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컴퓨터 / 하드웨어 : 컴퓨터와 하드웨어, 주변기기에 관련된 이야기, 소식, 테스트, 정보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일반
2023.05.29 14:27

파워살때 제가 생각사는 지론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https://gigglehd.com/gg/14337764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조회 수 3835 댓글 98
Extra Form

 

e0125618_545df11d86e92.jpg

<남이죽인파워>

 

e0125618_5911b74e039fc.jpg

<제가죽인파워>

 

e0125618_56c621d4dda5e.jpg

<제가살린파워>

 

 

원래 이런 제목과 내용이 아니였어서 이런 사진이 들어갔네요.

 

어떤분이 하드웨어게시판이 아닌 커뮤니티게시판에 제품살때 뭐보고 고르냐는글을 올라서 저는 두가지 생각을했습니다. 왜 단칼에 안짤리지?란것과 아 정말 사람들마다 고르는 기준이 다르구나.

 

저는 파워를 언제부터인가 1000W급에서 구입하고있습니다. 그게아마 HX1000(오리지널)때 부터인것같으니까 꽤 오래된일이죠. 누군가에겐 오래된일이 아닐수도있습니다.

 

그때는 솔직히 별로 생각이없었습니다. 그당시엔 1KW급 파워 유명한데가 손에꼽을정도였고 그중절반만이 모듈러팔아먹고있어서 저는 이걸 선택했죠. 돈도없었고.

사서꽂다보니 전부다 꽂고쓰는바람에 모듈러의의미가 없어졌지만.

 

그때부터 메인에서는 HX1000-ST1500-V1200-V1300 순으로 올라왔습니다.

 

 

 

 

이때쯤되니까 파워를 구입할때 선택하는법에 대한 지론이 생겼습니다.

 

 

그동안 제가 제파워잘쓰는동안에 여러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속칭하이엔드 파워가 몇년되니 터졌다는 글들(실제로터지지는않았으리라)을 수없이봐왔고, 벤치에서는 1등하던 모업체꺼는 갑자기 안켜지는등 잊을만하면 생기는 이슈등으로 소위말하는 걸러야되는 업체들이 뇌주름에 들어왔거든요. 

 

살면서 은혜를 입었을때 절대 이 은혜를 잊지않을게요라고 약속해봐야 몇년 지나면 그런일들이 있었나싶을정도로 비열하게도 희미해지지만 파워맛간업체는 왠지 기억이 납니다. 

 

그업체들은 여전히 보증기간전에 고장이 나고있고 며칠뒤에 보증기간이라서 교환받았어요라는 글들이 올라오는것도 수없이 봐왔습니다. 웃기는건 그러면 교환해줬다고 칭송합니다. 엥.

 

그럼 저는 그업체꺼는 안삽니다. 파워 보증기간트렌드가 2년부터 시작했다가 3년 5년 5년+2년(이건또뭔소리), 그리고 8년...10년.. 이렇게 됐는데 그래도 저는 그런업체꺼 안삽니다.

 

수입사가 그렇게 오래있을거란 보장도없고. 생각해보세요 파워를 주력으로 유통해서 10년전부터 지금까지 살아있는 수입사는 어디있나요?ㅡ.ㅡ 안삽니다. 파워가 고장나길 빌며 사는사람이면 몰라도. 파워는 둘째치고 보증기간 길다고 홍보하는거 싫어합니다.

 

물론 정상적인 사람의 시각으로보면 아 얘네는 이제품에 자신이있구나 하겠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더라구요.

 

 

 

한가지더 소거하는 방법은 지나치게 신세대,신제품의 안삽니다. 

 

할게너무나도없으면 다나와에가서 파워란 파워는 다띄워놓고 내부를 구경하는데 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에이엠디나 엔비디아같이 팹리스반도체업체들이 TSMC나 삼성에 위탁생산하듯이 파워도 그런식으로 만들어지는걸 아시게될겁니다. (OEM과 ODM 정도의 차이가있습니다)

 

브랜드네임밸류는 있는데 파워제조기술이 없는업체들이 제품명은 다른데 내부는 완전히 똑같은게있죠. 지금은 많이 덜해졌는데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제가좋아하는 쿨러마스터도 그러고있고 커세어도그랬었고 어지간한 업체들 다 그래왔습니다.

 

한 플랫폼이 오랫동안 유지되면 결론은 하나로 나오지않을까요? 괜찮다라고. 한플랫폼으로 4년 5년쓰는경우도 허다합니다. 제가쓰던 CWT제작 HX1000도 그래왔고, 지금쓰는 DELTA제작 V1300도 그러는 중이고. 여러업체가 돌려쓰죠 조금만 자기네입맛에맞게 튜닝해서.

-그래봐야 눈에보이는 콘덴서의변경이나 모듈커넥터의 변경정도

 

근데 신세대의 플랫폼이 나오면 저는 바로는 안삽니다. 신세대의 야심작 플랫폼이니 그시대의 벤치마크트랜드를 잘 쫓아갈것이고 100점으로 점수를 먹이면 95점 이상 받겠지만.

 

제기준으로는 벤치마크는 그저 참고용이고 실제사용시 고장률에대한 답은 안나오기에 가시적인 결과를 원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플랫폼이 나왔을때는 조금 기다립니다. 

 

어디라고 얘기는 못하지만 온갖벤치마크사이트에서 100점중에 100점받은 업체가있었죠. 몇주 몇달지나 리콜쇼. 저는 그 주인공이 될 생각이없기에. 쓰다보니 앞에서한 얘기가 중복이 되는것같네요.

 

 

마지막으로.. 너무작은 파워는 피합니다.

 

지금 1KW급의 파워를 정렬해놓고 깊이순으로 나눠보면 160MM이하가 전체물량의절반, 그이상이 나머지입니다. 보면 작은파워가 좀더 진화한 세대임은 분명합니다. 전체회로에 LLC공진이 어쩌고 주파수를 올려서 이러쿵저러쿵하죠.

보통파워는 큰TR하나있는데 이제품들은 작은 TR들이 여러개있는게 특징입니다. 실제 벤치돌려보면 이쪽제품들이 반응성도 좋고 전압도좋고 리플도좋고 다좋은데 이거 분명 처음에는 앞전의 얘기랑 똑같습니다. 갑자기 안켜지고 터지고..

 

지금이랑 그때랑은 다르니 분명 나아졌으리라생각합니다. 그때는 이런제품만들던데가 한곳밖에없었는데 지금은 시소닉도 참가했네요. 타업체에 ODM도 보냈고. 하지만 숫자세는데 반점하나찍어야되는 파워쓰시는분들이 케이스에 공간이 안남는것도 아닐테니 그래도 아직은 저는 과도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컴퓨터 조립하고 뚜껑닫으면 매일같이 시동킬때 제발 아무일없이 켜졌다가 꺼지길 바라는사람이라 파워에있어서는 대단히 사람이 꼴통처럼 변하더랍니다. V1300살때도 남들이 델타구형플랫폼이다 미친짓이다할때 당당히 50만원넣고 갖고왔습니다. 

 

오히려 좋아하면서

 

컴퓨터사면 2년내지 3년주기로 통째로 갈아엎는분들은 뭘사도 문제없으니 벤치에서 좋은거위주로 고르시면 처분도 편하겠지만 저처럼 아무생각없이 몇년이고 파워만큼은 신경안쓰고사시는분들은 조금더 고민하시는게 낫지않을까요. 

 

약의 부작용인지 주의력이 없어져서 글이 중구난방인데 그냥 올립니다. 이글은 곧 컴퓨텍스에의해 뒤로 밀려날글이기에

 

 

 



  • ?
    yamsengyi 2023.05.29 17:19
    에너지 옵티머스가
    용도에 맞춰서 쓰면 문제가 없긴합니다

    괜시리 모델남바 600 이래놔서 600와트로 쓴다? 이러면 터지는거...
  • profile
    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2023.05.29 17:22
    용도에 맞게끔은 누구나 계산이 가능하지요 한 번씩 쯤은 피크가 기후든 쓰는 환경이든 생기는데 그때를 잘 버텨줘야 에너지 옵티머스는 그런면에서는 아직 생소합니다. 뭐 즐겨찾는 유튭 조립컴 사장형들은 에너지 옵티 많이 써주더군요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7:38
    다른 좋은방안이있는데도 현시점에 세업체를 선택하는건 그렇게 좋은방법은 아닌것같습니다.
  • profile
    TundraMC      자타공인 암드사랑 TundraMC/AMD 불매/컴푸어 카푸어 푸어 거지삼위일체/GET... 2023.05.29 17:42
    스카이디지탈 잘만도 글쎄 소리 듣는데 무지성 신자들이 게시판 점령한 에너지옵티머스는 말할것도 없죠

    잘만 스카이디지탈은 예전에 1티어 찍기라도 했었지 에너지옵티머스는 천궁동급이죠
  • profile
    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2023.05.29 17:44
    2~3년 내로 안 터질 파워야 사실 천지일텐데

    홍타이지나 강희대제 이름을 내건 중국제여도 뭐 할 말은 없긴 합니다.
    가성비에 환장한 분들한테는요. 어느 정도 기준점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 profile
    하드매냐 2023.05.29 17:35
    파워센터에 오래 있었다보니 일단 메이저 제조사것 우선으로 선택하고 마지노선이 필요하면 내부구조랑 사용기를 여럿보고 결정합니다.
    머리속에 메이저는 델타, 시소닉, 인핸스, 서텍, cwt가 우선이네요.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7:51
    써텍..누구는 써텍 하이파워가 마닉에 인수됐다던데 지금은 rocksolid같은 플래그쉽 파워는 없고 그냥 평범하네요.
  • profile
    하드매냐 2023.05.29 17:53
    흡수라기 보다는 애초에 투자를 마닉에서 하고 비율이 많이 높아졌죠.
    게다가 개발 참여도 많이 했다보니 중 하위 제품들은 마닉 성격이 많이 뭍어나죠.
  • ?
    플로넨 2023.05.29 17:37
    저는 대체로 파워에 투자를 안한 편이여서 해먹은 파워도 있고 그랬네요.
    그렇게 데이고도 ATX 3.0이 뭐라고 신형 아득바득 찾아서 산거 보면 아직 멀었습니다.

    가장 오래쓴건 마닉 퍼포먼스II PV였네요. 7년쓰고 물려줬습니다. 7년썼으니 폭탄은 아니겠죠.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7:54
    파워 7년이면 어떤파워가와도 대체로 비실비실해졌을텐데...

    그런분이신지 몰랐습니다...
  • ?
    플로넨 2023.05.29 19:16
    윽엑… 터지면 하나 사줘야겠네요
  • profile
    title: 오타쿠린네      Someday out of the blue 2023.05.29 18:04
    인생도 흔들흔들 부평초같이 시류에 영합해 사는 인간이라 그런가
    파워도 그시점 평가보고 적당한 드 하나 골라 사게되는... 그래서 에브가 750와트를 샀는데 나름 무리 없이 쓰고있단 말이죠 어디 OEM인지도 기억안나는 브론즈를.. RX590 전기퍼먹는거 두대를 달고도 풀로드 셧다운은 없았으니 괜찮?을지도.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8:31
    잘쓰시는분들은 뭘선택해도 잘쓰시더라구요. 일못하는 사람들이나 연장탓하지..
  • profile
    skyknight      ][ ☆ ][ 2023.05.29 18:15
    문득 지금 쓰는 파워가 언제건가 생각해보니 2016년이군요.. 어...... 오늘도 무사히 켜지는데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8:30
    왜째서 그런딧을...
  • ?
    title: 저사양아이들링 2023.05.29 18:54
    컴퓨터로 밥벌이를 하거나 비싼컴을 쓰는게 아니어서 고장나건 말건
    마인드로 쓰는데 FSP만 두번 해먹었네요...

    시소닉 430W는 2006년에 샀는데,x발 좀 터져라 모드고...
    비슷한 시기에 산 히로이찌도 좀 터져라..

    두번째 교환받은 FSP도 뭐가 문젠지 눈치채고 조심히 쓰는데
    파워쪽에 달린 스위치 올리고 내릴때마다 가끔씩 지지직 소리와 함께
    하얀 연기가 조금 올라오지만 뭐 큰 문제는 없네요

    파워렉스는 먼지많은데서 6년인가 쓰니까 쓰는와중에 퍽! 퍽! 소리 났는데
    먼지 청소해주니까 안나고 그렇습니다... 좀 호러물이죠?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8:56
    다 그럴수있다고 보지만 하얀연기가 올라오는건 뭔가 문제가있겠는데요? 쓰는와중에 퍽퍽소리나는것도 그렇고.
  • ?
    title: 저사양아이들링 2023.05.29 19:03
    파워렉스는 습기많고 먼지 많은데서 청소안하고 오래 방치한탓이 컸고..

    FSP는 그냥 뭔지 모르겠습니다. 파워에 달린 스위치만 안 건들면
    작동하는데 아무 이상없고 외관상으로 멀쩡해서 뜯어봐야 알지 싶네요

    터져서 골로 다 데려가면 저야 뭐 땡큐구요...
  • profile
    title: 야행성Lynen      벗어날 수 없는 병의 굴레 2023.05.29 19:04
    저는 XFX 시소닉 OEM이라고 해서 XFX 파워 사업접을 때 막차로 싸게 사서 쓰고 있는데 6년차입니다
    당시 기준으로 넉넉하게 출력 높은 걸로 사놔서 별 문제 없이 쓴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한테 추천할 때도 그 회사가 무난하더군요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9:28
    XFX파워 디자인 유명했죠.
  • profile
    TundraMC      자타공인 암드사랑 TundraMC/AMD 불매/컴푸어 카푸어 푸어 거지삼위일체/GET... 2023.05.29 20:51
    XFX XTR 인원 사막여우 커맨더 두개도 괜찮았죠..
  • ?
    유입입니다      Ryzen 5600 × Radeon RX6750XT 2023.05.29 19:06
    지금 쓰고있는 슈플 한 7년 된거 같은데 안죽네요
    새거 사야될 때가 온거 같긴 한데..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29 19:28
    7년째면 뭔가 자발적으로 교체해야겠다는 생각이 깊은곳에서 살살 튀어나오지않나요 5년째는 오 잘돌아가네 ㅋㅋ 이러는데 7년되면...
  • ?
    유입입니다      Ryzen 5600 × Radeon RX6750XT 2023.05.29 20:38
    원래 사람이 당해야 정신을 차리는 법이라....

    650W짜리 사서 부하 해봐야 400와트 밑이라
  • ?
    유타나토스 2023.05.29 22:38
    첫번째 사진은 피씨파워앤쿨링 터보쿨 1KW 로군요. 정말 갖고싶었던 파워였는데 말입니다.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0 19:36
    저도 정말 살리고싶었는데 살릴수가없었네요.
  • profile
    소주 2023.05.29 22:43
    저는 어차피 터질놈은 터진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마다 특성을 어느정도 파악되다보니 알아서 잘구매하기 되더라고요.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0 19:36
    잘쓰는사람은 뭘줘도 잘쓰더라구요..
  • ?
    SUNBI 2023.05.30 00:01
    시리얼로 2013년인 플래티맥스 750w가 죽지를 않습니다..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0 19:37
    에너맥스가 저매출로 휘청거린다면 선비님때문 ㄷㄷㄷㄷ
  • ?
    치올 2023.05.30 08:51
    커세어 850 7년쓰고 비실해져서 무상교환 신품으로 받아서 3년쓰고 중고로 팔았네용 ㅋㅋ
    지금은 케이스를 줄여서 sfx 850 쿨마를 쓰고있긴 한데 as기간 긴놈이 최고인듯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0 19:39
    고효율이 결론은 저발열이니 부품들이 오래가고 그러다보니 수명이길어져서 다들 서비스기간이 길어지더라구요.
    유통사가 덩어리가 크면 서비스기간보고 사는것도 좋은것같아요 서비스받고 미개봉교환품으로 팔면 가격도 잘받으니.
  • profile
    Induky      자타공인 암드사랑 정회원입니다 (_ _) 2023.05.30 09:06
    저는 특이하게 잘만껄 많이 썼는데 쓰면서 파워가 죽은적은 10년 가까이 썼던 안텍꺼 밖에 없었네요(?)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0 19:40
    대충 잘만도 터트리실거란 얘기 ㄷㄷㄷㄷㄷㄷㄷ 요즘은 콤타사진이 잘 없으시네요.
  • profile
    Induky      자타공인 암드사랑 정회원입니다 (_ _) 2023.05.30 19:49
    콤피타가 1년째 업데이트가 없읍니다 ㅠㅠ
    오히려 요즘 놋북이나 UMPC쪽에 더 관심이 많읍니다...
  • profile
    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2023.05.31 10:19
    아마 잘만 고사양모듈은 인헨스 쪽이라 그런것일수도요.
  • profile
    title: 야행성가네샤      https://924717.tistory.com/ 2023.05.30 22:06
    그러고보니 지금까지 사용해본 파워중에 초기불량 제외하면 델타는 고장난적이 없네요.
    수입사 자주 바껴서 품질보증이 거시기 하단 말이 있지만 애초에 고장나면 직접 고치던지 버리겠단 생각이라 그냥 쓰는중입니다.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1 19:13
    델타의경우가 그게 가장심했어서 작년엔 프리플로우라는업체가 괜찮은가격에 공동구매를 개재했는데 아무도 안사는 유래없는일이 생기더라구요. 제가 파워안샀으면 저는 샀을텐데..
  • profile
    캐츄미      5700g, 5800x, 5950x 2023.05.31 01:54
    생각해보니 시소닉꺼 15년째 쓰고있는게 하나있긴 하네요
    케이스도 15년...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1 19:16
    시소닉이 저매출로 휘청거린다면 캐치미님때문 ㄷㄷㄷㄷ
  • ?
    uev 2023.05.31 08:35
    세상 보수적이면 농경사회죠
  • profile
    오디니      park sung jnu 2023.05.31 10:17
    공장장인 시소닉꺼 사용합니다.ㅋ
  • profile
    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2023.05.31 10:18
    선전 말씀이군요 ㅎㅎ
  • profile
    오디니      park sung jnu 2023.05.31 10:19
    ㅎㅎ 네네
  • ?
    김밥남자 2023.05.31 10:24
    저는 A/S편의 때문에 EVGA꺼 사용합니다.
    (최근 제가 진상짓? 안 부라고 사실대로 말하면 상식적으로 대응을 해줘서...)
  • profile
    title: 귀요미Ι337      Today you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2023.05.31 19:16
    EVGA 초창기만해도 유통사가갑자기 증발해버리는일도있었는데 요즘은 이엠텍이 꾸준히 갖고오니 다행인것같네요.
  • ?
    butz 2023.05.31 11:45
    80PLUS 인증받았음에도 230v로 레인지 반토막내서 파는 제품들은 거의 안씁니다.
  • profile
    disc1492      I feel like I can do anything  2023.05.31 22:29
    저는 직접 파워를 만드는 업체를 선호합니다.
    그러니깐 FSP, 슈퍼플라워, 시소닉, 델타 같은 제조사여.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1. No Image

    회사 콤푸타 램 업그레이드 하면서 봉착한 문제점들

    엘더레이크 펜티엄이라는 레어템을 씁니다.   처음에 고려된(?) 사양이 램이 4GB 핵발암시스템이었어요.   그 다음에 구입한 컴은 하도 주장을 해서 8GB로 내렸지만 펜티엄은 그대로였죠.   나름 최신의 아키텍처라 빠릿빠릿합니다. 프로...
    Date2023.05.30 질문 By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Reply13 Views1402
    Read More
  2. 인텔, 메테오레이크 VPU 블럭의 세부 정보 공개

    인텔이 14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메테오레이크의 VPU 블럭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이 VPU는 저전력 AI 추론을 수행하며 Movidius의 3세대 VPU 설계를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Movidius의 최신 VPU인 Myriad X는 1TOPS의 성능을...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12 Views2750 file
    Read More
  3. MaxLinear의 초소형 싱글 칩 8포트 2.5Gbps 스위치

    MaxLinear의 초소형 싱글 칩 8포트 2.5Gbps 스위치인 MXL86280입니다. 보시는대로 중간에 있는 작은 칩 하나로 8개의 2.5Gbps 포트 스위칭 기능을 제공합니다. 크기를 줄여서 그런가 가격이 아주 싸진 않겠지만 그래도 경쟁력은 있어 보입...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5 Views1086 file
    Read More
  4. 파이슨의 신형 PCIe 5.0/4.0 디램리스 SSD 컨트롤러

    파이슨의 신형 PCIe 5.0/4.0 디램리스 SSD 컨트롤러입니다. PS5031-E31T는 7nm 공정에 PCie 5.0 지원, 10.5GB/s의 순차 읽기/쓰기 성능 PS5027-E27T는 12nm 공정에 PCIe 4.0 지원, 7400/6400MB/s의 순차 읽기/쓰기 성능 그 외에 엔터프라...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8 Views817 file
    Read More
  5. ASUS, 보조전원 케이블이 필요 없는 지포스 RTX 4070 공개

    ASUS가 12VHPWR이나 8핀 보조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는 지포스 RTX 4070을 공개했습니다. PCIe x16 슬롯만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건 아니고요. 그래픽카드에 달린 추가 슬롯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습니다. 당연히 메인보드도 여기에 맞...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13 Views1130 file
    Read More
  6. MSI, 12VHPWR 케이블 끝 부분을 노란색으로 바꿈

    MSI 파워의 12VHPWR 케이블 끝 부분이 노란색으로 바뀝니다. 노란색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꽂으면 케이블이 끝까지 제대로 들어간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덜 끼워진 겁니다. 12VHPWR 케이블의 화재 원인이 잘못된 장착 때문이라는 쪽으로...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7 Views828 file
    Read More
  7. PNY/쿨러마스터, 4.5슬롯 지포스 RTX 4090

    PNY의 지포스 RTX 4090에 쿨러바스터 VERTO ARGB 듀얼 팬 쿨러가 탑재됩니다. 쿨링팬은 2개밖에 안 되지만 그 크기는 12cm이며, 카드의 전체 두께는 4.5슬롯에 달합니다. 카드 길이는 30.5cm입니다.
    Date2023.05.30 소식 By낄낄 Reply6 Views971 file
    Read More
  8. No Image

    자 3050 밑으로는 마지노가

    게이밍 깡 성능만 gpu-z 데이터시트를 참고해보니   1070 까지네요 조금 더 욕심을 내어서 1070Ti 까지면 1660슈퍼나 1660Ti, 3050보다는 조금 위인데 사볼만할까요?  
    Date2023.05.29 질문 By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Reply9 Views951
    Read More
  9. 엔비디아, 컴퓨텍스 2023 컨퍼런스 전체 정리본

    2023년 5월 29일 오후 12시, 엔비디아의 '대만 컴퓨텍스 2023 컨퍼런스'가 진행되었는데요.   당시 게시자 본인도 댓글 생중계를 진행하였고, 이에 댓글 내용을 전체 취합 및 정리하여 '엔비디아, 컴퓨텍스 2023 컨퍼런스 전체 정리본'을...
    Date2023.05.29 소식 By블레이더영혼 Reply1 Views738 file
    Read More
  10. No Image

    조용한 선풍기 추천 받습니다.

    경품이나 사은품으로 받은 중국산 선풍기는 너무 시끄럽군요.   하긴 그만큼 풍량도 나오긴 하나, 이건 시끄럽습니다. 컴퓨터 소리는 다 묻혀서 오히려 저소음 시스템이 되었군요?   중고기업 신일부터 대기업에서 선풍기를 만드는지 모르...
    Date2023.05.29 질문 Bytitle: 민트초코슈퍼선데이 Reply13 Views848
    Read More
  11. 엔비디아, 컴퓨텍스 2023 컨퍼런스 실시간 댓글 생중계에 대한 사견은 이렇네요.(드라마 정도전의 이성계 빙의 표현)

    ① 모든 것은 GPU와 AI로 제어해야 한다! ② 클라우드도 엔비디아 기반으로 돌려야 한다! ③ 전 세계는 엔비디아 기반으로 지배해야 한다! ☞ 옴니버스! 옴니버스! 옴니버스! ☞ AI! AI! AI! ☞ DGX(HGX)!  DGX(HGX)!  DGX(HGX)!
    Date2023.05.29 일반 By블레이더영혼 Reply3 Views584 file
    Read More
  12. 파워살때 제가 생각사는 지론

      <남이죽인파워>   <제가죽인파워>   <제가살린파워>     원래 이런 제목과 내용이 아니였어서 이런 사진이 들어갔네요.   어떤분이 하드웨어게시판이 아닌 커뮤니티게시판에 제품살때 뭐보고 고르냐는글을 올라서 저는 두가지 생각을했...
    Date2023.05.29 일반 Bytitle: 귀요미Ι337 Reply98 Views3835 file
    Read More
  13. 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강연 한줄소감

    저세히/길게 쓰는 건 저녁에 숙소 들어가서나 할 일이고요. 예상했던대로 눈이 확 뜨일만큼 새로운 발표는 없었고, AI가 중요하며 우리 GPU의 성능은 계속 오르고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며 파트너쉽도 점점 늘어난다로 정리 가능하고요. 2...
    Date2023.05.29 일반 By낄낄 Reply7 Views960 file
    Read More
  14. 실시간 RT에 대한 존 카맥의 선구안

      실제로 AMD나 엔비디아나 GPU 실리콘 전체 면적에서 RT가속기가 차지하는 부분은 정말 얼마 안된다고 하죠   10년도 전에 GPU 미래를 예측한걸 보면 존카맥이 대단한건지 업계인 입장에서 황회장 약팔이가 뻔해 보였는지...   그리고 ...
    Date2023.05.29 일반 ByKontron Reply16 Views2616 file
    Read More
  15. 엔비디아, 컴퓨텍스 2023 컨퍼런스 실시간 댓글 생중계

    ※ 곧 시작됩니다. 댓글에서 뵙겠습니다.
    Date2023.05.29 소식 By블레이더영혼 Reply65 Views42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810 Next
/ 1810

최근 코멘트 30개
TonyJ
03:21
칼토로스
02:52
코디응
02:21
잔존기억
02:05
수중생물
02:02
나는나라구요
01:43
까마귀
01:37
이게뭘까
01:35
린네
01:30
DontCut
01:28
Lynen
01:28
Lynen
01:26
홍콩오리
01:19
허태재정
01:11
그림자
00:59
analogic
00:57
슬렌네터
00:56
렉사
00:54
나르번
00:48
유니
00:46
Quinoa
00:44
유니
00:43
Moria
00:40
린네
00:36
슬렌네터
00:33
Marigold
00:30
린네
00:29
린네
00:28
린네
00:26
쿤달리니
00:26

MSI 코리아
더함 Ultra High Speed HDMI v2.1 케이블 (3m)
AMD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