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글하드웨어기글하드웨어

커뮤니티 게시판 : 아주 기본적인 네티켓만 지킨다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커뮤니티 게시판입니다.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각각의 포럼 게시판을 우선 이용해 주시고, 민감한 소재는 비공개 게시판이나 수상한 게시판에, 홍보는 홍보/외부 사용기 게시판에 써 주세요. 질문은 포럼 게시판의 질문/토론 카테고리를 사용해 주세요.

491439cb4f34c94ef1d8b94a45dc5e31.jpeg

 

 

고 찰리 멍거 (1924-2023)

직업: 변호사 -> 투자자 -> 워렌버핏 친구







작년에 세상을 떠난 워렌버핏의 영원한 파트너 찰리 멍거는

워렌버핏의 인지도에 가려져 잘 알려져있지는않지만

굉장히 다양한 분야를 넓게 (어떤의미로 보면 넓고 얇게) 공부한 의미심장한 인물로 알려져있다



이 사람은 생전에 좀처럼 직관적이지 않지만 수긍이 가는 의미심장한 말들과 행동들을 하다가 세상을 떠난것으로 유명하다











1) 빨리 성공하는거보다 천천히 성공하는게 그냥 "실제로 더 우월한" 방법이다



요즘 사람들이 원하는것 처럼 빨리 성공한다고 가정해보자. 나이 30에 이룰 수 있는것을 다 이뤘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인생은 아직도 수십년 남아있는데 말이다.

어쩔수없이 그렇게 되버렸다면 모르겠지만 그게 자신의 진지한 목표라면 정말로 바보같은 짓이다.

진짜 승리자는 죽을때까지 급하지 않게 최대한 천천히 끊임없이 성장하는것이다. 나는 그걸 해냈지만 아마 님들은 힘들것이다 헿







2) 나는 어떤 사람이 성공한 인생을 살았는지 평가할때 그사람이 죽는순간까지 보고 나서 평가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속칭 "성공한 사람들"이 죽음에 다가갈때 얼마나 외롭고 불행하게 죽는지 관심이 없는게 신기하다.

그 사람들은 엄청나게 많은 돈이 있지만 후반부의 인생을 XX처럼 경영해서 하나도 행복하지 못하다.

난 그 사람들이 늙어서 외롭고 불행할때 "난 그래도 젊었을때 성공했었으니까 그거에 너무 감사하고 행복해"라고 말하는 적을 본적이 없다.

나는 그래서 젊었을때 속세적 성공을 한 사람들을 진짜로 성공했다고 평가할수가 없다. 인생의 후반마저 잘 경영하다 죽는 사람은 흔하지 않다.



우리가 생각하는 속칭 "성공한 사람들"중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인생후반에 비참한지 알면 다들 깜짝 놀랄것이다.

우리는 JP모건이란 사람이 미국금융을 재패하는건 기억하지만 그 사람이 늘그막에 인간관계관련일로 정신이 나가 미친사람처럼 살다가 죽었단건 잘 모른다.

과연 JP모건이 정신이 나가서 뒤져갈때 "나는 그래도 미국을 위기에서 두번이나 구한 미국금융의 왕이라서 행복해"라고 했을까요? 알 방법은 영원히 없지만 아마 안그랬을겁니다.



반면에 우리가 성공한 사람들이라고 여기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 중에서 인생을 마지막까지 경영을 잘 하다가 죽는 사람들은 존재한다. 난 그들이 더 성공했다고 생각하고 이건 내가 앞서 말한 "재물은 많지만 후반부에 불행한" 사람들도 동의할것이다.









3) 난 버크셔 헤서웨이 (워렌버핏과 찰리멍거의 회사)에 자아의탁하지않는다



우리 버핏이는 버크셔에 약간 자아의탁하는거 같아 보이긴 한데 난 사실 거의 안하는편이다.

내 일, 가족, 취미등 적절히 분산투자를 하는게 인생에서 유리하다. 난 어느 한군데에 자아의탁을 했다가 그게 붕괴되면서 자신의 인생도 붕괴되는 사람들을
너무 많이 보았다. 물론 버크셔 헤서웨이 좋은회사는 맞음











4) 이론적으로 사람은 죽기직전이 그 사람의 전성기일수가 있다 (1번의 연장선)



근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정 나이가 되면 갑자기 성장을 멈춘다. 자신이 알 만한건 다 알고있다고 착각해서이다.

나는 늙으면 더이상 성장할수없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의 내가 십년전의 나 보다 훨씬 더 현명하다.

십년전의 내가 무식한 말을 했던게 눈에 보인다. 불과 몇년전의 내가 무식한 말을 했던적도 종종 있다.

워렌버핏은 올해 버크셔 헤서웨이 연간행사에서 "찰리는 99살에 죽었는데 죽기 직전이 그의 인생의 전성기였어요. 그렇게 산 사람이 역사적으로 굉장히 드뭅니다." 라고 함





5) 지금 자라나는 20대들에게 해줄 말 없습니까? "기대치를 낮게 가질수있다면 '유리한 삶'이다"



나도 인간이다보니 삶, 결혼등 모든것 에 대한 기대치가 계속 스멀스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기대치를 낮추는건 인간으로서 실천하기 매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세상의 거의 모든 불행은 높은 기대치에서 온다. 나는 모든것에 대해 최대한 기대치를 낮게 가지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해왔고

전부 피할순 없었지만 꽤 많은 불행을 피해왔다고 생각한다.





6) 나는 행복을 쫓기보단 큰 불행을 피하는데 내 삶을 집중했다

보통 너무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 하면 정답을 찾기 보다 정답이 아닌걸 피하는게 더 쉬울때가 있다.

인생도 모두에게 어려운 문제다. 그래서 나는 행복을 적극적으로 쫓기보단 큰 불행의 씨앗을 적극적으로 제거하는데 모든 집중을 쏟았다.







7) 난 지구온난화보다 석유보존을 더 걱정한다



미래에는 이 사실이 바뀔가능성도 아예 없지는 않지만 현재로서는 석유가 유한한 자원이라고 보수적으로 가정하는게 현명하다.

난 대체에너지를 지지하는데 그 이유는 지구온난화가 아니라 석유보존 때문이다.

후손들이 위급할때 무언가라도 할수있는 옵션을 남겨두는게 현명하다.

우리 인류는 너무 "이 방법이 끝나갈때쯤 기가 막힌 새로운 방법이 발명되겠지"를 가정하고 모든걸 진행하고있는 경향이 있는데 이건 위험하다.









8) 중국이 미국을 앞지를것으로 보이시나요?

찰리 멍거 "로마, 대영제국.... 세상 모든 제국들은 영원한적이 없었다. 미국도 영원할 확률은 적을것이고 원래 세상이란게 그런거니 너무 억울해할 필요도 없다." (중국이 앞지른다고는 표현안했는데 걍 저렇게 대답함)











9) 경제학의 두 아버지 아담 스미스 (국부론), 데이비드 리카르도 (비교우위론)가 놓친 점

"아담 스미스가 살던 시절은 인류가 기술적으로 급격하게 발전하기 전 시절입니다. 그래서 아담 스미스는 인류의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됐을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나 통신등의 급격한 발달로 예전엔 불가능한 방식의 인력과 물자와 자본이동이 가능해졌죠)

"데이비드 리카르도가 주장한 비교우위론은 맞는 주장입니다. 각자의 국가가 서로 더 잘하는 것들을 담당하면 서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교역을 통해 어느 나라(중국 고성장시절)는 일년에 20%씩 성장하고 어느나라(미국)는 일년에 2%씩 성장하는 상황이 오면 두 나라 전부 혜택을 입긴하지만 상대적으로 볼때 그중 한 나라가 훨씬 더 큰 혜택을 입는것또한 사실입니다"



Q: 그래서 중국을 어떻게 해야했나요?



"뭘 어떻게 해 . 자기들이 잘 살겠다고 굳게 마음을 먹고 열심히 일을 하겠다고 하는 이상 우리 미국이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차피 없었습니다."









10) 미국과 중국이 서로 싸우고 앉아 있는건 지상 최대의 멍청이 짓이다.

찰리 멍거는 2023년 죽기 전 중국에 대해서 많은 질문을 받았다. 그중 미중 무역전쟁의 전망에 대해서도 많은 질문을 받았는데 이에 대한 대답.



"미국은 중국을 혼자 힘으로 막을 수 없습니다. 지금 세상엔 미국이 중국과 교역을 멈춰도 중국과 교역을 해야하는 나라들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사이가 안좋은건 엄청난 멍청이 짓입니다. 두 국가는 서로의 장점을 부러워해야 합니다. 미국이 스스로의 힘으로 중국을 몰락시킬수있는게 옵션이라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근데 그건 옵션이 아닙니다. 그리고 중국이 세계 생산력을 증가시켜서 인류전체를 더 부유하게 만들어줬는데 그걸 부수려는 아이디어조차 듣도보도못한 멍청한 생각입니다"









11) 나는 굉장히 넓은 분야를 얇게 배워서 성공했고 그 삶이 매우 즐거웠지만... 추천은 안합니다

나는 최대한 넓은 분야를 얇게 배우는걸 평생동안 즐겨했습니다.

어짜피 각 분야의 정수 80%정도는 처음 20%정도의 시간만 들이면 깨우칠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라 생각했습니다.



저는 옛날에는 이러한 삶의 방식을 남들에게 많이 추천했는데

좀 살다보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나의 전문성을 가지는것이 좋습니다.

저는 운이 좋고 상황이 잘풀려서 이런 방식을 택하고도 성공할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문성이 없으면 인정받기 힘들겁니다.



근데 이거 하나도 알려드릴게요.

저처럼 살면 진짜 사는게 존나 재밋긴합니다. 배울게 끝이 없거든요.









12) 지금 평범한 사람들이 100년전 록펠러나 JP모건보다 "실제로" 더 잘산다. 근데 우리의 삶은 더 불행해진거 같다.



지금 미국의 평범한 사람들이 100년전 록펠러나 JP모건보다 "실제로" 더 잘삽니다.

물론 우리들이 그들이 가졌던 뉴욕의 대저택은 가질수 없겠지만

우리가 현재 누리고있는 굉장히 많은 것들은 그들이 억만금을 주고도 구매할수 없던 서비스와 제품들인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도 현대인들의 삶은 딱히 행복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우리 인류의 발전동력이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는 "욕심"으로 부터 나온것이 아니라 "질투"로 부터 나온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개인적인 노력과 운으로 "질투"라는 감정을 정복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일단 본인이 부자가 됬으니까).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감정을 정복하기가 힘들것이고 그 감정때문에 쓸데없이 불행한 순간이 많이 찾아올것입니다.



미국이 대공황에 빠져서 살기가 정말 힘들던 1930년대의 오마하 (찰리 멍거 고향)의 밤거리를 걷는것이 지금 로스앤젤레스의 밤거리를 걷는거보다 안전합니다.



이건 우리 인류의 굉장히 큰 어려움이자 문제인데... 저도 딱히 솔루션은 생각할수가 없네요 gg





13) 워렌버핏은 찰리멍거를 개인용 챗GPT로 종종 사용했다

찰리멍거가 워낙 넓은 분야를 얇게 알고있어서 워렌버핏은 아무 궁금한거나 있으면 찰리멍거에게 전화해서 그거에 대해 묻곤했고

찰리멍거도 마치 챗GPT마냥 왠만한 질문에 대해 최소한 자기의견은 말해줄수 있었다고한다.



그래서 언론이나 주주들이 찰리멍거가 나타나면 버크셔 헤서웨이랑 상관이 전혀없는 아무질문이나 해재끼곤했는데

가끔씩 찰리멍거가 모르는 주제나 답이 없는 주제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찰리멍거는 "내가 모든걸 다 알진않지 씁"라고 대답하곤 했다





14) 가불기

찰리멍거와 워렌버핏은 말 다툼을 한적이 한번도 없다고 한다.

대신 그들은 가끔 서로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은적은 있다고 한다.

가끔 찰리멍거가 워렌버핏을 끝까지 설득시키지 못했지만 필살기를 쓰고 싶을때 워렌버핏에게 하는 말이 있다고한다.



"너 맘대로해. 하지만 넌 아마 내 말대로 하게 될거야. 왜냐면 너는 똑똑한사람이고 그래서 내말이 맞는말이란걸 곧 스스로 깨달을테니까"

그러면 30분뒤에 워렌버핏이 전화와서 찰리멍거말대로 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찰리멍거 "봐봐 너 똑똑하잖아. 내말이 맞다는걸 빠르게 깨닫잖아 (끝까지 티배깅)"



15) 워렌버핏의 찰리멍거사랑

찰리멍거는 2023년 CNBC와 인터뷰가 끝난후 15일뒤에 사망했다 (이 인터뷰 보면 15일뒤에 죽을사람이라고 느껴지지가 않을정도로 죽기직전까지 정신이 멀쩡했음)



혼자가 된 워랜버핏은 올해 주주총회때 "이제 당신은 궁금한게 있거나 조언이 필요할때 찰리멍거 대신 누구에게 질문합니까?" 라는 질문을 받았다

아마 사람들은 이제 워렌버핏의 후계자가 된 그렉 아벨 (버크셔 헤서웨이의 차기 지도자)을 워렌버핏이 샤라웃하길 바랬던거 같다.

하지만 워렌버핏의 대답


"이제 전 뭐 궁금한거 생겨도 질문할만한 사람이 없는거죠뭐" (그렉 아벨이 바로 옆에 앉아있었는데 예상한 답변이라는듯 미소지음)



 
 

https://pgr21.com/freedom/102957

 

 

 

평소에 질투와 욕망을 구분하기,질투에 휘말리지 않기등을 자주 말씀하셨다고 하네요



  • ?
    포인트 팡팡! 2024.12.08 15:00
    고자되기님 축하합니다.
    팡팡!에 당첨되어 50포인트를 보너스로 받으셨습니다.
  • profile
    title: 오타쿠아라 2024.12.08 15:20
    참 어려운 일이기도 하네요
  • profile
    title: 정상화Induky      자타공인 암드사랑 정회원입니다 (_ _) 2024.12.08 15:42
    현자라고 불러도 무방하네요.
  • profile
    문워커 2024.12.08 17:58
    음.... 불교 신자 아니셨나 싶기도 합니다.
  • profile
    Touchless 2024.12.11 00:20
    1) 빨리 성공하는거보다 천천히 성공하는게 그냥 "실제로 더 우월한" 방법이다
    2) 나는 어떤 사람이 성공한 인생을 살았는지 평가할때 그사람이 죽는순간까지 보고 나서 평가를 한다
    4) 이론적으로 사람은 죽기직전이 그 사람의 전성기일수가 있다 (1번의 연장선)
    5) 지금 자라나는 20대들에게 해줄 말 없습니까? "기대치를 낮게 가질수있다면 '유리한 삶'이다"
    6) 나는 행복을 쫓기보단 큰 불행을 피하는데 내 삶을 집중했다

    1, 2, 4, 5, 6 내용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 철학에 잘 반영이 된 듯 합니다.

작성된지 4주일이 지난 글에는 새 코멘트를 달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퍼온글 워렌 버핏 친구분의 이야기 모음 5 file 고자되기 2024.12.08 742
88283 잡담 뭔가 여행 다녀온 사이에 모르는 일이 벌어졌네요? file title: 오타쿠360Ghz 2024.12.08 429
88282 퍼온글 시리아 아사드정권 붕괴 내전 13년만 6 file title: 병약한툴라 2024.12.08 576
88281 퍼온글 현장의 피드백이라고 아무거나 먹으면 안되는 이유 5 file 고자되기 2024.12.08 539
88280 퍼온글 AGF? 라는 행사에 가면 벌어진다는 참사 9 file 고자되기 2024.12.08 638
88279 잡담 급히 여행갈 돈 환전했습니다. 5 file title: 병약한유니 2024.12.08 371
88278 잡담 철도 파업 중에 서해선은 타지마세요 9 낄낄 2024.12.08 1207
88277 잡담 해골술 11 file title: 오타쿠아라 2024.12.08 441
88276 장터 갤럭시 A21s 판매합니다. (단품 판매) 2 file title: 정상화오쿠소라아야네 2024.12.08 504
88275 잡담 늦은 밤의 지름. 18 file milsa 2024.12.08 436
88274 잡담 한밤중의 외출외 with 놀숲 가을이추가 5 file Dr.Lemon 2024.12.08 328
88273 잡담 페이팔 스캠 사기도 있군요 6 file title: 가난한센트레아 2024.12.08 579
88272 잡담 최근 게임 용량은 장난아니네요 6 file Loliconite 2024.12.08 604
88271 잡담 이 시각 뽐이 올라오는 상품 3 file title: 오타쿠nb2sy 2024.12.08 492
88270 잡담 환율 더 비싸지기 전 마지막 만년필 구매(아마도.... 4 file 유지니1203 2024.12.08 500
88269 장터 [취소] 샤프 아쿠오스 R5G 6 북해도감자 2024.12.07 441
88268 잡담 호오오오옥시 BMS모듈 필요하신분 있을까요오 4 file 노예MS호 2024.12.07 372
88267 잡담 메이플 쇼케이스 당일치기 후기 2 file title: 몰?루스와마망 2024.12.07 299
88266 잡담 루머상 다음 세대 GPU 아키텍처는 코어당 성능이 ... file 동방의빛 2024.12.07 537
88265 잡담 야밤에 인간의 존엄성 지키기 힘들군요 6 file title: 병약한툴라 2024.12.07 666
88264 잡담 CU 샌드위치 근황 2 file title: 병약한유니 2024.12.07 470
88263 잡담 몇 일 전 출시한 소녀전선2 말이죠 2 급식단 2024.12.07 412
88262 잡담 연말이라 경찰관 분들이 바쁘시겠네요. 14 먀먀먀 2024.12.07 566
88261 핫딜 AliExpress 연말 감사의 날 16 file title: 저사양임시닉네임 2024.12.07 773
88260 퍼온글 빛나는 크리스마스 트리 15 file title: 가난한AKG-3 2024.12.07 590
88259 퍼온글 119에 전화하는 이유 9 file 타미타키 2024.12.07 994
88258 잡담 싸다고 덜컥 사면 안됩니다. 14 file K_mount 2024.12.07 1602
88257 퍼온글 ???: 깨져라..경화수월 8 file title: 병약한툴라 2024.12.07 793
88256 잡담 저번에 먹은집에서 크림새우랑 볶음밥.. 6 file 고자되기 2024.12.07 522
88255 퍼온글 착시현상 3 file 고자되기 2024.12.07 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981 Next
/ 2981

MSI 코리아
더함
한미마이크로닉스
앱코
AMD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관리자 이메일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