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컴퓨터 / 하드웨어 : 컴퓨터와 하드웨어, 주변기기에 관련된 이야기, 소식, 테스트,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Extra Form

IMG_8799.JPG

 

 

네.

말이 많은 그 물건입니다.

아마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 중에도 경험이 있으신 분이 있을 겁니다.

 

이게 어떤 물건인지 경험해보지 않은 분들을 위해 설명을 하자면...

여기에 윈도를 비롯한 각종 앱을 설치한 뒤 용량을 한 70% 정도 채우고 나면, 훌륭한 인내심 측정기가 탄생합니다.

 

HWP 같이 좀 읽는 데에 시간 걸리는 파일을 읽을 적이면 응답 오류가 예사로 걸립니다.

2021년에 램 4GB 윈도 10 컴퓨터도 별 불만 없이 쓴 사람이, 이거 달린 컴퓨터 쓸 적이면 마우스 딸깍 광클을 여러번 하게 됩니다. 실제로 본경험입니다. 어째서 반응이 없는 거지?? 하는 것이지요.

 

 

 

검색해보니 지금도 판매하는 거 같은데, 지금도 tlc 낸드 쓸려나요? qlc 낸드를 쓰진 않으려나요? 이거 자체가 리비전이 여러번 있은 걸로 아는데.

 

 

 

 

 

만약 wd제 sata 디램리스 qlc ssd가 있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어째 상상해선 안 될 것 같은 느낌이군요.



  • profile
    title: 삼성360Ghz      case kill mark: Bequiet silent base 802 white, CM H500m, 3r L600/700/90... 2023.09.28 22:11
    SATA는 없는데, m.2 에는 있던걸로 기억해요...
  • ?
    milsa 2023.09.28 22:27
    검색해보니 sn350/sn360 쪽에 있군요.
    NVMe라서 나을지, 디램리스 NVMe ssd에 대한 하나의 선입견을 심어줄 물건이 될지 궁금해지는군요.

    근데 블루가 있는 시점에서 그린이 따로 있다는 건... 음...
  • profile
    Marigold 2023.09.28 22:23
    솔직히 팔면 안된다고 샹각되는 물건…
  • ?
    milsa 2023.09.28 22:33
    전 웬만하면 성능 나쁜 물건도 용처가 있다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인데,
    본문의 물건은 완제품 pc 상품 설명란에 'SSD 탑재'를 기재하기 위한 준비물 외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아니, 이리 말하고 보니 용처가 아주 확실하군요.
  • profile
    점점퀴 2023.09.28 22:35
    저는 예전에 서버에서 잘 써먹긴 했었네요
  • ?
    milsa 2023.09.28 22:45
    저도 생각해보니, OMV 부팅 용으로 쓸 적에는 별 불만 없이 쓴 기억이 있네요.
    i/o가 많지 않다면 쓸만할지도 모르겠어요.
  • profile
    점점퀴 2023.09.28 22:48
    저도 그런 케이스였는데요
    가성비는 끔찍하게 나쁘지만 저렴하긴 했으니까요...
  • ?
    recluse 2023.09.28 22:41
    저는 NVMe dramless인 WD SN550 "TLC"edition 1TB 사서 쓰는데
    아직까지도 프리징 없이 잘 쓰고 있네요
    확실히 SATA 저용량에서 디램리스는 오바고
    NVMe 고용량에서 디램리스는 허용범위 안인가 봐요
    물론 QLC 에디션 걸리면....
  • profile
    title: 오타쿠린네      Someday out of the blue 2023.09.28 23:07
    리비전 전 SN550은 가성비 최강이었죠. 디램리스였어도 더티 돌려도 그닥 속도저하도 거의 없었고...

    물론 리비전 후에는 그대로 경쟁사 제품들마냥 꼴박했지만요.
  • profile
    가로수 2023.09.29 10:53
    SN550은 리비전 후 몰래 TLC 셀을 QLC로 바꿔친 사건도 욕먹는데 한몫 했었죠. 이게 밝혀진 후 집단소송이 걸리고 난리가 났었습니다.
  • ?
    milsa 2023.09.29 13:07
    sn550 리비전 이후 sn570을 tlc로 냈다는 말이 나오네요. 이거 사실인가요?
    사실이라면 좀 심각한 이야기인데.
  • profile
    가로수 2023.09.29 13:13
    21년 9월 초에 밝혀진 사건이죠. 기글 내 참고링크 올려 드립니다 : "내 SN550이 QLC라니!!!"
    https://gigglehd.com/gg/hard/10822045

    당시 QLC로 바꿔치기한게 들통난 후 SN550 QLC 버전을 가져오면 TLC버전으로 교환해 줬습니다.
  • profile
    title: 오타쿠린네      Someday out of the blue 2023.09.28 23:03
    저게 진짜 최악이었죠. 돌연사도 했고 그냥 갑자기 파일 사라진적도 있고... 속도는 그냥 처음부터 그닥 잘 안나오는 편이었는데 적당히 차기만 하면 그대로 꼴박하고. 프리징 자주나고...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9.28 23:10
    당시에 WD를 SSD 원천기술 주류업체로 봐야했는가는 의문이였지만 엄청나게 저렴했던것같지도 않고.. 그당시 가격에 그냥 완전히 킹스톤같은곳제품이 훨씬 더 나앗었던듯..그래서 제가 킹스톤 SSD가 있나보네요 ㅡㅡ;;
  • ?
    milsa 2023.09.29 13:01
    찾아보니, 저도 킹스톤 ssd가 하나 있네요. suv400s37 240gb. 2017년도에 산 것 같은데...
    제 기억이 맞다라면, 그때 ssd 가격이 고공행진 하지 않았던가요? 본문의 WD green도 제조일자가 17년 10월로 되어있는데... 그래서 이런 잡 ssd가 있는 것 같습니다.
  • profile
    title: 가난한슬렌네터      Human is just the biological boot loader for A.I. 2023.09.28 23:16
    서울 시청 어느 솔루션에 이것이 납품되어있는거 보고 경악했지요...
  • ?
    세라 2023.09.29 00:10
    나라장터 통해 납품된 PC가 저게 달려 나와서 기글에 푸념했더니 컨트롤러가 USB 메모리 급에 들어가는 쓰레기라고 하더라고요
  • ?
    title: 저사양아이들링 2023.09.29 01:51
    디램리스는 왠만하면 70%이상 채우는건 지양해야겠더군요
    디램리스 사타 사시려면 파이슨 컨트롤러가 눈꼽만큼이라도 낫게 느껴지긴했습니다
  • profile
    가로수 2023.09.29 10:31
    맛이 가면 하드디스크와 속도를 겨루던 전설의 제품이군요

    https://dpg.danawa.com/bbs/view?listSeq=3750817&boardSeq=231&past=Y
    ( WD 그린 240GB가 저용량인 120GB 보다 못한 폭망 성능이 되었는지? )
  • ?
    title: 저사양아이들링 2023.09.29 14:39
    WD에 먹히기전 싼디스크도 결코 좋은소린 못들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컨트롤러를 SMI에서 싼디스크 자체 컨트롤러로 갈아 치워서 맛이간거였군요
  • profile
    가로수 2023.09.29 14:49
    원래 동일기종의 240G면 120G보다 빨라야 정상인데, 컨트롤러를 구린걸로 갈아버리니 실리콘모션이라도 썼던 저용량보다 고용량의 성능이 떨어지는 괴현상이 발생했었죠.

    근데 120G도 개악형으로 컨트롤러를 사이좋게 너프먹어서 그걸로 비교하면 아마 240G가 우위일 겁니다.
  • ?
    포인트 팡팡! 2023.09.29 14:49
    가로수님 축하합니다.
    팡팡!에 당첨되어 10포인트를 보너스로 받으셨습니다.
  • profile
    title: 오타쿠AZUSA 2023.09.29 14:02
    저거 초기형은 2d낸드에 트립도 미지원으로 알고있는데..
  • profile
    가로수 2023.09.29 23:01
    더 어이없는 건 구려터진 초기형 속도가 2018년 당시에 3D낸드로 나왔던 컨트롤러 개악형 속도보다 2배 이상이 나왔습니다.
  • ?
    milsa 2023.09.30 13:53
    본문의 물건은 2017년 10월 제조 물건입니다. 낸드 정보는 모르겠네요.
    이거보다 더 느릴 수 있다는 건가요?
  • profile
    가로수 2023.09.30 19:44
    2017년은 아마 실리콘모션 컨트롤러가 들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그나마 속도가 가장 빨랐던 거라(...)

    나중에 나온 자체컨트롤러를 쓴 SSD는 저것보다 절반이나 1/3 이하의 속도가 나와서 더 느릴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아마도 뒷면의 제품규격이 WDS'240G1~'이면 실리콘모션이고 vs WDS'240G2~'면 샌디스크 개조형 컨트롤러일 겁니다.
  • ?
    milsa 2023.10.01 10:02
    wds240g2g0a 입니다. 검색해보니 샌디스크 컨트롤러를 사용한 것 같네요.
    이것보다 더 느린 물건을, 적어도 주요 제조사에서 컨슈머 시장에 출시하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데... 요즘은 어떨려나요. 저용량 sata 디램리스 QLC 같은 거 나오면 참 볼만할 듯.
  • profile
    가로수 2023.10.02 00:44
    2022년 9월 말 다나와 구매자 리뷰에 WD Green 120G 벤치마크 돌린게 올라왔는데, 보시면 쓰기 속도가 초당 61mb, 84mb 나와있어서 하드디스크 뺨치는 수준입니다. 다만 리뷰를 쓴 사람의 SSD 컨트롤러 버전은 확실하진 않지만 성능이 구려서 화가 단단히 난 것만은 틀림없네요.

    어이없는 것은 다나와가 아니라 쇼핑몰쪽 리뷰를 보면 조작이나 컴맹분들이 많아서 그런지 엉터리 후기가 매우 많고 대다수가 좋다면서 별 5점 주는 모습이 가관입니다. 다나와 링크의 쇼핑몰쪽 2018년 후기엔 다른 SSD와 비교해도 빠른 것 같고 부팅도 몇초 걸리지 않을 정도로 속도가 빨라져서 신세계를 본다는 괴상한 댓글이 상위권에 있습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4593734#bookmark_cm_opinion
  • ?
    별밤전원주택 2023.09.30 18:05
    디램이 대체 얼마길래 디램 안 넣은 제품들을
    자꾸 내놓을까요?????

    디램 1기가에 얼마인지 모르지만
    대충 때려잡아 도매가 1만원해도 넣고
    제품 가격 1만원 올리는게 나을것 같은데.......
  • profile
    title: 오타쿠AZUSA 2023.09.30 18:20
    디램리스 nvme에 HBM 만 지원되도 아주 못써먹을정도는 아니게 되더라고요 (디램있으 보다 쓰기속도 좋아지진 않지만 HBM 미지원 보다는 매우 빠릅니다단점으로 강제종료시 작업중인건 무족건 데이터 손상 확정이라는거죠)그리고 디램리스는 컨트롤러도 다릅니다..

    물론 SATA 에서는 HBM 얄짤없습니다.
  • ?
    별밤전원주택 2023.09.30 18:26
    컨트롤러가격도 차이가 많이 날까요?????
    사실 잘 이해가 안 갑니다 ㅎㅎ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소 몇만개씩 대량 구매할첸데 그럼 가격차이 얼마 안 날텐데
    일부러 저런 성능이 좋지 않은 저가 제품을 만들어
    제품 등급 차이를 낼려고 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일종의 자동차 옵션 장난처럼요!!!
  • profile
    title: 오타쿠AZUSA 2023.09.30 18:27
    예를들면 실리콘모션 같은경우 디램리스컨트롤러는 뒤에 XT 가 붙습니다..

    물론 미안했던지 컨트롤러에 캐시메모리가 좀 넉넉하다고 하는데 해봐야 수십메가 정도라..
  • ?
    별밤전원주택 2023.09.30 18:44
    경영팀, 마케팅팀, 회계팀 등등이 중간에 장난질을 친것 같긴 한데......

    회사의 제품 개발 엔지니어들은 이런걸 좋아하지 않을것 같아요

    잡스가 말하길
    IBM인가 제록스를 예시로 들면서

    독점적 지위를 가진 회사에서 개발팀이 밀려나가고 좋은 제품을 만드는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잊어버린다

    좋은 제품과 나쁜제품이 아니라 수익을 쫓기 위해 제품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 경영자들이 참견하게 되고 만들고
    고객이 아닌 돈을 위해 일하다 망한다(?) 이런 내용이었던것 같아요
  • profile
    YGG 2023.09.30 22:40
    저 당시만 해도 SSD는 HDD보다 비싼데 용량은 1/5~1/10 정도 되니 시장 파이가 작았고..
    대중화를 하려면 어떻게든 원가절감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니 저런 괴(?)작까지 나왔다고 봅니다
    결국 고용량 TLC~QLC가 대량 양산된 뒤에야 저런 피나는 원가절감은 잦아들었죠
  • ?
    별밤전원주택 2023.09.30 23:18
    초기 ssd제품들이 많이 비싸긴했지만
    Ssd가 많이 저렴해진 현재도
    디램을 빼고 저러는건 좀 아닌것 같습니다
  • profile
    YGG 2023.10.01 00:17
    디램리스는 보급형에서는 이젠 필요악 포지션 쯤 됐죠
    디램모듈 만원한다고 쳐도 WD Green 최저가가 36000원인데 1/4이 넘으니까요

    그냥 디램리스 보급형 시장 따로 있고
    디램 넣는 중급형 이상 시장 따로 형성되었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AMD, 14세대 '메테오-레이크' CPU의 '저전력 AI 기술' 개발을 주도한 전임 인텔 임원을 고용

      ▶ AMD, 14세대 인텔 '메테오 레이크 CPU'의 '저전력-AI 기술' 개발을 주도한 전임 인텔 임원을 고용 - 이름 : 존 레이필드(John Rayfield) - 전임(인텔) 직위 : '클라이언트 AI' 부문 담당 부사장 & 총괄 책임자 - 이직(AMD) 직위 ...
    Date2023.09.29 소식 By블레이더영혼 Reply0 Views492 file
    Read More
  2. MSI 지포스 RTX 4090 벤투스 3X E. HDMI 포트 2개

    MSI 지포스 RTX 4090 벤투스 3X E 모델이 출시됐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HDMI 포트가 2개로 늘고 DP 포트는 1개 줄었다는 겁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HDMI 2개 DP 2개가 가장 좋은 것 같아요. TV에 DP를 넣는다면 또 몰라도.
    Date2023.09.29 소식 By낄낄 Reply1 Views229 file
    Read More
  3. 인텔 정품쿨러 소음 실제로는 어떤가요

          인텔 LGA1700 CPU구입하면 같이주는 이 정품쿨러 Intel RM1.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89190/processors/intel-core-processors.html   소음에 대한 진실이 어떻게되나요? 제품스펙은 SPL 29 ...
    Date2023.09.29 질문 Bytitle: 귀요미Ι337 Reply11 Views832 file
    Read More
  4. 저에게 디램리스 sata ssd의 선입견을 심어준 물건,

        네. 말이 많은 그 물건입니다. 아마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 중에도 경험이 있으신 분이 있을 겁니다.   이게 어떤 물건인지 경험해보지 않은 분들을 위해 설명을 하자면... 여기에 윈도를 비롯한 각종 앱을 설치한 뒤 용량을 한 ...
    Date2023.09.28 일반 Bymilsa Reply36 Views2812 file
    Read More
  5. No Image

    모니터 어댑터에서 전기잡음이 들려요

    찌르르르 하는 잡음이  계속 들립니다. 모니터는 15년쯤에 산 엘지 34 인치 모니터고요.  이거 모니터 수명이 다 된 걸까요?
    Date2023.09.28 질문 By아즈텍 Reply15 Views553
    Read More
  6. PC맞추려고 견적을 내보았어요.

          지금 이상태에서 파워랑 케이스만 놔두고 한대 맞추려고 견적을 내보았습니다.    원래꺼가 3세대나 4세대인줄알았더니 2세대였더라구요. 뭐이런.. 케이스가 뭔가 좀 이상해보입니다만 뭔짓거리를 해도 파워가 제자리를 못찾아서 드...
    Date2023.09.28 일반 Bytitle: 귀요미Ι337 Reply12 Views504 file
    Read More
  7. NVMe SSD 방열판 큰거 달면 휘거나 손상될까요?

    NVMe SSD 발열 진압 작전을 위해서 성능 확실한 방열판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아래 방열판을 보니깐 갑자기 생각이 드는게 있었습니다 저 방열판 무게를 얇은 NVMe SSD가 감당하는데 SSD가 손상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더라고요 분명 SSD는 ...
    Date2023.09.28 질문 By조마루감자탕 Reply9 Views856 file
    Read More
  8. 라즈베리 파이 5 사양 공개

      라즈베리 파이 4의 후속작, 라즈베리 파이 5의 사양이 공개되었습니다. 다음과 같다고 하네요. Broadcom BCM2712 2.4GHz quad-core 64-bit Arm Cortex-A76 CPU, with cryptography extensions, 512KB per-core L2 caches and a 2MB sha...
    Date2023.09.28 소식 By헥사곤윈 Reply19 Views3123 file
    Read More
  9. 폴라리스 베가는 대놓고 말만 안했지 팽이네요

      https://www.amd.com/en/support/kb/release-notes/rn-rad-win-23-9-3   카스2가 나왔습니다. 그에 맞춰 지원드라이버도 나왔습니다.   이번에도 RDNA 전용과 RDNA와 APU를 함께 쓰는 시스템을 위한   복합 드라이버 두가지로 나눠 나...
    Date2023.09.28 일반 Bytitle: 저사양아이들링 Reply15 Views1375 file
    Read More
  10. No Image

    NVMe 발열 때문에 U.2로 가야하나 고민입니다

    PCIe 3.0 까지는 어떻게든 버텼는데 4.0 NVMe 부터는 정말 발열이 매섭습니다 다들 4.0 부터는 70~80도는 기본인걸요 하시는데 진심으로 수명 문제가 걱정됩니다 그래서 U.2로 가보는걸 생각하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 근데 U.2...
    Date2023.09.28 질문 By조마루감자탕 Reply17 Views989
    Read More
  11. No Image

    황가놈이 쏘아 올린 숫자올려치기의 공....

    이미 PCIE 4.0에 들어서 TLC를 'PRO'로 올려치기 했을 때부터 이미 알아봤어야 했지만   결국 기존 EVO가 우리가 알고 있던 것보다 다운그레이드 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집니다.   이미 980 노멀 같은 애들은 디램리스가 되었는데, 다음 세...
    Date2023.09.27 일반 By류오동 Reply4 Views1588
    Read More
  12. No Image

    기가바이트 B650M K는 일부 양면 SSD를 가립니다.

    요 며칠 수차례 바이오스 저장 후 재부팅 시  멈춤 현상을 질문드렸던 유저입니다. 어제 A/S 센터도 가보고....기존 삼성램을 환불하고 ADATA의 하이닉스 A다이 램으로 교체도 해봤는데...결론은...제가 쓰던 구형 SSD가 문제 였습니다. ...
    Date2023.09.27 일반 By나는나라구요 Reply5 Views829
    Read More
  13. AMD 인스팅트 MI200 서버(데이터센터) GPU, AI 스타트 기업 'Lamini(라미니)'에서 구축 및 구동 중.

    ▶ AI 스타트 기업 'Lamini(라미니)', LLM(Large Language Models - 대형 언어 모델) 구축을 'AMD 인스팅트 MI200' 서버(데이터센터) GPU로 활용함 - 구축 시기 : 2022년 - 구축한 서버(데이터센터) GPU : AMD 인스팅트 MI200(2세대 CDNA ...
    Date2023.09.27 소식 By블레이더영혼 Reply1 Views574 file
    Read More
  14. No Image

    PC 블루투스 내장일 경우 별도의 장치 없이 블루투스 이어폰 사용 가능할까요?

        스피커가 고장난 이후로 유선 이어폰을 본체 이어폰잭에 꼽아서 사용하고 있는데 유선이라서 불편하더군요.   그래서 QCY 저렴이 하나 구입해서 사용할려고 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라면 별도의 장치 필요 없이 QCY 블투 이어폰 구입...
    Date2023.09.26 질문 By투명드래곤 Reply13 Views962
    Read More
  15. 몬스긱 M3 빌드했습니다.

    신멍 M87 2대를 들인데 이어 몬스긱 M3를 들였습니다.     빌드 자체가 어렵진 않았는데 중간에 큰 사고(?)로 시간이 지체됐습니다. 첫 빌드라 긴장했는데 유튜브 영상들 보고 하니 어렇ㅂ진 않았습니다. 스위치(BCP손윤), 키캡은 이미 준...
    Date2023.09.26 일반 By세라프 Reply6 Views90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855 Next
/ 1855

최근 코멘트 30개
AKG-3
00:33
임시닉네임
00:14
까르르
00:12
360Ghz
23:55
babozone
23:50
아르테안
23:46
babozone
23:44
아르테안
23:39
탐린
23:26
까마귀
23:16
nsys
23:15
임시닉네임
23:06
임시닉네임
23:05
유니
23:04
유니
23:04
유니
23:03
유니
23:03
Lynen
23:03
Lynen
23:01
임시닉네임
23:01
스프라이트
23:01
Lynen
23:00
임시닉네임
22:57
오꾸리
22:52
류오동
22:52
Lynen
22:50
TundraMC
22:50
AKG-3
22:42
임시닉네임
22:38
슬렌네터
22:37

AMD
MSI 코리아
더함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