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컴퓨터 / 하드웨어 : 컴퓨터와 하드웨어, 주변기기에 관련된 이야기, 소식, 테스트,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Extra Form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알게 된 것들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2024년 12월 31일 ~ 2025년 1월 1일 즈음, 미디어텍 LE Audio 지원 드라이버가 웹 상에 풀리면서 드디어 윈도우11 데스크탑에서도 LE Audio를 쓸 수 있게 되었죠. 윈도우11에서 하드웨어 지원을 요구하는 블루투스 사운드 연결 방식이 LE Audio(22H2 이상)랑 aptX Adaptive(lossless, 24H2 이상)가 있는데, 제조사 지원이 영 미적지근해서... 25년 와서 그래도 범용 제품에서도 LE Audio를 쓸 수 있게 된 게 다행이라고 해야 하려나요.(24년 말에 한참 시도한 건 결국 아무 의미도 없었...)

 

어쨌든 이제 원하면 다들 쓸 수 있게 되었는데, 리시버도 워낙 소수라서 그런지 정보가 워낙 없어서, 써보면서 알게 된 것들을 좀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테스트 소스 기기: LE Audio 연결을 지원하는 윈도우 기기 3종(각각 인텔 AX211, 퀄컴 스냅드래곤XPlus 1세대, 미디어텍 MT7925), 및 안드로이드 기기(갤럭시탭S9), 미지원 기기(아이폰15프로, 기기 간 연동과 같은 일부 테스트 시 사용)

테스트 리시버 기기: 소니 WF-1000XM5, 알리발 LE Audio 지원 BT케이블(퀄컴 QCC5181)

* 모든 기기는 25년 3월 기준 최신 버전/펌웨어입니다.

 


 

1. PC의 LE Audio 지원 확인

이건 삼성전자에서 이미지 포함해서 도움말 잘 써놓았다 보니 인터넷 조금 찾아보면 바로 나오는 내용이긴 합니다. 삼성전자 사이트에 설명되어 있듯이, 아래와 같이 LE Audio 사용 옵션이 떠야 합니다. 변경 시 시스템 재시작을 요구합니다.

bt_lea_enable.png

 

 

2. 연결 시 LE Audio 활성화 여부 확인

옵션 활성화를 안(못) 하더라도, LE Audio 지원 TWS 기기는 일단 좌/우 별개로 페어링하는 시도를 보입니다만(실제로 LE Audio로 연결될 때와 똑같은 과정으로 진행되긴 합니다.), 연결만 좌/우 별개로 시도하는 것이지 실제로는 Classic BT 방식으로 예전 방식 똑같이 동작합니다.

 

따라서 LE Audio 연결 여부는 좌/우 따로 연결하는 화면이 뜨는 것으로 구분할 수 없으며, 다음 2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시스템-소리-장치 속성-공급자 확인

LE Audio로 연결된 경우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bt_lea_sound.png

Classic BT로 연결된 경우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bt_classic_sound.png

 

- (TWS 한정) Bluetooth 및 장치-장치-배터리 표시

LE Audio로 연결된 경우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bt_lea_dev.png

Classic BT로 연결된 경우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bt_classic_dev.png

두 번째 방식은 TWS가 아니면 확인 불가능한 방법이므로 첫 번째 방식으로 확인하면 됩니다.

 

 

3. 마이크 사용 시 참고사항

일단 윈도우 기준으로 Classic BT든 LE Audio든 상관없이 최대 2개 채널을 지원합니다. 이는 다시 말해 LE Audio도 기존과 같이, 마이크를 활성화하면 스피커쪽은 모노 출력이 된다는 뜻입니다.

 

다만 Bluetooth 프로필이 분리되어 있어 A2DP-HFP 간 연결 자체를 변경해야 하는 Classic BT와 달리 LE Audio는 단일 프로필(TMAP)이기 때문에 그런지, 사운드가 페이드아웃-페이드인 되며 전환이 자연스럽게 됩니다.(연결 당 최초 전환 시에는 그런 거 없이 잠깐 끊기고 이어서 재생되긴 합니다. 초기화가 안 되어있는 듯...)

 

그래야 하는데... 인텔(AX211) 및 퀄컴(스냅드래곤X플러스 1세대)에 비해 미디어텍(MT7925)는 전환이 좀 더 느리기도 하지만 일단 좀 많이 불안정하므로(소리가 안 나는 경우도 있고 한데, 난다 안 난다를 떠나서 시스템 안정성이 왔다갔다... 작업표시줄이 죽기도 하고...) 미디어텍의 경우에는 가능하면 왔다갔다 안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모노 출력이라서 윈도우에서 굳이 쓰려고 하는 분도 잘 없을 거 같긴 하지만요.(HFP처럼 음질이 엄청 나쁘거나 그런 건 아니긴 합니다. 추후 드라이버 나오면서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LE Audio 전환으로 인한 모노 출력 시 사운드가 한 쪽 소리가 크게 나는데,(양쪽 다 소리는 납니다. 물론 좌우분리는 안 되어 스테레오 테스트 영상 재생 시에도 양쪽에서 동시에 들리고요.) 이게 왼쪽이 클 지 오른쪽이 클 지는 랜덤인 거 같습니다.

 

 

4. 기기 간 전환 시 참고사항

Classic BT에 비해 기기 간 전환이 잘 안 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게 갤럭시 기기까지 끼워서 테스트해봐도 같은 걸 보면 윈도우 문제는 아닌 거 같고, WF-1000XM5의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TWS가 특히 더 그런게 LE Audio는 양쪽이 모두 다이렉트로 연결되고 그 상태에서 서로 얽혀있어서 그런 거 같은데, 한 쪽 기기에 연결된 상태로 다른 기기로 가져갈 때 오만가지 상황이 다 나옵니다.

 

- 한 쪽만 떨어짐(좌/우가 서로 다른 기기에 붙어서 한쪽에서만 소리가 나옵니다; 윈도우에선 배터리 표시 등에서 둘 중 한쪽만 연결된 것으로 표시됨)

- 기존 기기에서 안 떨어짐(기존 기기에서 연결이 끊겨야 다른 기기에 연결이 됨. 아니면 연결 실패함)

- 양쪽에서 다 출력 안 됨

 

제 경우에는 왠만하면 완벽히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냥 귀찮아도 기존 연결을 끊고 타 기기에 연결하는 게 제일 안전했습니다...

 

다만 양쪽 다 LE Audio인 경우 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고, 양쪽 모두 LE Audio는 아닌 경우, 즉 Classic BT 소스기기 - LE Audio 소스기기 간 전환은 굳이 안 끊어도 잘 되긴 했습니다.(ex. 윈도우에 LE Audio로 연결되어있다가 아이폰으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 상황)

 

 

5. 기타 윈도우에서 LE Audio 기기 물릴 때 참고사항

WLAN 장착/교체가 힘든 경우 또는 더 다양한 코덱을 원하는 경우 대체 선택지로 들어가는 제품 중 Creative BT-Wx 시리즈가 나름 인지도가 있는 편인데(일단 브랜드명도 있지만 앱에서 조작 가능한 등 좋은 점이 많긴 합니다), Creative BT-W6은 LE Audio 기기 연결 시 호환성 탑니다. 일단 제가 들은 걸로는 삼성, 소니, 젠하이져의 TWS 제품은 LE Audio로 연결 실패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실제로 제 WF-1000XM5도 LE Audio로 붙이는 데 실패했습니다. 알리발 QCC5181 제품(TWS 아님)은 LE Audio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아 TWS와 같은 다중기기 연결 시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추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되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측정은 아니고 체감상이지만, 인텔/퀄컴/미디어텍 모두 LE Audio의 지연시간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TWS와 비-TWS 간에도 개인적으로 지연시간 차이를 별로 못 느꼈습니다.

 

TWS가 LE Audio로 연결된 경우 소리 출력 초기화에 시간이 좀 더 많이 걸리는 것 같습니다. 연결된 상태로 한동안 아무 소리 안 나는 상태로 두었다가 유튜브 재생하는 테스트 기준으로, 소리가 나기까지 체감상 늘어지면 1.~초 정도(비-TWS의 2배 정도?)까지도 걸리는 것 같은데 또 항상 그렇게 차이가 많이 나는 건 또 아니긴 하고... 애매합니다.(WF-1000XM5 호환성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TWS의 초기화 속도가 비슷할 때도 있긴 하지만 그럴지언정 최소한 더 많이 걸리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kooreha 2025.03.15 04:32
    알리발 Tebe QCC3086 동글에 QCC3084 넥밴드 이어폰을 물려두고 있는데, 마지막에 말씀하신 초기화 지연을 저도 겪고 있습니다. LE 오디오 종특인가… 싶다가도 iOS연결하면 또 그런건 없어서 원인을 모르겠네요.

    그리고 W6의 호환성 문제는 좀 놀랍네요. 같은 칩을 쓰는 제 동글도 확인해보고 싶은데, 제가 저 제조사들 TWS가 없네요 ㅠㅠ
  • profile
    AbsolJu 2025.03.15 17:54
    iOS는 어차피 LE Audio 지원 안 하니까 상관없지 않을까 싶... 예전 블투 불안정했던 거처럼 LE Audio 불안정이 있나 싶기도 하네요.
    ----
    그리고 지난 글에 있는 리시버라면, 테스트를 안해서 그렇지 저도 그거 가지고 있... 글 쓸 정도는 아니니 일단 주말 중 연결되는지 보고 댓글 달아드릴게요.
  • profile
    kooreha 2025.03.15 23:16
    제 생각이긴한데 3086 동글들은 OS 단에서는 USB 오디오 프로토콜로 나가는 거 같고, 동글에서 따로 이어폰과 LE 오디오로 연결되는거 같아요. 그래서 저지연 같은 특성들이 iOS같은데 연결해도 동일하게 나타나더라구요. iOS 입장에선 그냥 USB 이어폰으로 인식되니까요.
  • profile
    AbsolJu 2025.03.16 20:50
    Tebe 이거 LED 반짝이는 것만 있으니까 잘 모르겠긴 한데, LE로 할 땐 페어링 모드 안 끝나길래 Classic 모드로 하니까 좀 걸리긴 해도 페어링 되는거 보니 이것도 LE Audio로 페어링이 안 되는 거 같기도 하네요. 제대로 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 profile
    kooreha 2025.03.16 20:55
    1동글 버튼을 2초간 눌러 파랑-빨강으로 빠르게 깜빡거리면 LE 페어링 상태고, 그때 연결할 기기의 기존 연결들을 전부 해제하고 페어링 모드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잡힌다- 이렇게 이해하고있는데... 음... 그럼 같은 퀄컴칩 쓰는 제품들만 되는걸까요?
    여튼 수고하셨습니다. 3086 동글들이 죄다 이렇게 호환을 가리면 이거만 사면 된다 싶은 정답이 될순 없겠네요...
  • profile
    AbsolJu 2025.03.17 21:44
    꽤 전에 해외에서 뒤져보던 중에, 저거에 대한 추측(BT-W6 페어링 문제) 중 하나로 LE Audio 표준에 대한 구현으로 크게 퀄컴/미디어텍의 구현이 있고 거기에 호환성 문제가 있다-라는 주장을 전에 보긴 봤는데(이 주장에서 왜 인텔은 거기에 안 끼워줬는지는... 인텔은 MS 구현 스택 말고 쓸 일이 없어서인지는 모르겠네요 ㅎㅎ;),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긴 하네요. 일단 근거를 저도 못 찾아서...

    Tebe는 저도 대충 그렇게 이해해서 하긴 했는데... 빠른 점멸 상태에선 페어링이 안 되길래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 하다가 느린 점멸 상태로 두니까 빠르진 않은데 일단 잡히긴 하더라고요.
  • profile
    kooreha 2025.03.17 21:45
    설명서에 느린 점멸이면 BT 클래식이니까... 아무래도 비퀄컴칩 제품하고 호환을 타나봅니다 말씀하신 바가 맞을지도 ㅠㅠ
  • profile
    Mannaz      가끔 이상한 리뷰들을 씁니다 2025.03.17 00:31
    언제쯤 되야 LE가 쓸만해질지...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늘 있었던 엔비디아의 WWE와 숨은그림찾기

        늘 있었던 엔비디아의 자화자찬식 MFG 뻥튀기 쇼입니다. 이거 자체는 이제 너무 식상해져서 굳이 이렇게 글을 새로 올려야 할 수준도 안 되지 않냐구요? 그렇지 않은 이유는 왼쪽 아래 조그맣게 있는 문구 때문입니다.   보시면 옵션...
    Date2025.03.15 일반 By류오동 Reply6 Views1228 file
    Read More
  2. 그래픽카드 9070xt의 한국과 중국가격

        위에 불 들어온건 전부 재고가 있는 물건들입니다.   엔비디아가 중국에 수출규제중이라 AMD물건이 많이 부족할텐데도 한국보다 제품도 다양하고 재고가 널널하군요.         가격도 사파이어 9700XT 펄스가 5649 위안으로 나오네요....
    Date2025.03.15 일반 By나이저 Reply23 Views1526 file
    Read More
  3. 키오시아 LC9 시리즈 SSD, 용량 122.88TB 달성

    키오시아가 LC9 시리즈 SSD를 발표했습니다. 8세대 BiCS 플래시의 2Tbit QLC 낸드 다이를 사용했으며, 2.5인치 크기에서 용량 122.88TB를 달성했습니다. PCIe 5.0 인터페이스, 내구성 0.3DWPD, AI 시스템에 최적화했다고 설명합니다.
    Date2025.03.15 소식 By낄낄 Reply6 Views727 file
    Read More
  4. AOOSTAR, 플립 스크린이 탑재된 라이젠 HX 370 미니 PC

    AOOSTAR G플립 370 미니 PC입니다. 시스템 상단에 플립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1920x1080으로 해상도가 낮진 않으나 화면 크기가 5인치라서 이걸로 본격적인 작업을 하긴 힘들어 보입니다. 라이젠 AI 9 HX 370(젠5 12코어, 라데온 890M ...
    Date2025.03.15 소식 By낄낄 Reply5 Views887 file
    Read More
  5. ASUS, 카드 슬롯을 갉아먹는 PCIe Q 릴리즈 슬림을 조용히 수정

    ASUS Q 릴리즈 슬림은 그래픽카드를 간단하게 고정하는 장치이지만, 50번 이상 장착 시 슬롯 일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는데요. ASUS, Q 릴리즈 슬림 디자인의 내구성 관련 공식 성명 https://gigglehd.com/gg/17026167 요새 나오는 메...
    Date2025.03.15 소식 By낄낄 Reply9 Views1509 file
    Read More
  6. 기가바이트 Z890 어로스 타키온 ICE 메인보드가 곧 출시

    기가바이트 Z890 어로스 타키온 ICE 메인보드가 곧 출시됩니다. 오버클럭커를 위한 최고급형 메인보드입니다. 하얀색 디자인, 일반 메인보드와 다르게 90도로 회전해서 장착된 CPU 소켓, 2개의 DDR5 메모리 슬롯은 CPU 소켓 위에 있습니다...
    Date2025.03.15 소식 By낄낄 Reply10 Views431 file
    Read More
  7. Windows에서 LE Audio 사용 관련 정보

    지금까지 사용하면서 알게 된 것들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2024년 12월 31일 ~ 2025년 1월 1일 즈음, 미디어텍 LE Audio 지원 드라이버가 웹 상에 풀리면서 드디어 윈도우11 데스크탑에서도 LE Audio를 쓸 수 있게 되었죠. 윈도우11에...
    Date2025.03.14 일반 ByAbsolJu Reply8 Views680 file
    Read More
  8. 9070XT 멀티모니터 전력 개선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종톡은 2개 이상의 모니터를 이용시 아이들 전력이 심하게 잡아먹는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는 모든 모니터 성능이 다 다르고 계속 주사율을 맞춰야 하는 입장에서 전력을 지속 소모한다고 들었거든요.  ...
    Date2025.03.14 일반 Byjihadem Reply11 Views1024 file
    Read More
  9. No Image

    유저 벤치마크, 또 시작. 이번엔 라데온 RX 9070 XT

    AMD는 무조건 안 좋다고 주장하기로 유명한 유저벤치마크에서 이번에는 라데온 RX 9070 XT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AMD의 GPU는 엄선된 벤치마크에서는 뛰어나지만 실제 게임 성능에서는 부족하다"며 '스팀 점유율이 낮고' '실...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15 Views1117
    Read More
  10. No Image

    ASUS, 생산을 중국으로 이전해 가격이 오를 수 있음

    ASUS는 미국 관세 정책에 맞춰서 중국에서 생산을 줄이려 합니다. 이렇게 되면 올해 말에 소비자들의 구매 가격은 더 비싸질 수 있다고 투자자들에게 경고했습니다. 델과 HP 같은 회사들은 중국의 비중을 꾸준히 줄여 왔지만 ASUS는 대체 ...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3 Views836
    Read More
  11. [루머] 인텔 18A 애리조나 팹이 가동한다고 합니다.

      2분기 생산 예정이었으니 일정에 맞거나 1분기 정도 앞당겨졌습니다.    
    Date2025.03.14 소식 Bytitle: 오타쿠nb2sy Reply8 Views1548 file
    Read More
  12. MSI MPG A850GS 파워가 새로 출시

    MSI MPG A850GS 파워가 새로 출시됩니다. MSI의 새로운 MPG GS 시리즈 파워는 순간적으로 235%의 전력 변동률을 버틸 수 있습니다. ATX 3.1과 PCIe 5.1을 지원하며 80+ 골드 인증을 받았습니다. 또 2개의 12V-2x6 커넥터가 파워에 달려 있...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0 Views412 file
    Read More
  13. MSI BE6500 WiFi 7 USB 어댑터

    MSI BE6500 WiFi 7 USB 어댑터입니다. 688Mbps(2.4GHz)+2,880Mbps(5GHz)+2,880Mbps(6GHz)의 속도, WPA3 지원, USB 3.2 Gen1 연결, 크기 33x111x20mm, 무게 48.2g.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8 Views691 file
    Read More
  14. ASUS TUF Gaming A2, 방수되는 외장 SSD 케이스

    ASUS TUF Gaming A2 외장형 M.2 SSD 케이스입니다. 일본에서 판매 가격은 8480엔. MIL-STD-810H 밀스펙 준소, IP68 방진방수, USB 3.2 Gen2x2 20Gbps 연결, M.2 2242/2260/2280, SATA와 NVMe 지원, 크기 55.65x15.3x116.22mm, 무게 148g.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0 Views499 file
    Read More
  15. 코어 울트라 300 팬서레이크의 실물이 전시

    임베디드 월드 2025에서 인텔이 코어 울트라 300, 코드네임 팬서레이크를 전시했습니다. 최대 16개의 CPU 코어, 최대 12개의 Xe3 코어, 최대 180 AI TOPS, 최대 12레인 PCIe 5.0 등을 제공하며 올해 하반기에 이걸 탑재한 노트북이 출시됩...
    Date2025.03.14 소식 By낄낄 Reply5 Views84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156 Next
/ 2156

MSI 코리아
AMD
앱코
한미마이크로닉스
더함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