 드립니다. 신청하실 분은 이 글에 [마이크로닉스 WIZMAX 문 리뷰 이벤트 신청]을 넣어 리플을 달아 주세요. 접수는 12월 24일까지, 발표는 12월 25일입니다. 선정되신 분은 발표 후 3일 안에 이름/주소/전화번호의 배송 정보를 보내주시고, 수령 후 5일 안에 인증샷을 꼭 올려 주셔야 합니다. (리뷰 작성을 위해 한 번 조립한 제품이기에 약간의 사용감이 있으며, 개인 일정 관계로 발표 후 배송까지 시간이 1, 2 주 걸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