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Y700이 안드로이드 게이밍 태블릿으로 좀 핫하죠? 저도 하나 사봤습니다. 마침 일본 NEC쪽에서 정식발매를 준비한다면서 NEC 펌웨어도 같이 나왔더라고요. 궁금해서 후다닥 올려보느라 개봉기도 없이 뜬금없게도 글로벌롬 설치방법을 들고오게 되었습니다.
저는 Fastboot 방식으로 펌웨어를 올릴것이기에 QPST를 비롯한 퀄컴 드라이버 등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올리시기 전에
- 현재 글로벌롬 버전에서 블루아카이브 등 일부 안되는 앱이 있다고 합니다.
- 글로벌롬에서 펜이 안된다고 합니다.
- 내수롬에 있는 데스크탑 모드, 듀얼앱 기능이 없습니다.
- 또한 부트로더 언락, 락시 태블릿이 전체 초기화됩니다.
- 현재 글로벌롬에서 부트로더 락을 진행하면 Fastboot 내수롬으로 복구시 부트로더 락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corrupted devices) 언락 상태로 사용시 부팅할때 경고문구가 뜨고, Widevine DRM 레벨이 L3로 하락하는 문제(넷플릭스 등의 OTT 해상도가 내려감)가 있습니다.
- 롤백 인덱스를 까본 결과 글로벌롬(NEC롬)의 롤백 인덱스(1696118400) 가 중국 내수롬의 인덱스(1690848000) 보다 높은 상태였습니다. 이로 인해 위 문제가 발생한것이었고요. 글로벌롬을 테스트해보고 다시 내수롬으로 돌아가실 생각이라면 글로벌롬 상태에서 부트로더 락을 절대 걸지 마세요.
안티롤백에 대한 간단한 설명
현재 내수롬 최신 펌웨어인 15.0.677에서 부트로더 언락을 하실 경우, 롤백 인덱스에 677버전이 기록됩니다. 이후 부트로더 락을 진행할 때 677보다 낮은 버전일 경우 부팅이 불가능해집니다. 안티롤백 기능이 있어도 같은 버전이면 부트로더 락이 가능한것으로 알고있는데, 677에서 리락이 안되는 이유는 불분명합니다.(Fastboot롬 문제인지, 아니면 글로벌롬을 설치 또는 부트로더 락을 진행해서 롤백 인덱스에 영향을 주는것인지, 기타 다른 요소가 있는지)
그동안 글이 수정된 내역
23.11.19 : 드라이버 싹 날린 윈도우에서 다시한번 설치해보고 설치법을 간소화했습니다.
23.11.22 : 부트로더 락이 안되는 문제와 안티롤백에 대한 주의사항을 추가했습니다. 다운로드 링크가 죽어서 직접 업로드한 링크로 대체합니다. 다운로드 안되면 로그인하세요.
23.11.27 : 펌웨어의 롤백 인덱스 번호와 롤백 인덱스 관련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설치법에 부트로더 잠금 선택에 대한 내용 추가했습니다.
Unoffical_y700(TB320FC)_zui_japan(NEC)_version_15.0.008_fastboot_rom : fastboot 플래싱 가능한 글로벌 펌웨어
y700(TB320FC)_zui_15.0.677_fastboot_rom : fastboot 플래싱 가능한 내수롬 펌웨어
y700(TB320FC)_zui_15.0.677_edl_rom : edl 플래싱 가능한 내수롬 펌웨어
준비물
Y700 2023용 NEC Fastboot 글로벌 펌웨어 롬 : 위 링크에서 다운로드 NEC 15.0.008 펌웨어 다운로드
Fastboot 모드 인식용 모토로라 드라이버(64bit) : https://en-us.support.motorola.com/app/answers/detail/a_id/88481/
ADB, Fastboot 명령어용 플렛폼 툴 : https://dl.google.com/android/repository/platform-tools-latest-windows.zip
설치방법
1. 기기 OEM Unlock 및 Bootloader(Fastboot 모드) 진입
2. Fastboot 모드에서 글로벌 펌웨어 롬 플래싱
3. 플래싱 후 리커버리로 재부팅되면 Factory Reset 진행
4. 재부팅 또는 Bootloader로 진입하여 OEM Lock 걸기 (부트로더 락 진행시 내수롬에서 부트로더 락 불가능)
1-1. 준비물을 전부 다운로드합니다. 모토로라 드라이버는 설치파일을 실행하시면 되고, ADB, Fastboot 명령어 실행을 위한 플렛폼 툴은 cmd로 접근하기 쉬운 위치(ex 드라이브 루트)에 압축을 풀어주면 됩니다. 다운받은 글로벌 펌웨어는 한글 안들어가는 경로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1-2. 태블릿에서 설정 앱(settings)-휴대전화 정보(About tablet) 메뉴로 들어가서 소프트웨어 버전(Software version)을 여러번 누르면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다시 설정 앱에서 일반(General Settings) 메뉴 맨 아래에 개발자 옵션(developer options)에서 OEM 잠금해제(OEM unlocking) 옵션을 활성화 합니다.
1-3. 태블릿을 전원을 끈 다음 태블릿의 볼륨 업(+) 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Fastboot 모드로 진입합니다. 정확히는 볼륨 업 버튼을 먼저 누르고, 전원버튼을 이어서 같이 누른 뒤, 진동이 느껴지고 나서 1초정도 더 누르고 있으면 됩니다. 진동 후 너무 짧게누르거나 길게누르면 재부팅으로 넘어갑니다.
1-4. 태블릿을 USB로 컴퓨터와 연결합니다. USB포트가 두개있는데 가로방향 기준 아래쪽 USB포트를 사용했습니다.
1-5. 이제 컴퓨터에서 CMD를 실행합니다. (시작, cmd 입력, 엔터) 이후 미리 압축을 풀어둔 플렛폼 툴 경로로 이동하면 됩니다.
드라이브 루트로 이동시 C: 또는 D: 등 원하는 드라이브명 + : 입력
폴더로 이동시 cd 폴더명 입력
ex) D드라이브 루트에 platform-tools를 압축해제했을 경우 위처럼 입력하고 진행하면 됩니다.
1-6. fastboot devices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위처럼 fastboot 기기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모토로라 드라이버를 설치하셨으면 여기서 바로 인식될겁니다.
1-7. fastboot 모드에서 인식이 완료되었으면 이제 언락해줄 차례입니다. 아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하세요.
fastboot flashing unlock
fastboot flashing unlock_critical
명령어를 한줄 입력할 때 마다 태블릿 화면에서 언락할거냐고 물어볼텐데, 시키는대로 볼륨키와 전원키를 눌러 언락을 진행하면 됩니다. unlock 입력 후 초기화되고 재부팅될텐데, 다시 fastboot 모드로 들어와서 unlock-ciritical 명령어를 마저 입력해주면 됩니다. (재부팅→전원끄기→볼륨업 + 전원버튼으로 fastboot 모드 진입) 또 재부팅될텐데 다시 fastboot 모드로 돌아오세요.
1-8. fastboot oem device-info 명령어를 입력시 위처럼 두줄이 true로 나오면 OEM 언락이 완료된것입니다.
2-1. fastboot Mode 상태에서 아까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어뒀던 글로벌 펌웨어 폴더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flash_all.bat 파일을 실행합니다.
2-2. 그럼 새창이 뜨면서 위처럼 플래싱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다 끝나면 창에 pause 명령어가 나오고 기기가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
2-3. 재부팅하면 리커버리로 진입되는데 이때 그냥 재부팅하면 안됩니다.
2-4. 위 화면에서 Wipe data/factory reset 메뉴로 들어갑니다. 가서 Factory data reset을 선택해서 내장메모리를 초기화해줍니다. 이후 뒤로가서 위 메뉴로 돌아오면 됩니다.
2-5. 글로벌롬을 체험해보고 다시 내수롬으로 돌아가실 생각이라면 부트로더를 잠그면 안됩니다. 글로벌롬을 앞으로 쭉 사용할 것이고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를 고화질로 볼 생각이라면 부트로더를 잠그면 됩니다.
부트로더를 잠그지 않는다면 Reboot system now를 선택하면 됩니다.
부트로더를 잠근다면 Reboot to Bootloader 메뉴를 선택해서 다시 Fastboot 모드로 진입합니다.
fastboot flashing lock 명령어를 입력해서 부트로더를 다시 잠궈주면 자동으로 태블릿이 초기화되고 재부팅됩니다. 그리고 나서 다시 fastboot Mode로 진입하고, fastboot flashing lock_critical 로 마저 잠궈줍니다.
3-1. 재부팅이 완료되면 위와같은 화면이 뜨는데, 일본판 NEC 펌웨어라 그렇습니다. 언어설정 눌러서 한국어로 바꾸고 일반 안드로이드 기기처럼 초기설정 쭉 진행하면 됩니다.
3-2. 첫 시작할때 처럼 개발자 옵션으로 들어가면 OEM 잠금해제 옵션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을것입니다. 글로벌롬을 유지하실 생각이라면 이 옵션을 비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위에서 부트로더를 잠그지 않았고, 내수롬으로 다시 되돌아갈 경우 이 옵션을 킨 상태로 같은 과정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Q&A
Q : 중국판 펌웨어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A : 반글화 해도 일부분 중국어가 노출되는 부분이 있고, 지워지지 않는 중국앱들이 있는데 그런 부분을 신경쓸 필요가 없어집니다. 또한 레노버 ZUI가 백그라운드 앱을 빡빡하게 죽이기로 유명한데, 거기에 관련된 앱인 레노버 시큐리티 앱이 사라집니다. 중국어 키보드 없고(대신 Gboard가 기본으로 설치되어있음), 사설 앱스토어도 없습니다. 또한 near by share 등 순정 Android에 있는 기능들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ZUI의 커스텀된 기능들이 그대로 다 들어가 있습니다. 게임모드, 실험실-키맵핑, 앱별 음량 조절, 3버튼 탐색시 버튼 순서 바꾸기, 멀티윈도우, 디스플레이 색상 조절, 아이콘 테마 설정(기본 제공 리스트만), 시스템 테마 색상 지정, 상단바 항목 숨김, 각종 배터리 옵션 등등
또한 커스텀롬이 아닌 정식출시 예정인 펌웨어를 그대로 가져온거라(부트로더 락이 가능함) OTA도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다음버전이 서버에 올라와있지 않아서 확인은 불가능하지만 일단 시스템 업데이트가 살아있고, 업데이트 조회 시도까지는 가능합니다.
Q : 글로벌 펌웨어는 완벽한 한글화인가요?
A : 번역이 일부 이상한부분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용상 지장이 없는 완벽한 한글화가 맞습니다. 번역이 어색한 부분이 10곳 미만으로 있었고, 영어로 표시된 미번역 부분이 3곳정도 보이네요.
Q : Widevine DRM L1 맞나요?
A : 맞습니다. 넷플릭스에서 확인하면 위 스크린샷처럼 나와요.
Q : 게임모드 기능 살아있나요?
A : 살아있습니다.
Q : 레노버 시큐리티(SafeCenter) 없나요?
A : 없습니다.
Q : 중국 순정롬과 성능차이가 있나요?
A : 벤치마크와 게임을 돌려봤는데 별 차이 없었습니다. 순정롬 기반이 배터리나 발열도 비슷할것으로 보입니다.
Q : 중국 순정롬 대비 기능 빠지는게 있나요?
A : 커스터마이징 관련해서 중국 배경화면 앱하고 한자글꼴 설정, 캐릭터 충전 애니메이션 등이 빠져있습니다.
Q : 모니터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데스크탑 모드가 안되던데
A :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서 "데스크탑 모드 강제 사용" 이라는 옵션을 활성화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태블릿 단독으로 쓰는 데스크탑 모드는 빠져있습니다.
Q : 글로벌 펌웨어 단점 있나요?
A : 기본으로 설치되어있는 구글앱들이 좀 많은데 일반적으로는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비활성화는 가능하고, adb를 이용해서 지우면 될거같긴 하네요. 기기 이름이 일본 정발태블릿 제품명(LAVIE Tab 9QHD1)로 바뀝니다. 펌웨어 버전이 15.0.008로 중국판 펌웨어 버전 15.0.677과 차이가 꽤 납니다. 최신 업데이트는 중국펌웨어 위주로 이뤄질것으로 보이므로 업데이트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Q : 태블릿 살만한가요?
A : 세일하면 30~36만원정도에 위 스펙을 가진 태블릿을 살 수 있는데, 가성비 하나는 끝내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들고 게임하기 적당한 크기에 고성능 게임들이 다 잘 돌아간다는 점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