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커뮤니티 게시판 : 아주 기본적인 네티켓만 지킨다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커뮤니티 게시판입니다.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각각의 포럼 게시판을 우선 이용해 주시고, 민감한 소재는 비공개 게시판이나 수상한 게시판에, 홍보는 홍보/외부 사용기 게시판에 써 주세요. 질문은 포럼 게시판의 질문/토론 카테고리를 사용해 주세요.

profile
title: 폭8책읽는달팽 https://gigglehd.com/gg/11138127
악은 사람을 사람취급 안하는데서 시작된단다 - Terry Pratchett
조회 수 1036 댓글 12

인류의 뇌는 정말 처치 불가죠... 안그래도 뇌 크기가 크게 태어나 산모가 죽을 정도니... 지금도 20%의 연료를 먹고 있죠.

 

여튼, 인류의 뇌는 기술의 발전(네, 불등의 발달)로 인해 커졌다가, 3000년 즈음에 줄어들었습니다.

 

불로 구운 음식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지식의 외부화와 그룹 차원의 결정으로 인해서라고 최근 논문에서 지적합니다. 이 논문에선 개미를 가지고 지적을 했네요. 개미도 인간처럼 꽤나 복잡한 사회 시스템을 가지고 있죠.

 

여튼, 외부기억장치 - 즉 문자의 발명으로 인해 외부에다가 글을 써넣을수 있게 되니, 뇌 크기가 작아도 기억의 변화는 없었을겁니다. 외부 기억장치인 문자와 책등이 있었으니까요.

 

그리고 컴퓨터가 또 뇌를 보조할테니, 컴퓨터가 계속 존재한다면(한 수천년?), 인간의 뇌가 더 작아 질 수 있겠지요...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evo.2021.742639/full



  • profile
    동방의빛 2021.10.25 21:48
    지식의 외부화와 그룹 차원의 결정이라...뇌를 기억장치라고 보는군요? 경험으로 기록된 수많은 데이터 중에 적절한 값을 꺼내쓰는 기관이라고 보는 것 같은데, 뇌를 탑다운 형태의 인공지능처럼 보고 있나 보군요. 맘에 안 드네요.

    저같은 경우에 뇌는 여러 연산/제어/기억 장치들의 모임으로 봐요. 그리고 각각의 기관은 성능과 세포의 수가 비례한다고 보고요. 그러면 현대인의 뇌 크기가 줄어든 건 일부 기관만을 써서 다른 기관들이 저성능인 상태라서 세포가 적기 때문일테고요. 그렇게 따지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분업화가 원인이라 봐야겠지요.
  • profile
    title: 폭8책읽는달팽      악은 사람을 사람취급 안하는데서 시작된단다 - Terry Pratchett 2021.10.25 22:32
    뭐 논문은 저렇게 나왔습니다. 여튼 뇌는 연산 / 제어 / 기억장치를 다 갖추고 있죠... 무의식적인 부분도 포함하면 골이 꽤나 아플겁니다. 근데 여튼 앞으로의 진화 압력이 궁금하긴 합니다. 사회는 후기 근대성(혹은 액체 근대성)으로 넘어가고 있어서(혹은 넘어가서) 그룹 차원의 결정이 아니라 '개개인'의 결정(그리고 한번 한 결정이 두번 다시 사용안될수 있고 말이죠...)으로 바뀌게 되었거든요.
  • profile
    title: 폭8책읽는달팽      악은 사람을 사람취급 안하는데서 시작된단다 - Terry Pratchett 2021.10.25 22:39
    거기다가 '지식의 외부화'도 이제 정보 고속도로로 인해 사람이 포괄할 수 있는 지식의 수준을 넘어 과부하가 걸리게 흐르게 되어, 이제 지식을 판단하는 능력이 지식을 외부화 하는 능력보다 더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저 후기 근대성(액체 근대성)이 진화 압력을 어떻게 조절하겠지요.
  • profile
    title: 고양이(삭제예정)K_mount      고양이 확대중,. 2021.10.25 22:38
    뭐든지 안 쓰면 퇴화 합니다
  • profile
    title: 야행성가네샤      https://924717.tistory.com/ 2021.10.25 23:03
    머리로 기억 안하고 외부 기록장치에 의존하면 기억력이 떨어진다는걸 직접 경험해 봤습니다.
    PDA에 일정을 저장하고, 메모를 하거나, 복잡한 내용은 블로그에 정리하는 생활을 하다가 군대에 갔더니
    보조기억장치가 없어서 한동안 고생 꽤나 했었거든요. 덕분에 수첩 참 많이 썼었는데 말이죠. ㅋㅋ
    그때 일을 생각하니 쉽게 이해가 됩니다.
  • profile
    title: 귀요미veritas      ლ(╹◡╹ლ)  2021.10.25 23:05
    인류는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육체적 능력과 더불어 지적 한계 역시 극복해낼 수 있었습니다. 종이와 문자를 발명함으로써 한정된 기억용량 및 사람대 사람간의 자료 전송이라는 문제를 해결했고, 계산기와 컴퓨터의 발명을 통해 연산 및 사고 능력을 확장할 수 있었죠. 그리고 지금은 IT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뇌의 고유한 기능이 점차 IT기기로 이관되고 있습니다. 휴대폰에 연락처 저장 기능이 있는데 왜 굳이 전화번호를 외워야만 할까요? GPS가 있는데 지도를 외울 필요가 있을까요?

    앞으로 기술과 도구가 발전함에 따라 인류의 뇌구조 역시 변하겠지만, 저는 이를 '퇴화'로 정의내릴 수는 없다고 봅니다. 앞으로 크게 필요가 없어질 능력이 퇴화하는 대신, 이런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개발 및 연구하기 위한 능력이 발달되겠죠. 물론 지나치게 도구 의존적인 태도는 경계하는 대신 도구의 개선방향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긴 하겠죠. 뇌 기억능력을 복구하겠다고 전화번호 몇개 더 외울려는 노력보다 더 낫다고 봅니다.
  • profile
    title: 월급루팡호무라      scientia potentia est 2021.10.25 23:16
    옛날 사람들의 기억력은 성경이나 쿠란, 사서삼경을 그대로 담아두고 그대로 외울 수준이었죠. 다만 지금은 그럴 의미나 필요가 줄었죠. 컴퓨터가 있으니.
  • profile
    프로리뷰어      오늘은 기쁜날! 2021.10.25 23:26
    네비 없으면 길못찾아가는것도 비슷한 맥락인가요? ㅎㅎ
  • ?
    진외자 2021.10.25 23:41
    저 논문은 안 봤지만 지식을 외부에 저장할 수 있는 부분보다도 문자화된 의식(추상화)를 할 수 있게되면서 디테일한 시각정보나 청각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어진 점이 크지 않을까 싶네요. 추상화가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정보를 날 것 그대로 저장하고 유사한 상황을 찾아 다음 장면의 정보를 가져와야 하니까요.
    동영상이 텍스트보다 저장용량이 압도적으로 클 것이라고 생각되기는 하는데 그거야 지금 컴퓨터의 경우고 사람 뇌는 컴퓨터랑은 작동 방식이 다르니 실제는 다를 수도 있겠죠.
  • profile
    Loliconite      POMF =3 2021.10.25 23:55
    뉴럴링크가 빨리 나와야...
  • profile
    Precompile 2021.10.26 00:06
    컴퓨터 기억장치랑 비교하면 교체가 불가능하고 입력 규격도 출력 규격도 규명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상당하죠.
  • profile
    이리컴      고기와 기기를 좋아합니다.   아. 소니도 좋아해요. 2021.10.26 00:57
    저도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에 암기란 것이 불필요해진 세상이 온게 아닌가? 하고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암기하고 있는 지식은 사고의 재료이기 때문에 암기가 완전히 필요없어지진 않을거 같더라구요. 숫자같은 디테일한 부분은 암기하지 않고 기록된 것을 찾아보되 개념이나 흐름 정도만 암기하게 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싶어요.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251 퍼온글 설국특송 17 file 고자되기 2021.12.27 1039
60250 퍼온글 요즘 부산 근황.jpg 32 file title: 월급루팡호무라 2021.12.27 3710
60249 잡담 흑우의 따땃한 군밤장수 모자 10 file title: 흑우FactCore 2021.12.27 705
60248 잡담 알람 듣고 병원 갔다온 이야기 27 낄낄 2021.12.27 764
60247 퍼온글 횡단보도 우회전, 스텔스 차량 바뀌는것 14 하뉴 2021.12.27 1133
60246 퍼온글 초 고사양 콤퓨타 1 file 하뉴 2021.12.27 1317
60245 잡담 의외로 마음에 들어 자주 먹는 편의점 음식 11 file title: 월급루팡호무라 2021.12.26 1211
60244 핫딜 Wd elements 12TB(197 $, 205000) 13 Dr.Lemon 2021.12.26 867
60243 잡담 음..결국 터졌습니다 13 file KSP공돌이 2021.12.26 3720
60242 잡담 눈이 이제 안오네요. 11 file title: 저사양아라 2021.12.26 575
60241 잡담 진통제 만세 4 낄낄 2021.12.26 763
60240 퍼온글 은?행 털!자 9 file title: 흑우FactCore 2021.12.26 1843
60239 잡담 두번째 지름 (위즈플랫 맥미니용 외장ssd케이스, ... 4 file Ucress 2021.12.26 615
60238 잡담 뭐야 내 주말 돌려줘요 3 file title: 흑우슈베아츠 2021.12.26 502
60237 공지사항 [30일] 새 수식어 신청을 받습니다 57 낄낄 2021.12.26 872
60236 퍼온글 제임스웹 망원경의 현재 상황을 알려주는 사이트 14 file cowper 2021.12.26 1336
60235 잡담 미국 워싱턴 dc에서 인구수 대비 코로나가 신기... 6 file 엠폴 2021.12.26 1018
60234 잡담 먹는 걸 줄이면 안 움직여도 살이 빠지네요. 12 file title: 월급루팡호무라 2021.12.26 826
60233 잡담 크리스마스 선물입니다. 1 file title: 몰?루ExpBox 2021.12.26 363
60232 잡담 채굴이 없는 세계라면 27 AdorableZ 2021.12.26 1860
60231 잡담 ??? 3 file jangga5831 2021.12.26 699
60230 장터 -완료- (끌올) 버즈 2 그라파이트 실사용 4일 2 가지 2021.12.26 550
60229 잡담 무소식이 희소식이라는데 1 title: 흑우FactCore 2021.12.25 746
60228 잡담 뉴삼다수샀어요 6 file title: 귀요미veritas 2021.12.25 942
60227 잡담 제임스웹 발사 성공 10 title: 컴맹까르르 2021.12.25 927
60226 잡담 크리스마스에 핸드폰이 고장났습니다 6 title: 고삼아수슨스브 2021.12.25 627
60225 잡담 (스압) 브레이크 패드 갈았습니다 28 file title: 흑우슈베아츠 2021.12.25 1949
60224 잡담 후속작이 안나와서 아쉬운 영화 10 file 먀먀먀 2021.12.25 1039
60223 퍼온글 일본에서 음식의 맛을 맛볼 수 있는 텔레비전이 ... 16 file cowper 2021.12.25 1332
60222 잡담 숨어서 지하드 중입니다 32 file title: 오타쿠포인 2021.12.25 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 2443 Next
/ 2443

최근 코멘트 30개
veritas
10:30
아스트랄로피테쿠스
10:28
레드팍스
10:14
포도맛계란
10:13
슬렌네터
10:06
탐린
10:00
배신앙앙
09:57
DecAF
09:56
360Ghz
09:54
씨퓨
09:51
카토메구미
09:49
KTHDevKR
09:48
야메떼
09:42
Loliconite
09:42
고토_히토리
09:40
360Ghz
09:40
고토_히토리
09:39
360Ghz
09:39
아드님
09:37
로엔그람
09:34
미쿠미쿠
09:28
T.Volt_45
09:27
Induky
09:19
새우깡이
09:18
Induky
09:18
Induky
09:17
Induky
09:16
RuBisCO
09:16
낭만
09:13
360Ghz
09:13

MSI 코리아
AMD
더함 Ultra High Speed HDMI v2.1 케이블 (3m)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