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커뮤니티 게시판 : 아주 기본적인 네티켓만 지킨다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커뮤니티 게시판입니다.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각각의 포럼 게시판을 우선 이용해 주시고, 민감한 소재는 비공개 게시판이나 수상한 게시판에, 홍보는 홍보/외부 사용기 게시판에 써 주세요. 질문은 포럼 게시판의 질문/토론 카테고리를 사용해 주세요.

잡담
2025.02.11 23:11

셀프 인테리어 정보 - 단열 편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https://gigglehd.com/gg/17072925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조회 수 789 댓글 17

이미 보셨거나 알고 계신분도 있겠지만 그냥 적어봅니다.

 

 

0. 단열벽지는 단열이 아닙니다.

 

내부 곰팡이 양성소입니다. 

https://m.blog.naver.com/sync15m/223714656531

단열벽지가 줄 수 있는 건

잠시간의 마음의 위안 뿐입니다

 

그 두께로 단열이 되면 건설사들이 바보라서 안썼을까요...? 단열 페인트는 더욱 그렇고요.

 

 

1. 단열의 필요성

 

혹시 아무리 난방을 해도 벽이 차갑나요?

벽에 물방울이 맺혀서 주르르 떨어지진 않나요?

이런! 방에서 곰팡이내가 진동을 하신다고요?

샷시를 새걸로 바꿨는데도 여전히 집이 춥다구요?

 

그런 당신에게는 단열 시공이 해법입니다.

 

2. 단열의 종류

 

크게 외단열과 내단열이 있습니다.

이름만 보셔도 짐작하시겠지만,

집 콘크리트 벽체의 바깥에 붙이느냐 집 안쪽에 붙이느냐의 차이입니다.

 

할 수만 있다면 외단열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집 내부 면적이 좁아지지 않는다는 건데요. 내부에 두꺼운 단열재를 덮어놓으면 그만큼 집이 좁아지니까요.

 

그 외에도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ecdff6ecaee21.png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외벽에 맞닿는 내벽 부분

(이부분을 T자 벽이라고 합니다)은...

 

열이 전도됩니다(열교현상).

다시 말해 여름에는 온기가 겨울에는 냉기가

벽을 타고 들어온다는 거에요.

 

외단열이라면 그런 현상이 없겠지만, 내단열이라면 안쪽에 단열재를 치면서 그쪽 벽까지 부분적으로 쳐놔야 하니 집이 더 좁아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단열재의 종류 및 특성

 

크게 셋으로 나눕니다.

 

반사형은 열을 반사시키는 이름하야 열반사 단열재입니다.

저항형은 수많은 공기층으로 열 전도를 최대한 늦추는 방식이에요.

용량형은 크고 아름다운 벽 두께가 모든 걸 해결한다는 사고방식에서 기인했습니다만 비싸겠죠.

 

다만 반사형 단열재의 경우, 충분한 공기층을 확보해야 내부에서 열이 반사되어 효과를 보기 때문에 일반적인 업체의 열반사 단열재 시공은 죄다 가라라고 보시면 됩니다. 집 벽이 10cm 20cm막 이렇게 좁아지지 않았다면요.

 

용량형은 셀프로는 못하게 생겼으니

우리가 살펴볼 건 저항형 단열재입니다.

images-3.jpeg

저항이 귀엽습니다

 

 

 

3-1. 비드법 1종 단열재(EPS)

 

쉽게 말해

Screenshot_20250211_164204_Samsung Internet.jpg

 

스티로폼입니다.

없는 것보단 낫습니다. 공간이 충분한 건물이라면 낮은 단가에 힘입어 시공해볼 만 합니다...만

스티로폼 불에 잘타죠? 물도 잘 먹습니다.

 

성능에 따라 1,2,3,4호로 구분합니다.

 

3-2. 비드법 2종 단열재(EPS)

 

Screenshot_20250211_164838_Samsung Internet.jpg

 

스티로폼 알갱이에 탄소를 좀 발랐습니다만... 특성은 비슷합니다. 어쨌거나 단열 성능은 꽤 올랐습니다. 두께로 승부 가능한 건물 외단열재에 주로 사용합니다.

 

성능에 따라 1,2,3,4호로 구분합니다.

 

 

3-3. 압축 단열재(XPS)

 

델몬트 아닙니다.

농장주들은 고개를 들어 서로를 바라봐주세요.

Screenshot_20250211_165346_Samsung Internet.jpg

 

훨씬 작은 알갱이 크기에 낮은 열전도율 기체를 가둬서 만듭니다. 보통 핑크색이고요,

그냥 아이소핑크 라고도 부릅니다만 아마 브랜드 제품명이지 않을까 합니다.

 

습기에 강합니다.

불에 안타진 않는데 자기소화성이 있어서 알아서 꺼집니다.

 

문제는 저 충전해놨다는 기포인데요.

광석도 분열되는 마당에 저런 기포가 안정적 구조일리 없지요.

저것도 기포가 빠지고 공기 들어가면 성능이 그냥 비드법 2종 수준이 되어버립니다.

 

성능에 따라 특,1,2,3호  로 구분합니다.

 

주장으로는 난연성인데... 증빙을 못했다고 합니다.

색깔처럼 사쿠라인가봅니다.

 

 

3-4. 경질우레탄폼보드 (PUR)

Screenshot_20250211_165624_Samsung Internet.jpg

 

우레탄이 단열에 참 좋나봅니다.

 

단열성능이 더 올라갔습니다.

그만큼 가격도 올라갔습니다. 얘도 말로는 난연이네 준불연이네 하는데, '준불연경질우레탄(페놀)폼'은 또 따로 나왔습니다. 

그래서 판매처의 시험 성적서를 살펴봐야 합니다.

 

3-5. (페놀폼) PF보드

 

Screenshot_20250211_165924_Samsung Internet.jpg

페놀포름알데히드 재질입니다.

얘가 단열성능은 상식적인 비용 내에서 TOP입니다.

국내 비싼 아파트에서 시공할 때 쓰던 재질인데

최근에야 온라인으로도 판매 개시되었습니다.

 

상식적으로 비싸서 눈물이 납니다.

 

 

 

3-기타. 글라스울 등의 불연성 단열재는 목조주택에 쓰입니다.

넓게 뿌리는 우레탄 폼 같은 것도 있는데 셀프로 하기엔 판형 단열대 대비 비싸기도 하고 어렵기도 해서 넘깁니다.

에어로졸 같은 건 더욱 말할 게 없겠죠.

 

 

 

4. 단열재 표면 마감

 

위에서 소개한 단열재들은 기본적으로 보드형태로 판매되며, 콘크리트에 밀착하여 하나의 층을 이룹니다

저 위에 바로 페인트나 벽지를 바르진 않습니다.

석고보드(혹은 나무판)를 세워서 벽과 천장을 만들고 그 위에 벽지 등 마감을 하게 됩니다.

 

(*나무 각재로 틀을 만들고 사이에 단열재를 끼워넣는 건 옛날의 잘못된 시공법입니다.

Screenshot_20250215_144741_YouTube.jpg

 

전기를 연결한 석쇠그릴로 고기를 굽는다고 난리쳐봤자 고기에는 격자무늬만 생기는 것처럼, 각재 부위는 열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각재는 단열 작업 이후 벽과 천장 마감을 할 때 쓰는 것으로 족합니다.

 

20250212_214340.jpg

천장이든 벽이든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 때 석고보드 필요없이 시공의 편의성을 주겠다고 만들어진 제품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보드(는 특정 브랜드 제품명, 범용 PP보드)

가 있습니다.

 

PP보드는 XPS (아이소핑크) 단열재에 판떼기를 붙여놓은 것으로...

불에 잘 탄다고 합니다. 단열성능도 판떼기 두께 만큼 내려갔기 때문에, 시공 편의성 하나만 보고 사용하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GCS 보드가 있습니다.

 

Screenshot_20250211_162211_Samsung Internet.jpg

 

유리섬유 시멘트를 갖다가 단열재 표면에 칠해놨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게 단단한 칠이라서 단열재의 강도를 꽤 높여줍니다.

준불연성도 주고요. 그래서 바로 위에 페인트칠, 벽지, 타일 등 여러 마감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내부 단열재의 종류와 등급에 따라 단열 성능이 꽤 차이가 나게 됩니다.

 

골드폭스보드 같은 경우, 가격은 저렴하다고 하지만

내부 단열재가 XPS입니다.

나쁘게 말하면 개선된 양면 이보드인 셈이죠.

 

OCC 보드는 옥천케미칼 브랜드의 GCS 보드이고요.

 

처음으로 국내에 판 게 아마 청원씨엠에스 의 GCS 보드인듯 합니다. 이쪽은 본인들의 상표를 내걸지 않고 GCS 자체로 네이밍해서 판매하는 셈입니다. 

 

다른 회사나 중국산으로도 GCS 보드는 유통되니

판매페이지에서 시험성적표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5. 단열 시공 원칙

 

돈 주고 맡기면 참 편하죠.

안타깝게도 이 글의 제목은 셀프 인테리어 되시겠습니다.

 

단열 시공의 첫번째 원칙은 기밀성 입니다.

첫째 돼지 말고요.

 

좁은 틈에서 이 정도의 수둔을...!

 

같은 느낌으로, 단열재와 벽체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주면 안되고, 공간이 조금 생기더라도 그 공간은 박리되어서 밀폐된 공기층이 되어줘야 합니다. 안그러면 열교류가 이루어지고, 습기가 유입되고,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가 핍니다.

 

명심하세요, 곰팡이는 물이 있는 곳에서 자연발생합니다.

파스퇴르 우유도 그렇게 생각한대요. 

 

둘째 원칙은 압착입니다. 사실 첫째를 반복하는 거죠. 공간 없게 붙이란 거니까요. 압착을 통해 콘트리트 벽체와 단열재를 일체화 시켜줘야 합니다.

 

셋째 원칙은 교차입니다만... 이건 여유가 되면 해주고 아님 말고입니다.

 

 

6. 원칙 준수 시공법

 

단열재의 단짝친구는 우레탄폼입니다.

본드? 퍼티? 시멘트? 실리콘? 글루건? 박스테이프????

 

다 나가라고 합시다.

 

벽면과 단열지를 접착하려면 부풀어오르는 우레탄폼만한 게 없습니다. 자체 단열성능도 좋고요. 

 

맨벽|우레탄폼|단열재|마감재

따라서 이렇게 층을 이루게 된다고 보시면 되구요.

맨벽은 벽지와 곰팡이는 기본이고 혹여 페인트칠이라면 그 칠까지도 되도록 벗겨서 완전 철거해주면 좋습니다. 

 

 

우레탄폼은 스프레이건을 통해 도포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우래탄은 도포 전에 물을 부착 부위에 좀 분무해서 습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겨울에는 특히나요.

 

폼의 종류가 충진용과 접착용(폼본드)으로 나눠진다고 합니다만 막상 폼 제조사에서는 폼본드라고 해서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고 합니다. 그냥 조금 더 비싼 거죠.

 

충진용이라고 해서 접착력이 없는 것도 아니구요.

 

따라서 그보다는 난연등급을 신경써주시는 게 좋습니다.

B1 B2 B3 나뉘어져 있는데 B1이 비싸고 안전합니다.

이거 단일로 해서 쓰시면 안전함 한도초과...까지는 아니고 그냥 최저기준 충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분류를 다르게 하면 경질과 연질 우레탄폼으로 나눌 수 있는데

층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창틀과 문틀 말고는

다 일반 폼 쓰는 듯 합니다.

 

 

 

 

제가 공부해본 바에 의하면 우레탄폼 분사는

 

단열재 표면에 얇게 전부 도포해주는 게 최고입니다.

 

힘으로 비비고 눌러서 펼 자신이 있다면

좀 덜 오밀조밀해도 됩니다.

 

 

Screenshot_20250211_173806_Samsung Internet.jpg

 

한 업체는 이정도로 오밀조밀 충분히 뿌려서 하는데도 온몸으로 밀어서 폼을 비벼 채우더라구요. 다시 떼어보니 골고루 잘 발려있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img-1.jpg

다른 업체 이미지입니다.

 

이렇게 뿌리면 아무리 힘이 좋아도 면을

다 못채우지 않을까 싶은데...

 

공기층보다 우레탄폼층이 단열성능이 훨씬 좋다는 걸 인지해야합니다.

 

Screenshot_20250211_174105_Samsung Internet.jpg

 

여기는 문을 만들고 싶었던 걸까요? 그래도

 

Screenshot_20250211_174730_Samsung Internet.jpg

 

공기층과 곰팡이로 스네이크 게임 하려는 분보다는 훨 낫습니다.

 

 

여기서 더 심해지면

Screenshot_20250211_174826_Samsung Internet.jpg

 

이렇습니다.

 

기밀과 압착을 명심해야합니다.

 

유의해야 할 점은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 틈새도 우레탄폼건을 깊게 넣어 뿌려야 한다는 거에요.

 

꽉꽉 채워져야 기밀 시공이 됩니다.

 

그러지 못하면thumb-4df6361df5e7e4f25a014afc1725bf69_1536885311_1202_750x563.png

틈새로 열이 샙니다.

 

제대로 우레탄폼을 가득 채워 시공했다면 단열재 틈이 안보이게 됩니다.

 

단열재 크기 재단은 요즘 대부분 커터칼로도 잘 잘리게 나옵니다. 3~4개 잘랐으면 날 교체가 필요하긴 합니다.

 

마무리는 틈새 우레탄폼이 삐져나온 부분을 잘라내고,

(*한 영상 댓글에서 눌러주라는 글을 봤는데 폼 업체 후원 영상에서도 자르는 거 보면 자르는 게 맞지 않을까요?)

 

우레탄폼으로의 투습을 막고 틈 면을 고르게 하기 위해

테이프를 붙이고 퍼티작업으로 평탄하게 만들어줍니다.

 

이후 위에 페인트 벽지 타일 원하는거 마감하면 됩니다.

 

 

 

아까 교차시공에 대해 얘기했는데요.

 

능력이 정말정말 좋고 마무리가 깔끔하다면 단열재와 단열재 간 틈에 열이 삐져나오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세상 일에는 만약이라는 게 있으므로, 

100T 단일 시공보다는 50T 두장을 틈새가 엇갈리게 시공하여 만일을 없애주면 좋습니다.

 

그러나 단열재 가격이 상당히 비싸고, 두꺼운거 한겹이 얇은 거 두겹보다 저렴하므로...

 

실제로는 적당한 두께의(보통 30T) 단열재를 한겹이라도 제대로 기밀 시공하는 게, 두꺼운 거 100T 대충 떡가베 한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우리나라 건축법 단열 기준을 맞춰 시공하려면,

외단열이 없는 집의 경우...

따뜻한 남쪽나라라는 제주에서도 고성능 단열재 기준 최소 80T는 맞춰야 합니다.

 

중부지방은 120T 강원도 이런데는 150T~200T까지 가야할거에요.

 

안타깝지만 그러면 집이 너무 좁아지는 만큼 보통 인테리어적으로 타협해서 시공하게 됩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

 

 

7. 시공 비용

 

 

축하합니다, 셀프 시공을 도전하시려는 모든 여러분.

당신은 가장 비싼 인건비를 아꼈습니다.

대신 여가시간을 희생하셨습니다만 좋은 게 좋은 거죠.

 

잘못하면 철거비와 시공비를 이중지출하는 사태가 생기기 때문에 내가 이걸 셀프로 할 수 있다는 견적을 잘 내봐야 합니다. 

 

인건비를 아꼈으니 남은 건 재료값이겠죠.

 

GCS 계열 단열재 한짝이 보통

900mm*2400mm

혹은 1000mm*2400mm로 나옵니다.

 

그러니까 개인에게도 파는 내단열재 기준으로요.

왜냐면 우리나라 집 천장이 보통 2.4M가 안넘거든요.

 

아이소핑크는 900*1800이 일반 사이즈인데 수요가 많은만큼 더 큰 사이즈나 작은 사이즈로 재단된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더 작게 1000*600 900*600막 이렇게 잘라서 파는 경우도 있고요. 이 경우는 용달 화물이 아니라 택배로도 보내주더라구요.  

 

제 경우 집 근처 건축자재 취급점 가는 게 오히려 저렴했습니다. 섬동네 배송비가 어마무시해서 말이죠...

 

 

본인이 살 단열재 크기를 알았으면 이제 작업할 공간의 면적을 계산해서 때려맞추면 됩니다.

 

문제는, 제대로 단열을 하려면 천장뿌셔바닥뿌셔 해야 하는데 그건 현실적으로 집 통짜 리모델링이 되고, 이것까지 할 수 있는 시점에서 그 사람의 인건비가 이미 더 비싸지는 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보통은 석고보드 정도는 철거하고 하거든요. 석고보드 안쪽으로 뭐가 있는지, 내벽면 크기는 어떤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철거하고 나서 방 크기를 재거나, 혹은 건축 설계 도면을 찾아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창문 크기만큼 빼고, 문도 빼고, 외기와 접하는 내벽만 할 건지 필요에 따라 열교 생기는 T자 벽까지 단열재 반짝~한짝정도는 시공하면 좋을 거에요.

 

단열재 한짝에 30(31,32,33)T 기준으로

 

표면 처리 안된 단열재는 생각보다 쌉니다.

아이소핑크 900*1800사이즈는 9000원에 팔더군요.

 

근데 얘는 단열시공 후에 목공+석고보드2p가 추가된다는 점을 생각해야 합니다.

 

표면처리(라고 우기는) 이보드는

900*2400 33T 기준 28000원이 되구요.

 

동일 면적 기준 2.33배의 가격이 좀 부담되시죠?

 

이보드는 품질에 맞게 저렴한 편입니다.

 

표면처리 제대로 된 (뉴)골드폭스보드는

900*2400 32T 기준 4만원이 넘습니다.

제 동네 기준 44900원이에요.

 

경질우레탄 입문편 OCC 보드는

900*2400 30T 기준 

배송료 제외 36500원으로 나오지만 최근에 나와서 오프라인 취급점이 드물거에요.

 

GCS 보드는 900*2400 31T 기준 48200원 송료 별도인데 대부분 지역에 취급하는 건축자재점이 있을겁니다.

그게 국산인지는 겉면에 창원씨엠에스 적혀있어야 한다고 상품 페이지에서 몇번이고 강조하더라고요.

중국산 수입량이 요즘 엄청 늘어났다는데 그게 다 어디 현장으로 간 건지...

 

PF보드는 1200*2000 으로 파는데 2주 전에 비해 취급점과 제조사가 많이 늘었네요.

두께도 30-220mm까지 엄청 다양하구요.

뭣보다 가격이 많이많이 내렸군요...?

 

흠터레스팅하네요.

이 정도면 석고보드 감안해도 PF가 이득일 지경일...까요?

 

사정에 맞게 하면 되는 거죠 뭐. 

 

석고보드 시공은 각재 작업 때문에 할 일이나 필요 장비가 좀 많이 늘어나죠?

 

그래서 옛날에는 PP보드(이보드),

요즘에는 GCS 보드들이 셀프 인테리어 소재로 각광 받는 거라고 생각해요.

 

 

8. 단열재 별 성능차

 

아이소핑크 미만은 셀프인테리어 취지에 안맞는다고 생각해서 뺍니다...

 

아이소핑크(XPS) 특호 기준 

초기 열전도율 0.027W/mK

장기 열전도율 0.029 라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 판매하는 3호 기준으로는

초기 0.031 장기 0.033 입니다.

 

뉴골드폭스는 초기 0.026이라고 적혀있는데

뭐 심재가 아이소핑크니까 그냥 같다고 보시면 좋구요.

 

OCC보드0.023~0.025라고 적혀있구요.

 

GCS보드는 2군이 0.025 1군이 0.022 라고 하고요. 

 

대망의 PF보드0.020 수준입니다.

일부는 0.019로 표기하기도 하던데...

 

저렴한 아이소핑크로 만약에 90T가 필요했다면, 

PF보드는 55T면 충분한 거죠.

 

그래서 아파트에 들어가는 게 아닌가 싶어요.

공간이 돈이니까요.

 

 

만일 판매점이나 판매업체에서 준불연,불연,난연 이런 시험성적표를 안보여주거나 

단열성능(열전도율)을 안알려준다면 일반적으로 걸러도 되는 업체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라는 집수리 공부하기 좋은 곳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주택건축 관련 정보는 이곳에서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접근도가 떨어지는 편이라 대부분 구글과 유튜브에서 긁어서 머리에 넣었습니다.

견적을 단열만 짤 게 아닌데 단열이 공부할 게 많아서 피곤하네요...



  • profile
    title: 병약한니즛 2025.02.11 23:28
    페놀포름알데히드 그거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아닌가요? 집 안에다 써도 되나요?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1 23:41
    수지 형태 페놀이 심재, 거기에 양면으로 표면처리를 한 물건입니다.

    21년도 글에 페놀포름알데히드라고 적혀있긴 하던데 그새 좀 바뀌었을 수도 있구요.
    요즘 나오는 건 심재까지 준불연처리 되었다고 하는데 새집증후군 관련 얘기는 잘 안보이네요.

    일단 정상적으로 시공 마감 후 청소만 잘 되면 심재가 외부로 유출될 일이 없어야 합니다.
  • profile
    title: 가난한AKG-3 2025.02.11 23:34
    저번에 써본 경험에서, 접착 폼본드라 불리는 녀석의 경우 부푸는 정도가 좀 낮습니다.
    회사에서 접착 폼본드하나 써보고, 나중에 일반 우레탄폼(속경화였나?) 을 써봤는데 한 부푸는게 조금 적긴하더라구요.

    일반 우레탄폼이 10정도 부피가 되면 접착 폼본드는 7-8정도로 조금 덜 부풀긴하더군요.
    궁금해서 앞에다 놓고 압착 안하고 콕하고 살짝씩만 쏴봤습니다
    다만 붙이고나서의 접착력은 둘다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 더 짱짱하게 잘붙는진 모르겠습니다,.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1 23:59
    폼별로 습기 흡수해서 부푸는 정도가 다르다고도 합니다.
    대용량 폼은 한통에 70L 던데
    물 안뿌려도 된다고 홍보하는 제품은 부피가 절반도 안되더군요
  • ?
    탐린 2025.02.12 08:36
    단열은 전쟁입니다 ㅜㅜ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2 17:09
    전쟁계획 수립중인데 벌써 파산각이 보입니다 ㅠㅠ
  • profile
    멘탈적분      다죽어간 NX는 내손에 살아가! 2025.02.12 10:13
    겨울에 외풍들어오니 벽쪽만 엄청 춥습니다...
    심지어 벽지 터진데는 바람이 들어올때도 있어서 테이프로 막아놨어요 -_-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2 17:08
    바람들어오는 건 진짜 구멍인 경우가 있어서
    일단 뜯어보고
    샷시 틈은 폼쏴서 메꿔주셔야 하고 다른곳은 시멘 몰탈 퍼티 등으로 아무튼 막아주서야 합니다.

    같이 셀프 단열시공 하시겠어요?
  • profile
    멘탈적분      다죽어간 NX는 내손에 살아가! 2025.02.12 21:49
    남의집이라 (...) 제집이었으면 아마 다 뜯었을거에요
  • ?
    이계인 2025.02.12 11:50
    글 정말 잘쓰셨네요. 외단열 내단열도 중요하지만 기존 단열의 보수도 중요하죠. 거지같이 지어놓는 경우가 많아서..건축시 아이소핑크만 붙이고 짓는집이 꽤 많아서 속에 좀 털어내고 우레탄쏴서 메꾸면 엄청납니다. 눈에 안보이는 구멍으로 질질 새는게 문제.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2 17:06
    열씌미 정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곰팡이 피고 썩지만 않았으면 기존 단열재를 재활용하기도 하더라구요
    단열두께가 충분할 경우 샷시 튀어나온 정도 맞추려고 특히나요...
    비용 문제가 아무래도 말이죠.

    다행이 아니게도(?) 제가 시공할 집은 쌩자 콘크리트 벽에 단열벽지가 붙어있습니다.
    죽음이여 나에게 오라
  • profile
    까르르      프사 내 사진임. 진짜임. 이거 모델료 받아야 함. 2025.02.12 17:18
    돈 많은 사모님께 분양하고 싶은 까마귀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2 18:32
    뭐예요 제 소유권 돌려줘요
  • ?
    title: 몰?루_랑_ 2025.02.12 18:18
    바닥 단열이 까다롭더라고요.
    벽체나 기둥이 바닥과 만나는 부분은 답이 없....
    그리고 지붕까지...
    그거하고 습기 까지 생각하면 머리아포요.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2 18:31
    정말 제대로 하려면 다 뜯어내고 천장벽체, 천장, 배관 뜯어내고 바닥층까지 다 해야하지만

    천장과 바닥은 윗집과 아랫집한테 떠넘긴다 치고
    천장벽체도 뭐... 천장철거 못할 거면 무시할 수 밖에 없구요.

    다행히 이것만 해도 기존보다 훨 나아진다고 하고,
    나중에 돈주고 리모델링 하며 다 뜯어내도 단열재 자체는 재활용하거나 그부분만 추가시공하면 되니까요.
  • profile
    낄낄 2025.02.13 04:02
    저도 누수 검색하다보니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사이트가 자주 걸리더라고요
  • profile
    title: 흑우까마귀      잠을 미루는 건 내일이 오지 않길 바래서야. 2025.02.13 15:21
    정말 좋은 정보 많아보이는데 사이트 내부에서 정보 찾는 게 편하진 않더라구요 ㅠㅠ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868 잡담 올해는 오사카를 갈것같군요 23 title: 몰?루스와마망 2025.02.12 560
89867 잡담 호불호 왕창 갈리는 미트볼 24 file title: 병약한유니 2025.02.12 747
89866 잡담 엔비디아, 삼성 HBM 공장 실사 12 file title: 오타쿠nb2sy 2025.02.12 1020
89865 퍼온글 이정도 식빵은 먹을만하다 VS 내다 버린다 13 file 고자되기 2025.02.12 770
89864 잡담 샤오미 14T가 땡깁니다 9 file 포도맛계란 2025.02.12 490
89863 장터 판완) 크리에이티브 사운드블라스터 GS3 file 디이나 2025.02.12 619
89862 잡담 갑자기 간짜장이 땡기는데 3 file 고자되기 2025.02.12 330
89861 잡담 스티커 보냈습니다. 2 file title: 병약한유니 2025.02.12 199
89860 잡담 나이먹고 늙어서 그런지 요즘 건담들이 부담스러... 7 file 꽃중년앙자 2025.02.12 457
89859 잡담 그래픽카드 전원 커넥터를 RC 나 자동차용으로 바... 12 archwave 2025.02.12 466
89858 잡담 (0.5MB) 맥미니가 4대라 수납이 불편합니다. 16 file isp 2025.02.12 582
89857 잡담 크로미움 글리치 버그 (흔히 화면 깨지는 버그를 ... 6 title: 오타쿠360Ghz 2025.02.12 457
89856 잡담 자동차 리콜 맞았어요 4 file 토키 2025.02.12 548
89855 잡담 폰을 바꿨습니다. 6 file title: 정상화ForGoTTen 2025.02.12 416
89854 잡담 여윽시 믿고 사용하는 중국산 공구! 13 file 오꾸리 2025.02.12 639
89853 잡담 팥죽에는 설탕과 소금 중 뭘 치나요? 18 file title: 병약한유니 2025.02.12 343
89852 잡담 쓰읍. 메인보드 불량 당첨이네요 5 sin749 2025.02.12 452
89851 퍼온글 시청역 역주행 1심 7년 6개월 금고 확정 5 file 토키 2025.02.12 625
89850 퍼온글 고양이를 점빵에 들이면 좋은 이유 4 file 고자되기 2025.02.12 636
89849 잡담 많은 사람들에게 카메라가 필요없는 이유 8 file 고자되기 2025.02.12 639
89848 잡담 (혐) 이 영상을 보고 즐겁다면 상담이 필요합니다. 6 아이들링 2025.02.12 628
89847 장터 누군가에게는 필요할수있는 Intel ARC A380 1슬롯 LP 4 file ProRes 2025.02.12 645
89846 잡담 PSN 해킹으로 다시 한번 회자되는 '그' 게임 5 file title: 오타쿠nb2sy 2025.02.12 766
89845 잡담 인텔이니 AMD니 드라이버 이야기는 많지만 배부른... 8 file title: 오타쿠RuBisCO 2025.02.12 678
89844 잡담 이상한 키보드들 리뷰 12 file title: AI메이드 2025.02.12 601
89843 장터 씽크패드 p52 팝니다 1 file 3chhy 2025.02.12 510
89842 잡담 은색 콩나물을 영입했읍니다. 2 file title: 정상화UnderCut 2025.02.12 405
89841 잡담 결국 ms 오디오독 질렀읍니다… 4 file 디이나 2025.02.11 503
89840 장터 전투형 갤럭시 S10e 128기가 팝니다. 13 file title: 가난한T.Volt_45 2025.02.11 649
» 잡담 셀프 인테리어 정보 - 단열 편 17 file title: 흑우까마귀 2025.02.11 7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3033 Next
/ 3033

최근 코멘트 30개

AMD
한미마이크로닉스
앱코
더함
MSI 코리아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