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트럼 아날라이저가 대체 왜 필요한건가 원문을 읽어봤는데, 어디에도 그런 얘기가 없는데요 ?
기본적으로 그냥 FMCW 레이더이고, WIFI 공유기에서도 쓰는 기술을 쓰고 있을 뿐입니다. ( https://waveturtle94.tistory.com/4 )
뭔가 거창해보이는 것들이 잔뜩 있는 것은 온갖 방법과 파라미터들을 적용 시험하면서 분석하기 위한 툴일 뿐이고요.
Infineon BGT60TR13C 레이더 칩셋갖고 저 손목에 차는 것을 만든 것이고, 그 이외의 것은 모두 시험을 위한 장비라서 실제로 사용자가 갖고 다녀야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 완성되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의 앱으로 구현 )
[ 가슴 착용형 60GHz 레이더 시스템 ] 이라지만, 스마트워치에 레이더칩셋 넣고 스마트폰이 데이타 처리하게 하면 (유선 연결 필요 없음) 전력소모, 처리부하등 모든 면에서 현재의 기술로 충분하고, 스마트워치 단독으로도 가능할 듯 보이고요.
Infineon BGT60TR13C 레이더 칩셋은 소매로도 판매하고 있는 물건이고 가격은 2 만원선. ( https://www.mouser.kr/ProductDetail/Infineon-Technologies/BGT60TR13CE6327XUMA1?qs=sPbYRqrBIVnK9rZEOIh6SA%3D%3D )
저 연구진들은 현재 양산되고 있는 칩들을 활용해서 기술 구현한 것이고, 스마트워치/스마트폰에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아..제가 잘알고 이야기 한건 아니고, 사진에 S/A가 있고, 사용주파수대역 60 GHz 전후래서 그정도 사양이 필요한건가 했습니다. 그냥 무식쟁이인데 익숙한 장비가 있어서 저런것도 필요하구나란 생각까지 미쳐버렸습니다. 그리고 의료기기인 만큼 정밀판독이 필요해 정밀도를 위해 필요한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스펙트럼 아날라이저까지는 필요없고 해당 레이더센서에서 수집한 파형정보(혈당표기를 위한 전처리를 마친 데이터)를 BLE로 스마트폰 앱으로 보내면 거기서 바로 처리하거나 앱에서 클라우드로 보내 처리한 결과를 앱으로 뿌려주는 방식으로 결과를 확인해 볼수 있을것 같네요. 여기에 딥러닝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최근 인피니언이나 TI에서는 자사 레이더 센서에 자사NPU연동해서 실시간 처리하는 제품솔루션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앞 분들 말씀대로 해당 논문의 핵심은 metasurface structure 을 활용해서 RF 센서의 SNR(신호대 잡음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보이고, RF 을 활용한 비침습 혈당측정방법 자체는 이전 연구에서도 제안된 바 있군요. citation 으로 붙어있네요. Omer, A. E. et al. Non-invasive real-time monitoring of glucose level using novel microwave biosensor based on triple-pole CSRR. IEEE Trans. Biomed. Circuits Syst. 14, 1407–1420 (2020).
델이 새 PC를 발표하며 라인업 구성을 완전히 개편했습니다. 크게 3가지 라인업 Dell, Dell Pro, Dell Pro Max와 Base(접미사 없음), Plus, Premium의 접미사로 구성됩니다. 델 인스피론은 Dell과 Dell Plus, XPS는 Dell Plus와 Prem...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전력소모같은 것때문에 배터리랑 다른 본체기게 쪽이 무거울테지만...
하고 찾아보니 Spectrum Analyzer네요.
사용 주파수가 58-63GHz면 스펙트럼 가격은 억대일거긴한데, 해당대역만할 수있게 하고 하면 더 싸지긴 할텐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