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커뮤니티 게시판 : 아주 기본적인 네티켓만 지킨다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커뮤니티 게시판입니다.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각각의 포럼 게시판을 우선 이용해 주시고, 민감한 소재는 비공개 게시판이나 수상한 게시판에, 홍보는 홍보/외부 사용기 게시판에 써 주세요. 질문은 포럼 게시판의 질문/토론 카테고리를 사용해 주세요.

 

NVMe M.2 SSD가 출시되던 시절의 제 기억으로는..

SATA에 비해 대단히 빨랐고, 빨랐지만 이 속도를 다 쓸 일이 있냐, 체감은 되느냐 말들이 있던 것 같았습니다.

실제도 HDD -> SSD로 바꿀 때에는 게임 로딩 시간이 1/4 수준이 되는 큰 차이였지만

(시즈 할때도 로딩이 느린 한명이 있으면 채팅으로 www.buyssd.com 치면서 꼽줬죠 ㅋㅋㅋ)

SATA -> NVMe 게임 로딩 벤치마크는 0.1초나 차이나는 수준이라서 다들 그런 의문들이 있던 것 같습니다. 

 

그 뒤로 970 PRO 사니까 빠르고 좋더군요.

보통 SATA의 대역 이상으로 큰 I/O 작업을 할 일이 일반인은 많지않다 생각했는데

그냥 짤 많이 넣은 폴더만 열어도 차이가 큰거를 보고 무조건 빠른게 좋긴좋구나 싶었습니다.

 

이때도 M.2 SSD들이 벤치마크를 돌리면 과열로 스로틀링 생기는 이슈가 있긴 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호들갑이다, 스트레스 테스트 수준 부하를 실사용에서 걸 일이 없다고 적당히 지나갔습니다.

좀 예민한 사람들은 작은 알루미늄 방열판을 붙이는 정도?

 

그뒤로 SSD를 딱히 바꿀 일이 없어서 크게 신경을 안 쓰고 살았는데

그 사이에 PCIe 4.0, 5.0 계속 기술이 발전하고 뭐가 많이 출시가 되었더군요..

 

얼마전에는 기글에서 아예 블로워 팬을 달은 SSD 쿨러를 보고는 와 요즘 PC 시장은 참 호들갑도 심하네 싶었는데

다들 SSD 발열이 너무 심해서 이런거라도 있어야겠다는 반응으로 제가 생각하던 것과 달라서 놀랐습니다.

 

그래서 요즘 트렌드를 알고자 요즘 SSD의 전력 소모량을 찾아봤습니다. 

삼성 980 PRO (PCIe 4.0x4) SSD는 최대 8.5W를 소모하고, Seagate FireCuda 520는 10.7W를 소모하더군요. 

https://www.anandtech.com/show/16087/the-samsung-980-pro-pcie-4-ssd-review/8

메인보드 칩셋도 전력소모가 10W가 넘어가니까 패시브 쿨링으로는 해결 못해서 팬이 달린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정도면 진짜 팬이 붙어도 이상하지 않은 발열량이 되었습니다.

 

PCIe 5.0으로 와서는 이 문제가 더더욱 심해집니다.. 

다른 삼성 보도자료를 보면 SSD의 전력 효율성을 600 MB/s.W 으로 제시하기에

대략 10000 MB/s 속도를 구현하는 SSD는 15W 이상 소모할 것으로 계산이 됩니다.

https://bgr.com/tech/the-first-pcie-5-0-ssd-will-deliver-13000-mb-s-speeds/

PCIe 5.0으로 속도는 최대 2배가 빨라졌는데, 전력 효율성은 30% 개선되었으니 나머지는 전력빨인가 싶고

이정도면 M.2가 추구하는 컴팩트한 폼팩터에서 해결할 수 없는 뭔가 잘못된 규격이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M.2가 처음 나올 때에는 와 컴팩트하다! 주렁주렁 SATA data power 전선 필요없다!

케이스 큰거 안 써도 얼마든지 들어간다! 같은 규격으로 랩탑에도 쓰여서 작고 얇아진다! 이런 느낌이었는데

저정도 발열량이어서야 제대로 된 방열 설계 없이는 엄두도 못 내겠죠

아까 올라온 제품처럼 히트파이프를 쓴 수직 쿨러가 호들갑이 아니라 정말 스로틀링 안 걸리려면 필요할 듯합니다

그렇다고 방열 해결하겠다고 PCIe 카드 SSD를 일반 소비자가 쓸 것 같지도 않고요...

 

다만 여전히 궁금한 것은 이 파괴적인 속도를 일반 사용자가 끌어쓸 일이 정말 있기는한가.. 입니다..

150 MB/s 에서 300 MB/s 될 때도 혁명이었고 (초기 SSD는 시퀀셜이 의외로 구렸습니다 랜덤 성능 때문에 썼죠)

600 MB/s 에서 2500 MB/s 될 때도 나름 체감이 좋았는데

여기서 6000 MB/s, 13000 MB/s ...?? 극한의 속도빨로 램 대용으로 쓰기라도 하려는 것인가요 

 

더 사족이지만은 SATA 3.5" 2.5" 스토리지들은 베이에 가득 채워놓으면 든든하고 관리하기 좋은데

M.2는 슬롯이 기껏해야 2개다 보니까 구성에 애매함을 겪고 있습니다. 

PCIe M.2 확장 카드를 쓰는 시스템은 별로 못 본 것 같고...

시스템용/게임용 SSD에만 M.2를 쓰고 다들 SATA SSD나 HDD를 추가로 써서 백업 등의 구성을 하는 것일까요



  • profile
    title: 삼성360Ghz      case kill mark: Bequiet silent base 802 white, CM H500m, 3r L600/700/90... 2023.01.08 02:20
    이건 순전히 제 개인적인 사견입니다만, 아마 pcie 레인에서 끌어올 수 있는 전력한계는 다 채우고 나서 새 규격으로 넘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 profile
    Normie 2023.01.08 02:22
    CPU 불판 GPU 불판에 이어서 이제는 SSD 불판이군요 아버님 댁에 보일러..!!
  • profile
    title: 삼성360Ghz      case kill mark: Bequiet silent base 802 white, CM H500m, 3r L600/700/90... 2023.01.08 02:26
    https://www.pcmag.com/news/teamgroup-unveils-m2-ssd-drive-with-liquid-aio-cooler

    순순히 받아들이십시오... 공냉 따위론 어림없습니다...
  • profile
    Normie 2023.01.08 02:27
    정말두렵습니다 대체 어째서 이런미래가...
  • profile
    title: 삼성360Ghz      case kill mark: Bequiet silent base 802 white, CM H500m, 3r L600/700/90... 2023.01.08 02:28
    앞은 그래픽카드 위는 씨퓨, 뒤는 m.2 쿨러를 위한 라디에이터 공간이 될지어니...
  • profile
    5등급의신랑      5等級の花婿 2023.01.08 02:54
    P41 써보고싶다 생각했는데 방열판 없으면 힘듦~ 이런 말들을 봐서 그런가 PCI E 4 SSD들은 엄청나게 뜨겁구나. 싶더라고요. 다른회사 제품중에도 방열판 달고나오는 것들도 있는 것 같고... 근시일 내로 저발열 고속 규격이 나오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profile
    Normie 2023.01.08 02:55
    이런 세상에게 항복하고 적당한 방열판을 사서 붙여주는게 나은것 같습니다. 팬까지는 아직은 좀 그렇네요
  • profile
    뚜까뚜까      마이너스의 손입니다. 2023.01.08 02:55
    이제 이런 초고속 SSD는 그냥 U.2로 만들면 안되나 싶은 수준이더군요.
    m.2에서 발열이 안잡히면 U.2같은걸 쓰는수밖에 없죠
  • profile
    Normie 2023.01.08 14:30
    당시에 U.2가 미래 규격이 될 줄 알았는데 생각해보니 쓰는 것을 본 적이 없네요...
    메인보드에서 여러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게 단가나 공간 면에서 힘들어서 버려진 듯합니다
  • ?
    title: 저사양아이들링 2023.01.08 03:04
    제가 M.2 나왔을때 시큰둥 했던게, 저장장치 여러개 다는 사람이 꽤 있는데
    그 사람들은 어떡하나 였거든요...
    보드에 단 상태에서 쿨링은 힘들것 같구,연장선같은걸로 뺀 다음
    쿨링 케이스 같은거 씌워서 쿨링하는 날이 오는게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 profile
    title: 삼성360Ghz      case kill mark: Bequiet silent base 802 white, CM H500m, 3r L600/700/90... 2023.01.08 03:09
    사실 요즘 메인보드가 더이상 보드가 아니라 마더박스가 되고 있긴 합니다. 보드에 m.2 커넥터 4개에 쿨러 전부 올리면 그래픽카드 높이의 히트싱크 빌딩이 돼서 그래픽카드 쿨링에 방해가 될 지경이거든요.
  • profile
    스프라이트 2023.01.08 08:36
    하드때는 뜯기 쉬었는데 m2는 그래픽카드 뽑아야되서 영....
  • profile
    TundraMC      자타공인 암드사랑 TundraMC/GET AMD, GET MAD. Dam/컴푸어 카푸어 그냥푸어... 2023.01.08 09:29
    다른건 모르겠고 파일탐색기로 뭐 찾을때마다 nvme개꿀 ㅋㅋ 하고있긴합니다. SATA SSD 메인으로는 못쓰겠어요.
  • ?
    디렉터즈컷 2023.01.08 10:03
    여담입니다만 파일 찾을 때에는 everything 권해드립니다 장난없습니다
  • profile
    title: 민트초코쿤달리니 2023.01.08 16:04
    공감합니다. pcie 3.0 쓸 때보다 4.0 초기제품 쓸 때가 좋았고 4.0 초기보다 4.0 후기 쓰는 지금이 더 좋네요.
  • ?
    디렉터즈컷 2023.01.08 10:00
    MVME SSD의 과도한 고전력화를 우려하는 내용이군요. 같은 염려를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시피유도 그렇고.. 과도한 스펙경쟁 지양하고 우리는 이렇게 전기 적게 먹는다가 장점인 세상이 되서 그쪽으로 개발연구가 집중되면 좋겠습니다. 쉽진 않겠지만요.
  • ?
    실핀 2023.01.08 11:27
    피크 전력치야 성능에 필요한 전력이 있을테니 높을 수도 있는데 중요한 건 실사용 평균 전력 사용량 아닐까요?
  • ?
    미주 2023.01.08 12:16
    제품군마다(컨트롤러, 낸드, 펌웨어 조합) 천차만별일텐데...시간이 좀 지나면 PCIE4.0에서도 전력소모 착한 제품이 나오지 않을까요
  • ?
    analogic 2023.01.08 12:47
    그래서 저도 M.2는 부팅 드라이브만 잡고 SATA SSD 2개와 SATA HDD 2개로 구성해서 쓰고 있네요.
    의외로 베이 문제가 심각해서 2개 이상의 M.2 구성이 어려운 문제와 M.2 크기의 문제 때문인지 고용량 제품 가격이 너무 높은 문제는 해결이 안되서....
    방열이나 보드에 내장 갯수를 생각하면 지금처럼 보드에 평면으로 부착하는 방식이 아닌 세로로 꼽는 방식이 나와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램과 같은 식으로 눕혀진 상테로 세로로 세워서 고밀도 장착하고 방열판 달면 그나마 여러개를 일괄 냉각 시키면서 쓸 수는 있으니까요.
    모바일 쪽에서의 M.2는 발열이 가장 큰 문제라.... 이 부분은 정말 저전력화와 방열 설계의 발달을 기대해야 될 수 밖에 없는 문제군요.
  • profile
    Induky      자타공인 암드사랑 정회원입니다 (_ _) 2023.01.08 15:54
    이게 수치화 하긴 어려운데 아무래도 4K 랜덤 성능이 워낙에 좋은데다 PCI-E로 직접 컨트롤 해서 그런지 S-ATA SSD보다 더 빠른게 느껴지기는 합니다.
  • profile
    Touchless 2023.01.09 16:24
    PCIe 5.0을 지원하는 고성능 SSD는 소비전력이 15W까지 올라갈 예정이군요. ㄷㄷ
    데스크탑에서는 방열판+팬 조합으로 사용하고, 노트북에서는 PCIe 버전/레인으로 성능 제한을 걸어야겠네요.

    ps.
    데스크탑에서는 M.2 SSD 1개를 부팅용으로 사용하고, HDD 2개를 백업용으로 사용하는 편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647 잡담 그 써멀이 오긴 왔습니다. 2 file title: 삼성360Ghz 2023.04.22 404
73646 잡담 애플 스토어는 역시 무서운 곳이군요..ㅎㄷㄷ 34 뚜찌`zXie 2023.04.22 964
73645 잡담 멍때리다 알리 디스커버리 세일을 놓쳤네요. 7 file 냐아 2023.04.22 646
73644 잡담 만년필 천국에 갔다 왔습니다. 15 file title: 부장님유니 2023.04.22 464
73643 잡담 리모컨이 무슨 3만원이에요 12 file 카에데 2023.04.22 1534
73642 잡담 참으로 부산은 헬게이트 맞네요 18 file title: 오타쿠AZUSA 2023.04.22 724
73641 잡담 아트뮤 45W 1포트 PD충전기 6 file title: 가난한까마귀 2023.04.22 532
73640 잡담 13600K 구매 썰- 17 포도맛계란 2023.04.22 505
73639 잡담 오늘 미세먼지 2 file 이게뭘까 2023.04.22 356
73638 잡담 nvme 방열판이 성능차이 꽤 나네요. 16 file 이피리아 2023.04.22 1815
73637 잡담 토요일 아침 댓바람에 뭔가를 사왔습니다.. 2 file cowper 2023.04.22 414
73636 퍼온글 수단 쿠테타로 인한 내전이 벌어진 모양인데...무... 7 file cowper 2023.04.22 997
73635 잡담 유튜브 쇼츠도 끝이라는게 있군요 10 file title: 흑우슈베아츠 2023.04.22 1013
73634 잡담 게임개발 중입니다 2 file BIGFISH 2023.04.22 601
73633 잡담 옆동네는 음원값이 비싸군요... 11 file title: 삼성DontCut 2023.04.22 670
73632 잡담 택배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2 file title: 가난한까마귀 2023.04.22 273
73631 잡담 배를 버려라!!! 9 file title: 폭8Kanyy 2023.04.21 547
73630 퍼온글 주 200 배달러 영상 30 하뉴 2023.04.21 1069
73629 잡담 타로상담으로 카운슬러가 되가고 있어요.. 9 뚜찌`zXie 2023.04.21 371
73628 퍼온글 눈을 공격하는 코로나 변이? 11 타미타키 2023.04.21 813
73627 퍼온글 새로 나온 콜라 13 file 동방의빛 2023.04.21 729
73626 잡담 그러니까... 험난하게 돌도돌아 인텔시스템으로 ... 26 file 포도맛계란 2023.04.21 1022
73625 잡담 마을 NPC는 조심해야합니다. 10 하뉴 2023.04.21 683
73624 잡담 갤럭시 S20 보안업데이트가 어제 나왔었더군요 6 file Quinoa 2023.04.21 667
73623 장터 팝니다... CPU, 메인보드, 일주일 사용한... 14 file 포도맛계란 2023.04.21 833
73622 잡담 근미래 데스크탑의 변화를... 추측? 23 file Normie 2023.04.21 638
73621 잡담 와 그리스 공군 부대명은 정말 무슨 우주함대급... 9 file cowper 2023.04.21 2219
73620 잡담 Q:이렇게 해서 뭘 하죠? 8 file 모래맛사탕 2023.04.21 472
73619 퍼온글 매우 귀한 중?고?차 매물 12 file title: 오타쿠AZUSA 2023.04.21 771
73618 퍼온글 제2차가 일어나지 않은 세계선 12 file title: 삼성360Ghz 2023.04.21 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613 Next
/ 2613

AMD
더함 Ultra High Speed HDMI v2.1 케이블 (3m)
MSI 코리아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