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20년만에 1톤트럭 '포터' 완전변경 모델 개발 착수 했습니다. 차세대 포터는 2027년부터 전주공장에서 생산합니다. 신차 프로젝트명은 'UZ'로, 차명은 '포터Ⅲ(3)'가 유력합니다.
앞서 현대차 노사는 신형포터 생산거점을 기존울산공장에서 전주공장으로 이관하는방안을 합의 했습니다. 전주는 현대차 상용차 거점으로 연간생산능력은 10만대로 그동안 포터를 뺀 상용차를 생산했습니다.
현대차 중 꾸준한 인기모델중인 포터는 전주공장으로 이관시 전주공장은 생산량이 확대할수 있습니다. 이와동시에 일감 넘겨준 울산공장은 전기 승용차 라인 확대해 수요에 효율적 대처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차가 포터Ⅲ 개발착수한것은 2004년 포터Ⅱ 출시이후 20년만입니다.
포터Ⅲ의 파워트레인은 기존처럼 LPG와 전기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1세대 부터 유지했던 캡오버 방식은 충돌안정성이 최악인 관계로 세미보닛 형태로 개발할 예정입니다. (리베로..?)
앞서 정부는 2022년 입법하고, 그리고 올해 소형화물차에도 안전기중 강화하는 조치가 시행합니다. 충돌시험 기준도 국제기준에 맞추고 비상자동제동장치 장착도 의무화 하는내용입니다.
이와같은 조치는 기존판매량 은 2027년까지 유예중입니다. 유예 끝나는 즉시 포터Ⅲ 투입하는거 같네요.
다만 형제모델인 봉고Ⅲ은 후속모델 개발일정을 확정하지 않았습니다.
리베로의 경우는 베이스 모델인 스타렉스가 후륜구동 + 프레임 바디 모델이었기 때문에 프레임을 그대로 쓰고 차체만 트럭으로 바꿔서 출시하는게 가능했죠.
(물론 화물용 차답게 판스프링 + 후륜 복륜으로 변경)
근데, 현재 현대차에선 후륜구동 + 프레임 바디 승합차량이 없습니다.
그래서, 트럭을 새로 개발한다고 하면 기존 포터의 몇십년간 우려낸 사골 프레임을 재활용하던지 새로운 프레임을 개발하던지 해야할텐데, 상용차 특성상 새로 개발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