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리뷰 / 사용기 : 직접 작성한 사용기를 올릴 수 있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 중복해서 올렸거나 다른 사이트의 필드테스트, 업체 이벤트 관련 사용기는 홍보 / 필테 게시판에 올려 주세요. 이를 지키지 않을 시 삭제 및 글쓰기를 막습니다. 메인 리뷰는 업체의 의뢰를 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feb7322feaff0d1768a72f2257913c15.jpg

 

 

플래그쉽 노트북이 오히려 제품 기획은 더 쉬울 거라고 말해 봅니다. 저 낄낄 또 이상한 소리 한다고 혀를 차실 분도 계시겠지만, 묻고 더불로 가를 외치며 코어 i9 받으면 지포스 RTX 4080 랩탑을 넣고 4K 144Hz로 가는 식으로 좋은 것만 넣다보면 완성되잖아요? 그 과정에 돈은 좀 들겠지만 어차피 플래그쉽 제품을 찾는 사람들은 그 정도는 각오할 테고요. 그에 비해 가성비 노트북은 눈치 볼 것이 많습니다. 가성비는 가격 대 성능이 좋다는 소리입니다. 바꿔 말하면 가격과 성능 사이에서 줄을 아주 잘 타야 한다는 소리죠. 조금만이라도 삐끗하면 그냥 싸구려가 되거나 성능도 애매한 게 싸지도 않은 존재가 되기 십상입니다. 가성비 노트북의 상당수가 비슷한 스펙을 갖춘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가성비라는 좁고 험난한 길에 맞추기 위해서지요.

 

하지만 MSI 브라보 17 CVF 프로는 남들과 다른 대안을 제시합니다. 올림픽대로가 막힌다고? 그럼 마포대교는 무너졌냐고 일갈하며 자신있게 꺼내든 건 MSI 최초의 라이젠 프로세서와 지포스 RTX 40 그래픽의 조합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파고 들면 라이젠 7 7735HS로 출중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확보하고, DLSS 3의 프레임 생성이라는 비장의 무기를 갖춘 지포스 RTX 4060 랩탑 그래픽을 탑재해 그래픽 성능을 보강하며, 17인치의 대형 화면을 144Hz의 고주사율로 그려내서 게이머들을 사로잡다는 전략입니다. 이 라이젠+RTX 40 조합은 흔치 않은 선택이지만 가성비라는 목표는 충분히 달성해 낸 것처럼 보입니다. 지포스 RTX 4060 랩탑 그래픽을 탑재한 17인치 게이밍 노트북에서 가장 저렴한 모델이 바로 이 MSI 브라보 17 C7VF 프로 시리즈거든요.

DSC06888.JPG

 

 

제품명 MSI 브라보 17 C7VF 프로(SSD 512GB 모델)
CPU AMD 라이젠 7 7735HS 
(젠3+ 아키텍처, 6nm 공정, 8코어 16스레드, 최대 부스트 클럭 4.75GHz, L2 4MB/L3 16MB 캐시, TDP 35-54W)
메모리 DDR5-4800 16GB(2슬롯, 최대 64GB 장착)
그래픽 NVIDIA 지포스 RTX 4060 랩탑 GPU, GDDR6 8GB(다이나믹 부스트 105W)
스토리지 512GB NVMe M.2 SSD(2슬롯, 1개 추가 가능)
디스플레이 17.3인치(43.9cm), FHD(1920x1080) 144Hz, 16:9 비율, IPS 타입 패널, 밝기 250nits, 안티글레어, 5mm 베젤, 180도 힌지
웹캠 720p 30fps
입력 장치 백라이트 키보드(블루 LED, WASD 반투명 키캡, 한글 각인, 넘버 패드, 대형 터치패드 제공)
네트워크 기가비트 랜
802.11ax WiFi 6E 2.4GHz/5GHz
블루투스 5.3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추가 기능 드래곤 아머 패턴 그릴
2화면 동시 출력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쿨러부스트 5(쿨링팬 2개, 히트파이프 6개)
MSI 센터
I/O 포트 USB 3.2 Gen2 타입 C x1(디스플레이 출력 지원)
USB 3.2 Gen1 타입 A x2  
USB 2.0 타입 A x1
RJ45 유선 랜 x1
3.5mm 오디오 콤보 x1
HDMI x1(8K 60Hz, 4K 120Hz)  
배터리 3셀, 53.5WHr
전원 200W 어댑터
크기 398x273x25.2mm
무게 2.7kg
운영체제 프리도스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20440796
가격 1,220,000원(2023년 9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17.3인치에 어울리는 확장성

 

DSC06891.JPG

 

저렴한 가격, 높은 성능, 우수한 휴대성은 노트북이 갖춰야 할 미덕이지만 이 세가지를 동시에 확보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가볍고 싸면 성능이 낮고 성능과 휴대성을 모두 갖추면 가격이 비싸죠. 현실적으로 이 중 하나는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데요. MSI 브라보 C7VF 프로는 저렴한 가격과 괜찮은 성능, 그리고 큰 화면이 제공하는 게임 몰입감을 확보하기 위해 휴대성을 내려놨습니다. 그래서 나온 스펙이 17.3인치의 큰 화면과 2.7kg의 무게입니다. 용도와 가격을 볼문하고 노트북에서 더 큰 크기를 찾기 힘든 17.3인치의 큰 화면으로 게임을 쾌적하게 플레이할 수 있지만 가방 안에서 이리 굴리고 저리 굴려가며 항상 들고 다니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즈모드 펼친 탱크마냥 책상 위에 자리를 잡고 쓰기에 적합한 노트북입니다. 

 

원래대로라면 포트가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 있어도 이건 가성비 노트북이니까 양해를 바란다는 대사를 준비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이 MSI 브라보 17에 사용되는 일은 없었습니다. 있어야 할 건 다 달려 있거든요. 애플마저 인정한 호환성의 아이콘, USB-C 포트가 있어 데이터 전송과 디스플레이 출력을 지원하고요. HDMI 포트까지 더해 2개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이 가능합니다. 또 USB 타입 A 포트개 3개, 유선 랜과 3.5mm 포트로 폭넓은 확장성을 갖췄습니다. 키보드는 모든 키에 블루 LED 백라이트를 넣고, 게임에서 가장 많이 쓰는 WASD키에는 포인트 키캡을 써서 키를 식별하기가 쉽습니다. 1.7mm의 키 트래블로 입력도 빠르지요. 또 게이밍 노트북 중에서는 흔치 않게 180도로 열리는 힌지를 넣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DSC06871.JPG

 

외부 박스 전면.

 

DSC06872.JPG

 

외부 박스 뒷면.

 

DSC06874.JPG

 

MSI 브라보 시리즈의 썬더버드 로고가 그려진 내부 박스.

 

DSC06875.JPG

 

박스 내부.

 

DSC06876.JPG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설명서, 번들 마우스.

 

DSC06877.JPG

 

번들로 제공하는 M88 마우스입니다. 자세한 사진은 전에 올렸던 리뷰를 참고하세요. 

MSI Pulse 15 B13VGK QHD https://gigglehd.com/gg/14259846

 

DSC06879.JPG

 

200W 용량의 전원 어댑터.

 

 

DSC06881.JPG

 

전원 어댑터와 케이블의 무게는 750g입니다. 

 

DSC06910.JPG

 

썬더버드 로고가 인상적인 MSI 브라보 17 C7VF 프로의 뒷모습.

 

 

DSC06886.JPG

 

상판 위의 썬더버드 로고와 아머 라인. 

 

 

DSC06893.JPG

 

17.3인치 크기의 화면. 

 

 

DSC06894.JPG

 

측면 베젤의 두께는 5mm.

 

DSC06895.JPG

 

화면 상단 중앙의 720p 30fps의 웹캠

 

DSC06897.JPG

 

화면 하단 중앙의 MSI 로고.

 

DSC06898.JPG

 

키패드까지 달린 풀사이즈 키보드.

 

DSC06940.JPG

 

블루 LED 백라이트

 

DSC06899.JPG

 

키 트래블은 1.7mm이며 WASD키에는 포인트 키캡을 장착했습니다. 

 

DSC06901.JPG

 

방향키와 전원키도 눈에 잘 띄도록 강조했습니다. 

 

DSC06900.JPG

 

110x60mm의 대형 터치패드.

 

DSC06903.JPG

 

라이젠 7과 지포스 RTX 로고 스티커.

 

DSC06904.JPG

 

브라보 17 C7VF 프로의 주요 스펙. 

 

DSC06882.JPG

 

노트북 전면과 뒷면. 전면에는 특별한 건 없고 뒷면에는 양 끝에 배기구가 있습니다. 

 

DSC06885.JPG

 

노트북 측면. 왼쪽에는 전원 포트, 배기구, USB 3.2 Gen1 타입 A와 USB 2.0 타입 A 포트가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3.5mm 오디오 잭, USB 3.2 Gen1 타입 A, USB 3.2 Gen1 타입 C, HDMI, 유선 랜 포트가 있습니다. 

 

DSC06890.JPG

 

180도로 열리는 힌지.

 

DSC06907.JPG

 

크기 398x273mm

 

DSC06906.JPG

 

두께 25.2mm.

 

DSC06908.JPG

 

무게 2.7kg

 

DSC06887.JPG

 

바닥의 드래곤 아머 패턴 그릴 통풍구.

 

 

 

팬과 램과 M.2 슬롯은 2개씩 

 

DSC06960.JPG

 

쿨링 시스템은 2개의 팬과 6개의 히트파이프로 구성된 쿨러부스트 5를 탑재했습니다. 좌우 한 개씩 장착된 쿨링팬이 바닥의 흡입구에서 바람을 빨아들여 측면과 후면 배기구로 뜨거워진 공기를 배출합니다. 6개의 히트파이프는 노트북 중앙의 CPU와 GPU를 함께 연결해, 어느 한 쪽에 작업이 몰려도 쿨링 시스템을 언제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CPU 아래에는 2개의 DDR5 SO-DIMM 메모리 슬롯, 그 아래에는 2개의 M.2 슬롯이 있어 메모리와 스토리지의 증설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가장 아래의 배터리는 3셀 구성으로 53.5WHr의 용량을 제공하며, 양 옆에는 Hi-Res를 지원하는 2W 스피커 2개가 있습니다.  

 

DSC06913.JPG

 

하판 내부.

 

DSC06914.JPG

 

2개의 쿨링팬과 6개의 히트파이프로 구성된 쿨러 부스트 5.

 

DSC06915.JPG

 

좌측의 40mm 쿨링팬.

 

DSC06916.JPG

 

CPU와 GPU 위를 모두 지나가는 6개의 히트파이프.

 

DSC06917.JPG

 

우측의 50mm 쿨링팬.

 

 

DSC06921.JPG

 

 

히트파이프 아래의 CPU, GPU, 2개의 SO-DIMM 메모리 슬롯.

 

 

DSC06922.JPG

 

M.2 2280 규격의 NVMe SSD.

 

DSC06924.JPG

 

WiFi 6E를 지원하는 미디어텍 무선 랜 모듈.

 

DSC06927.JPG

 

랜 포트.

 

DSC06929.JPG

 

2개의 USB 타입 A 포트가 달린 도터보드.

 

DSC06930.JPG

 

DSC06931.JPG

 

노트북 양쪽의 2W 스피커.

 

DSC06932.JPG

 

배터리 옆의 추가 M.2 슬롯.

 

 

큰 일은 큰 코어가 한다. 프레임 만들어내는 RTX 40

 

DSC06952.JPG

 

라이젠 7 7735HS는 8코어 16스레드 프로세서입니다. 인텔이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내세워서 코어 수를 잔뜩 늘렸지만 거기에는 고성능 P 코어와 고효율(이라 쓰고 저성능이라고 읽어도 되는) E 코어가 섞여 있고요. 그에 비해 AMD 라이젠 프로세서는 큰 걸로만 코어를 채웠습니다. 그래서 전체 코어 숫자만 따지면 AMD가 뒤쳐질지 몰라도 성능을 결정하는 큰 코어는 오히려 AMD가 더 많은 경우가 적지 않으며, 실제로 체감하게 되는 성능에서도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곤 하는데요. 이런 현상은 100만원 초중반대의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에서 더더욱 두드러집니다. 이 가격대의 코어 프로세서는 P 코어의 수가 2개나 4개, 많아봤자 6개인데 비해 AMD는 큰 코어만 8개가 들어가기에, 한정된 예산 안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지포스 RTX 4060 랩탑 그래픽입니다. 지포스 RTX 4060 랩탑은 보급형 모델입니다. 깡성능이 높은 그래픽은 아니죠. 하지만 NVIDIA의 최신 아키텍처인 에이다 러브에이스는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것들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우선 전력 효율이 높습니다. 노트북의 한정된 쿨링 시스템에서 높은 성능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기가 쉬워졌다는 말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3세대 RT 코어를 채택해 레이 트레이싱 성능이 전작보다 최대 2배가 높아졌습니다. 무엇보다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DLSS 3에는 프레임 생성 기능이 있습니다. 이걸 활용하면 GPU가 그려내는 프레임 이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체감 성능은 더욱 높아지는데요. 실제 테스트에서도 평균 프레임이 두 배 가까이 뻥튀기되는 효과를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Cap 2023-09-10 22-24-41-939.png

 

라이젠 7 7735HS의 작업 관리자.

 

Cap 2023-09-10 22-26-24-532.jpg

 

VP09 영상 재생 시 점유율

 

Cap 2023-09-10 22-28-25-829.jpg

 

AV01 영상 재생 시 점유율

 

Cap 2023-09-07 14-37-08-212.png

 

라이젠 7 7735HS와 칩셋 정보

 

Cap 2023-09-07 14-37-11-098.png

 

DDR5-4800 8GB 메모리

 

Cap 2023-09-10 22-23-54-599.png

 

메모리와 캐시의 대역폭과 레이턴시

 

Cap 2023-09-07 20-53-03-192.png

 

지포스 RTX 4060 랩탑 GPU와 라데온 내장 그래픽.

 

Cap 2023-09-15 00-14-25-369.png

 

CPU-Z 17.01

 

Cap 2023-09-15 00-14-38-802.png

 

CPU-Z 19.01

 

Cap 2023-09-15 00-14-47-902.png

 

CPU-Z AVX2

 

Cap 2023-09-15 00-14-15-336.png

 

wPrime

 

Cap 2023-09-15 00-14-59-703.png

 

시네벤치 R23

 

Cap 2023-09-15 00-13-29-670.png

 

시네벤치 R24

 

 

Cap 2023-09-15 00-15-22-520.png

 

코로나

 

 

Cap 2023-09-15 00-15-36-353.png

 

X.264 1080p 인코딩

 

Cap 2023-09-15 00-13-01-638.png

 

7Zip

 

Cap 2023-09-15 00-12-03-154.png

 

블렌더: CPU

 

Cap 2023-09-15 00-12-16-520.png

 

블렌더: GPU

 

Cap 2023-09-15 00-12-31-170.png

 

Vray

 

Cap 2023-09-15 00-04-13-745.png

 

PC마크 10

 

Cap 2023-09-15 00-06-35-525.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Cap 2023-09-15 00-05-06-628.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3-09-15 00-06-13-576.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3-09-15 00-11-43-722.png

 

3D마크 스피드웨이, 포트 로얄, 솔라 베이

 

Cap 2023-09-15 00-01-52-976.png

 

3D 게임

 

Cap 2023-09-15 00-02-13-244.png

 

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는 3D 게임

 

Cap 2023-09-15 00-01-14-914.png

 

3D 게임: DLSS 균형

 

 

Cap 2023-09-15 00-07-11-208.png

 

3D 게임: DLSS 균형에 프레임 생성 기능 활성화

 

 

게이밍 디스플레이에서 단 하나만 고른다면? 정답은 주사율

 

DSC06959.JPG

 

300으로 키, IQ, 몸무게를 나눠보라는 밸런스 게임이 있습니다. 이리 나누고 저리 나누고 용을 쓰다보면 300이라는 조건 자체가 너무나도 야박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게임이죠.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도 마찬가지입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CPU, GPU, 디스플레이에 예산을 나누기가 너무 힘들거든요. 그 중에서 디스플레이는 더더욱 어렵습니다. 크기, 해상도, 주사율, 색공간 등 분배해야 할 스탯이 너무 많으니까요. 그래도 선택해야 한다면 뭘 우선해야 할까요? 키, IQ, 몸무게라면 키와 IQ를 우선하고 몸무게를 가장 뒤에 놓는 선택이 많던데요. 게이밍 디스플레이라면 가장 우선해야 할 스펙은 역시 높은 주사율입니다. 

 

MSI 브라보 17 C7VF는 17.3인치의 큰 크기와 144Hz의 높은 주사율을 우선했습니다. 그래서 큰 화면에서 부드러운 화면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는 풀 HD입니다. 딱히 높지는 않지만 이보다 더 큰 게이밍 모니터에서도 풀 HD를 고집하는 게이머들도 있는데, 게이밍 노트북에서 풀 HD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지요. 밝기는 250cd/m2로 평범 그 자체이고요. IPS 타입 패널에서 시야각을 이야기하는 건 입만 아프지요. 이 노트북에서 타협한 스펙은 단 하나, 색공간입니다. 그래서 100%를 채운 모니터보다는 색상 표현이 약하긴 합니다. 그러나 색공간 40% 대의 진짜 보급형 노트북과 비교할 정도는 절대로 아니고요. 또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화면의 움직임이 빠르고 변화가 잦은 게임에서는 색 영역의 차이가 눈에 잘 띄지 않기도 합니다.  

 

Cap 2023-09-10 22-10-27-395.png

 

1920x1080 144Hz를 지원하는 노트북 디스플레이. USB-C 포트를 통한 DP Alt 모드와 HDMI 포트는 모두 4K 60Hz 이상의 고해상도/고주사율 출력을 지원합니다. 

 

 

144Hz 주사율,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기능 테스트 영상.

 

DSC06941.JPG

 

1920x1080 해상도 출력

 

DSC06936.JPG

 

좌우 시야각 178도

 

DSC06937.JPG

 

상하 시야각 178도

 

P3090791.JPG

 

RGB LED 픽셀 배열 

 

DSC06942.JPG

 

가독성 테스트

 

 

DSC06943.JPG

 

 

명암 표현

 

DSC06944.JPG

 

색상 표현

 

DSC06945.JPG

 

사진 표시

 

DSC06946.JPG

 

영상 재생

 

Cap 2023-09-10 22-43-18-139.jpg

 

색 영역은 sRGB 64%

 

Cap 2023-09-10 22-43-30-410.png

 

감마는 표준인 2.2

 

Cap 2023-09-10 22-43-40-962.png

 

최고 밝기는 250니트

 

Cap 2023-09-10 22-43-53-659.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3-59-175.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03-371.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10-658.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15-862.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20-167.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25-245.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29-430.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3-09-10 22-44-37-871.png

 

색상 정확도. 파란색과 빨간색 계열이 다소 높게 나오긴 하지만 평균치는 델타-E 2에 근접했습니다. 

 

 

은근히 괜찮은 조연들

 

DSC06961.JPG

 

테스트에서 전력 사용량이 가장 높았던 건 156W의 3D마크였습니다. 이번에 새로 추가한 시네벤치 R24의 GPU 테스트가 127W로 그 다음이었고요. CPU만 활용하는 시네벤치 멀티코어 테스트는 100W를 조금 넘겼습니다. 200W의 어댑터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용량입니다. 배터리 사용 시간은 웹서핑이 5시간, 동영상 재생이 4시간 30분에 가까운 결가 나왔습니다. 배터리 용량이 53.5WHr로 많은 편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전력 사용량이 많지 않기에 가능한 숫자인 것 같네요. 체급만 보면 책상 위를 지키는 데스크북이지만, 잘 아껴 쓴다면 일과 시간 동안은 밖에서 버티기에 충분한 배터리를 지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온도는 최고 90도, 소음은 50dB 안밖을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사용에 큰 지장을 주지 않았습니다. 표면 온도는 키보드 윗부분이 40도 초반, 통풍구 근처가 40도 후반으로 평범한 게이밍 노트북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기본 탑재된 512GB의 NVMe SSD는 4.3GB/s의 순차 읽기 속도를 보여주었고, 더티 테스트에서는 62%까지는 2GB/s의 성능을 유지합니다. 그 아래로 내려가면 캐시 영역을 소진해서 성능 하락이 있습니다. USB-C 포트는 USB 3.2 Gen1 규격을 준수해 최고 1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Wi-Fi 6E 네트워크를 지원해 2.4GHz나 5GHz는 기본이고 6GHz 주파수로도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습니다. 

 

Cap 2023-09-07 21-31-56-048.png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로 측정한 순차/랜덤 성능. 왼쪽은 기본 탑재된 512GB SSD. 오른쪽은 USB 3.2 Gen1 타입 C 포트에 연결한 외장 SSD.

 

Cap 2023-09-07 22-47-49-571.png

 

 

기본 탑재된 SSD의 더티 테스트. 62%부터 캐시 공간을 소진해 성능 하락이 있습니다. 

 

Cap 2023-09-15 00-07-39-675.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Cap 2023-09-15 00-08-41-508.png

 

배터리 사용 시간

 

Cap 2023-09-15 00-09-23-757.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스피커 볼륨

 

Cap 2023-09-15 00-10-07-773.png

 

온도

 

Cap 2023-09-15 00-10-47-422.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 

 

XORA5490.JPG

 

노트북 표면 온도.

 

ezgif.com-gif-maker (2).gif

 

노트북 바이오스.

 

ezgif.com-gif-maker.gif

 

MSI 센터 앱의 설정 기능

 

ezgif.com-gif-maker (1).gif

 

나히믹 오디오 튜닝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MSI 브라보 17 C7VF 프로

 

DSC06950.JPG

 


첫 인상은 라이젠과 지포스 RTX 40이라는 독특한 조합이 특징인 노트북이었는데, 쓰다보니 그 인상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17.3인치의 큰 화면과 144Hz의 높은 주사율을 가장 저렴하고 쾌적하게 쓸 수 있는 가성비 노트북이라고 말이죠. 저성능 코어를 섞어 코어 수를 늘린 경쟁사 제품과 다르게, 똑같은 성능을 내는 8개의 코어로 구성된 라이젠 7 7735HS 프로세서를 탑재했고요. 지포스 RTX 4060 랩탑 그래픽은 DLSS 3와 프레임 생성 기능으로 체급 이상의 부드러운 프레임을 뽑아냅니다. 17.3인치의 큰 화면은 쓰고 싶고, 144Hz의 고주사율은 포기할 수 없으며, 최신 아키텍처로 무장한 지포스 RTX 40는 꼭 쓰고 싶으신가요? 그 세가지를 모두 갖춘 노트북 중에서 가장 싼 제품이 MSI 브라보 17 C7VF 프로입니다. 그러니 가성비가 높을 수밖에 없지요. 



  • ?
    leesoo      raysoda.com/user/leesoo 2023.09.16 19:11
    결가 -> 결과가
    노트북인데 제 데스크탑보다 나은것 같네요. 장점은 제 모니터 글자크기가 더 크다는것 뿐인듯; 잘봤습니다.
  • ?
    이스F91 2023.09.18 09:25
    딱 쓰기 좋게 나왔네요
    슬슬 노트북 바꿀 때가 됐는데 가시권에 넣어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 ?
    연서기 2023.09.18 10:19
    다나와에서 최소 그래픽만 지정해서 검색하니 저게 제일 가성비가 맞네요.
    오픈마켓에서는 현재 107만원이구요..

    근데 노트북은 오픈마켓 이벤트 가격이 다나와에 연동안되는게 제일 아쉽긴하더라구요.
  • ?
    리온미첼 2023.09.19 01:01
    키보드 배열이 진짜 최악인 랩탑이네요.
    전원 스위치 위치부터 단축 숫자키패드 콤보라니.
    성능과 가격이 좋아도 별도 키보드 쓸 생각 아니라면 절대 피해야 되는 폼펙터 입니다.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Toccki ㄱ자 꺾임 + 전력 측정 케이블

    이번에 신제품으로 ㄱ자 꺾임이랑 전력 측정 디스플레이가 합쳐진 제품이 나왔습니다. 플랫 케이블에 직조 피복이라 꽤 뻣뻣합니다.      측정 디스플레이가 ㄱ자 쪽에 달려있어서 좀 덩치가 있는 데, 단자부를 살짝 돌출해놔서 케이스 ...
    Date2023.09.26 사용기 By센트레아 Reply4 Views1769 file
    Read More
  2. 가성비의 그 이름, 박격포. MSI MAG 코어리퀴드 M360 박격포

    박격포가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가성비가 높아서지요. 좀 더 직설적으로 말해볼까요? 싸서 그렇습니다. 이 세상에는 박격포보다 좋은 것도 있습니다. 심지어 많기까지 하지요. 문제는 그런 것들은 다들 한결같이 비싸다는...
    Date2023.09.2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2 Views1428 file
    Read More
  3. 160g의 거짓말, 10000mah 보조배터리

    얼마 전,   https://gigglehd.com/gg/14905126     가난한 프롤레타리아 회원님이 이런 어그로성 글을 작성하셨습니다.       그 결과 이런 훌륭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죠.   추가로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   첫번째로 추천받은 모델은 ...
    Date2023.09.23 사용기 Bytitle: 가난한까마귀 Reply17 Views2009 file
    Read More
  4. 쿨러 석사님들이 만든 큰데 작은, 꽉찬 케이스, 쿨러마스터 QUBE 500 flatpack

    그렇습니다. 봄에 샀던 비콰... 꾸역꾸역 참고 쓰긴 했지만 결정적으로, 유격이 너무 컸습니다.  케이스 백패널이 아무것도 조립하지 않아도.. 제대로 닫히질 않아요. 그 때부터 정이 좀 떨어졌었어요.     오직 까리함, 거대함 원툴...  ...
    Date2023.09.23 사용기 Bytitle: 삼성360Ghz Reply6 Views1531 file
    Read More
  5. 라데온 프로 W5500 - 50일간 사용기.

      * 관련글 ==>> https://gigglehd.com/gg/14531956   * 쿼드로 A2000 에서 W5500으로  업글 ?? 한 제 컴퓨터 사양 입니다. (모니터는 필립스 275E 듀얼 입니다.)       * 업그레이드 ?? 후 이상 증상은 아직 없었습니다.   * 테스트에 사...
    Date2023.09.23 사용기 ByZ80 Reply2 Views952 file
    Read More
  6. 보드 위에 저 방열판 카본을 두른듯. MSI MPG X670E 카본 WiFi

    탄소섬유 강화 중합체. 영어로 카본 파이버 리엔포스드 폴리머입니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저그 울트라리스크를 줄여 부를 때 울리라 하지 않고 울트라라고 부르는 게 국룰인 것처럼 카본 파이버도 그냥 카본이라고 부르죠. 이 카본은 검고...
    Date2023.09.22 메인 리뷰 By낄낄 Reply5 Views1537 file
    Read More
  7. 엔키마운트 ENK-DT100 3단계 높이조절 모니터 받침대

    다나와 인기랭킹 1위에 올라와 있는 엔키마운트 ENK-DT100 3단계  높이조절 모니터 받침대를 사봤습니다.   박스 포장상태 지지하중 20킬로그램이라고 써있네요.     박스 뒷면에는 받침대 사이즈랑 설치설명서가 그려져 있습니다.       ...
    Date2023.09.22 사용기 By아즈텍 Reply4 Views790 file
    Read More
  8. M.2 2230,2245,2260 사이즈 늘려 사용하기.

      * 2260 방열판이 나오긴 하나요 ?.       * 2280용 방열판에 맞게 절단.     * 완성.     * 보드에 달린 M.2 단자가 이상해...     * 위쪽 방열판 고정홀 안쪽으로 3mm 가공,  상,하부 방열판 조립시 화살표 방향으로 3mm 이동.     * ...
    Date2023.09.21 사용기 ByZ80 Reply3 Views751 file
    Read More
  9. 2023 하반기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9월 18일, 2023 하반기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이 서강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렸습니다. '새학기도 됐으니 컴퓨터도 새로 한 대 장만하실?'이런 취지로 대학교 교정을 빌려 총학생회와 함께 진행하는 행사인데요. 그렇다고 해서 ...
    Date2023.09.20 탐방, 발표 By낄낄 Reply9 Views1757 file
    Read More
  10. Y700 2세대 언박싱

    한 때 핫했던(어쩌면 지금도?) 리전 Y700의 2세대 버전을 구매했습니다. 1세대 대비 크게 바뀐 점은 AP가 SD870에서 SD 8+ Gen1으로, 램이 8/12에서 12/16으로 올라갔습니다. 외에 디스플레이 주사율은 144hz로 동일합니다.   박스 전면입...
    Date2023.09.20 사용기 By모래맛사탕 Reply1 Views2101 file
    Read More
  11. 그 삼성 리더기 제가 한번 사보겠습니다.

    https://gigglehd.com/gg/bbs/14862733   이글에서 나온 삼성제 리더기.   집에 있던 리더기가 발목을 잡는듯한 생각이 들어서 고민하다가 질렀습니다.(약 10분.....)     찍어먹기 준비 완료.   삼성에서 직접 배송해줘서 인지 제대로 받...
    Date2023.09.17 사용기 By하드매냐 Reply11 Views2053 file
    Read More
  12. 그 뭐랄까... 아주 유명한... 가성비? MSI 브라보 17 C7VF 프로

    플래그쉽 노트북이 오히려 제품 기획은 더 쉬울 거라고 말해 봅니다. 저 낄낄 또 이상한 소리 한다고 혀를 차실 분도 계시겠지만, 묻고 더불로 가를 외치며 코어 i9 받으면 지포스 RTX 4080 랩탑을 넣고 4K 144Hz로 가는 식으로 좋은 것...
    Date2023.09.15 메인 리뷰 By낄낄 Reply4 Views2430 file
    Read More
  13. PoE NVR H.265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사소한 빌드 업.

      * 한적한 시골 생활도 끝났네요.... 집 담 벽을 아무개 씨가 차로 박아 버렸네요. (다행히 보험 처리 함) * 앞으로 이런 일이 또 발생하면 사람 양심에 맡기기에는 쫌 그래서, 감시 카메라 설치 하기로 함.   (최대한 저렴한 중국산으...
    Date2023.09.13 사용기 ByZ80 Reply2 Views1229 file
    Read More
  14. 파나소닉 이어클립, 귓병환자에게 딱!

    에... 그러니까 말입죠....   포도맛계란이는... 아픕니다....     귀가.... 아픕니다.....                                             정확히는 귓바퀴쪽, 이갑개강 쪽에 상처라 해야하나, 곪았다 해야하나...   암튼 그쪽에 문제가 ...
    Date2023.09.13 사용기 By포도맛계란 Reply15 Views946 file
    Read More
  15. 2023년에 써보는 SLC USB [이미지 14.36MB]

      얼마 전에 시엔위에서 아이쇼핑을 하다가 SLC USB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자세히 보니 삼성의 중고 DSP(듀얼 스택 패키지) SLC 낸드를 사용한 USB 2.0 USB를 판다는 글이었고 23년에 2D SLC에 USB 2.0 조합이라는, 형언할 수 ...
    Date2023.09.12 사용기 By유지니1203 Reply25 Views248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 Next
/ 102

MSI 코리아
더함
AMD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